• 제목/요약/키워드: Genetic gains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8초

비거세 한우 집단에 있어 성장형질과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모수의 추정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Growth and Carcass Traits in Hanwoo Bull Populations)

  • 박철진;박영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23-32
    • /
    • 2003
  • 본 연구는 농협중앙회 가축개량사업소와 한우개량단지에서 생산된 비거세 한우 숫소 3,415두의 자료를 이용하여 성장형질과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모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한우 집단은 상반기와 하반기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는데 상반기 집단은 1986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된 숫소 1,592두로서 6개월에 검정개시하여 18개월에 종료하였고, 단방식 우사에서 개체관리를 하였다. 하반기 집단은 1991년부터 1996년까지 출생한 1,823두로 10개월에 검정개시하여 22개월에 종료하였고, 군사식 우사에서 사양관리 하였다. 6-12개월과 12-18개월 일당증체량은 상반기 집단의 경우 1.01kg과 0.77kg이였고, 하반기 집단은 0.80kg과 0.95kg으로 하반기 집단에서 보상성장이 일어난 것으로 사료된다. 12개월 및 18개월 체중의 유전력은 상반기 집단의 경우 0.37 및 0.29이었고, 하반기 집단은 0.47 및 0.33이었으며, 6${\sim}$12개월 및 12${\sim}$18개월 일당증체량의 유전력은 상반기 집단에서 0.26 및 0.11이었고, 하반기 집단은 0.33 및 0.22으로 이들 형질의 유전력은 하반기에서 높았다. 상반기 집단의 12개월령 체고, 십자부고, 곤폭 및 흉위에 대한 유전력은 각각 0.30, 0.25, 0.11 및 0.13이었으며, 하반기의 경우 각각 0.53, 0.44, 0.36 및 0.56이었다. 상반기 집단의 18개월령 체고, 십자부고, 곤폭 및 흉위의 유전력은 각각 0.40, 0.22, 0.12 및 0.21이었고, 하반기의 경우 각각 0.45, 0.42, 0.42 및 0.35이었다. 상반기 집단의 냉도체중, 도체율,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도체장에 대한 유전력은 각각 0.11, 0.24, 0.25, 0.18 및 0.21이었고, 하반기 집단의 경우 각각 0.32, 0.52, 0.33, 0.51 및 0.58이었으며, 근내지방도의 유전력은 0.31이었다. 상 하반기간 유전상관의 추정치는 12개월 흉위, 18개월 십자부고, 도체중 및 도체율의 경우 0.8 이상이었으나 다른 형질에서의 추정치는 이보다 낮았다.

Detection of Polymorphism of Growth Hormone Gene for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Allele Type and Growth Traits in Karan Fries Cattle

  • Pal, Aruna;Chakravarty, A.K.;Bhattacharya, T.K.;Joshi, B.K.;Sharma, Arjav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0호
    • /
    • pp.1334-1337
    • /
    • 2004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ct polymorphism at growth hormone gene in Karan Fries bulls. A 428 bp fragment of growth hormone gene spanning over $4^{th}$exon, $4^{th}$intron and $5^{th}$ exon was amplified and digested with AluI restriction enzyme to identify polymorphism at this locus. Karan Fries bulls were found to be polymorphic at this locus. Two genotypes LL and LV were identified in Karan Fries with higher allelic frequency for L allele. In Karan Fries males, the average birth weight, 3 months body weight and daily body weight gains of LL homozygo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V heterozygotes. Genetic distances of KF bulls with respect to genotype along with 3 months body weight and average daily body weight gain forms a single cluster of bulls with LL genotype, while individuals with LV genotype forms three distinct clusters indicating more influence of L allele on growth traits.

The Effect of Increasing Control-to-case Ratio on Statistical Power in a Simulated Case-control SNP Association Study

  • Kang, Moon-Su;Choi, Sun-Hee;Koh, In-Song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7권3호
    • /
    • pp.148-151
    • /
    • 2009
  • Generally, larger sample size leads to a greater statistical power to detect a significant difference. We may increase the sample size for both case and control in order to obtain greater power. However, it is often the case that increasing sample size for case is not feasible for a variety of reasons. In order to look at change in power as the ratio of control to case varies (1:1 to 4:1), we conduct association tests with simulated data generated by PLINK. The simulated data consist of 50 disease SNPs and 300 non-disease SNPs and we compute powers for disease SNPs. Genetic Power Calculator was used for computing powers with varying the ratio of control to case (1:1, 2:1, 3:1, 4:1). In this study, we show that gains in statistical power resulting from increasing the ratio of control to case are substantial for the simulated data. Similar results might be expected for real data.

Design of Fuzzy PD+I Controller Based on PID Controller

  • Oh, Sea-June;Yoo, Heui-Han;Lee, Yun-Hyung;So, Myung-Ok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7-122
    • /
    • 2010
  • Since fuzzy controllers are nonlinear, it is more difficult to set the controller gains and to analyse the stability compared to conventional PID controllers. This paper proposes a fuzzy PD+I controller for tracking control which uses a linear fuzzy inference(product-sum-gravity) method based on a conventional linear PID controller. In this scheme the fuzzy PD+I controller works similar to the control performance as the linear PD plus I(PD+I) controller. Thus it is possible to analyse and design an fuzzy PD+I controller for given systems based on a linear fuzzy PD controller. The scaling factors tuning scheme, another topic of fuzzy controller design procedure, is also introduced in order to fine performance of the fuzzy PD+I controller. The scaling factors are adjusted by a real-coded genetic algorithm(RCGA) in off-lin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fuzzy PD+I controller for tracking control problems by comparing with the conventional PID controllers.

융해 온도가 유전자원 활용을 위한 희소한우(칡소, 흑우 및 백우) 동결 정액의 재 동결 후 정자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awing Temperature of Frozen rare Breed Hanwoo (Korean Native Cattle) Semen on Viability of Refrozen Spermatozoa)

  • 김민수;최아름;김찬란;김동교;성환후;김성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17
  • 유전자원을 동결 보존하는 것은 유전적인 개량과 우수한 종축의 재생산 및 멸종 위기종의 유전자 집단을 보존하는데 있어 중요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동결 유전자원의 대표적인 정액은 살아 있는 종축에서 채취하여 보존하고 있는데 동결자원은 그 수가 제한되어 있어 이용에 한계가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동결정액을 2가지 방법으로 융해하고 재 동결을 실시하여 그 정자의 특성을 CASA로 분석하고 생존성을 비교하였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정액은 재동결 과정을 극복하여 반복적인 동결 및 융해가 가능하다고 보고되었으나 한우 정액에 관한 재 동결 성적에 관한 연구는 자료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칡소 2두, 흑우 1두, 백한우 2두 및 보증씨수소 1두의 동결정액을 이용하여 재 동결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개체에 따라 29.7%에서 46.6%의 생존율을 얻었다. 2차 동결 방법에 있어서 생존율은 $5^{\circ}C$에서 융해하는 방법이 $37^{\circ}C$ 융해방법보다 더 높으며 변이가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가지 방법에 의한 재동결 기법은 체외 수정이나 OPU 유래 수정란 생산을 위하여 한우의 증식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추후 수정란 생산에 관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다형질 Animal Model에 의한 한국산 전복 2 아종의 초기 치패의 성장관련 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Growth-related Traits of Two Korean Abalone Subspecies, Haliotis discus hannai and H. discus discus, by using Multiple Traits of Animal Model in Early Growth Period)

  • 최미경;한석중;양상근;원승환;박철지;여인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7-225
    • /
    • 2007
  • 본 연구는 국립수산과학원에서 2004년도부터 시작된 전복 육종 프로그램 개발의 일환으로서, 전복 집단에서 개체에 대한 유전적 평가를 바탕으로 우량전복을 효과적으로 선발하기 위해 전복 성장 형질에 대한 초기 성장시기에 있어 각 종별 유전모수를 추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한국산 북방전복과 둥근전복은 동해안, 남해안, 서해안 및 제주연안의 전국 11 개소로부터 자연산과 양식산으로 구분하여 수집한 후, DNA 분석에 의한 원거리 유연관계를 기초로 F1 세대의 반형매군을 생산하고 채묘후 5개월간 사육을 실시하였다. 이중 임의로 추출한 북방전복 76가계 (3,795 마리), 둥근전복 8가계 (399 마리) 에 대해 각장 (mm), 각폭 (mm) 및 중량 (g) 에 대해 측정을 실시하고, 유전모수는 성장관련형질인 각장, 각폭, 중량, 체형 및 비만도에 대해 추정하였다. 개체에 대한 성장형질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분석을 위해 animal model에 의한 선형 혼합모형을 이용하여 SAS 통계 프로그램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EL-REML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method를 전산 프로그램화한 REMLF90 (Misztal, 1990) 을 이용하여 다형질 혼합모형으로 유전모수를 추정하였다. 분석모형은 sire와 dam의 수집해역효과, 자연산 혹은 양식산 sire와 dam의 교배 효과, 생산시기 및 사육밀도를 고정효과로 하였다. 분석결과 초기성장시기인 채묘후 5개월령에서의 성장관련 형질은 북방전복에서 평균 $\pm$ 표준편차가 각각 각장 15.11 $\pm$ 4.04 mm, 각폭 10.64 $\pm$ 2.70 mm 및 중량 0.44 $\pm$ 0.33 g이었으며, 둥근전복에서는 각각 각장 14.56 $\pm$ 4.01 mm, 각폭 10.19 $\pm$ 2.67 mm 및 중량 0.40 $\pm$ 0.30 g 이었다. 채묘후 5개월령에서의 북방전복의 유전력은 각장, 각폭, 중량, 체형 및 비만도에서 각각 0.76, 0.78, 0.73, 0.20, 0.17로 추정되었다. 둥근전복의 각장, 각폭, 중량, 체형 및 비만도에 대한 유전력은 각각 0.89, 0.87, 0.89, 0.45, 0.01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북방전복과 둥근전복 모두 각장, 각폭 중량에서 고도의 유전력이 추정되어 개체선발만으로도 높은 육종효과가 기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북방전복과 둥근전복의 성장관련형질에 대한 유전상관은 각장과 각폭, 각장과 중량 및 각폭과 중량 간에 각각 0.99, 0.96, 0.96, 0.99, 0.99, 0.98로 추정되어 두 종 모두에서 형질들 간의 높은 유전상관을 나타내었다.

  • PDF

다형질 Animal Model에 의한 12개월령 한국산 전북 2 아종의 성장관련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Growth-Related Traits in 1-Year Old of Two Korean Abalone Subspecies, Haliotis discus hannai and H. discus discus, by Using Multiple Traits of Animal Model)

  • 최미경;한석중;양상근;원승환;박철지;여인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1-130
    • /
    • 2008
  • 양식 대상 종들에 있어 성장형질에 대한 개량은 선발 육종을 통하여 이루어져 왔다. 북방전복과 둥근전복은 아시아에서는 매우 중요한 전복종이 지만 그동안 이들에 대한 선발 육종연구는 활발하지 못하였으나, 최근 들어 이들 전복에 대한 선발 육종연구가 신중히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12개월 령의 북방전복과 둥근전복에 대한 다형질 개체모형을 이용하여 유전력, 유전상관 및 표형형상관 등 유전모수 추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에 사용한 한국산 북방전복과 둥근전복은 동해안, 남해안, 서해안 및 제주연안의 전국 11개소로부터 자연산과 양식산으로 구분하여 수집한 후, DNA 분석에 의한 원거리 유연관계를 기초로 F1세대의 전형매 혹은 반형매군을 각각 생산하고 1년간 사육을 실시하였다. 이중 임의로 추출한 북방전복 26가계(1,509 마리), 둥근전복 6가계(297 마리)에 대해 각장(mm), 각폭(mm) 및 중량(g)에 대해 개체별 측정하고, 유전모수 추정은 성장관련형질인 각장, 각폭, 중량, 체형 및 비만도에 대해 각각 실시하였다. 개체의 성장형질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효과분석을 위해 animal model에 의한 선형모형을 이용하여 SAS 통계 프로그램 package(ver. 9.1)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전모수 추정을 위해서는 EL-REML(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method를 전산 프로그램화한 REMLF90(Misztal, 2001)을 이용하여 다형질 혼합모형으로 유전모수 추정을 실시하였다. 분석모형에서 교배 sire와 dam의 자연산 혹은 양식산에 의한 교배타입을 고정효과로 하였다. 분석결과 12개월 령에서의 성장관련 형질은 북방전복에서 평균$\pm$표준편차가 각장 $29.86{\pm}5.89$ mm, 각폭 $20.70{\pm}4.09$ mm 및 중량 $3.47{\pm}2.05$ g, 둥근전복은 각장 $31.80{\pm}6.15$ mm, 각폭 $21.97{\pm}4.13$ mm 및 중량 $4.23{\pm}2.42$ g으로 각각 성장하였다. 12개월 령 북방전복의 유전율은 각장, 각폭, 중량, 체형 및 비만도에서 각각 0.43, 0.43, 0.40, 0.19, 0.09로 추정되었다. 12개월 령 둥근전복의 각장, 각폭, 중량, 체형 및 비만도에 대한 유전율은 각각 0.33, 0.26, 0.51, 0.23, 0.10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북방전복과 둥근전복 모두 각장, 각폭 및 중량에서 중고도의 유전율이 추정되어 높은 육종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북방전복과 둥근전복의 성장관련형질에 대한 유전상관은 각장과 각폭, 각장과 중량 및 각폭과 중량 간에 각각 0.92-0.97, 0.96-0.99로 추정되어 두 종 모두에서 형질들 간의 높은 유전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성장관련 형질 중 어느 것을 기준으로 선발을 실시하여도 다른 관련형질에 대한 높은 개량효과가 추정되어졌다.

  • PDF

The effectiveness of genomic selection for milk production traits of Holstein dairy cattle

  • Lee, Yun-Mi;Dang, Chang-Gwon;Alam, Mohammad Z.;Kim, You-Sam;Cho, Kwang-Hyeon;Park, Kyung-Do;Kim, Jong-Jo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3호
    • /
    • pp.382-389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iciency of genomic selection for milk production traits in a Korean Holstein cattle population. Methods: A total of 506,481 milk production records from 293,855 animals (2,090 heads with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formation) were used to estimate breeding value by single step 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Results: The heritability estimates for milk, fat, and protein yields in the first parity were 0.28, 0.26, and 0.23, respectively. As the parity increased, the heritability decreased for all milk production traits. The estimated generation intervals of sire for the production of bulls (LSB) and that for the production of cows (LSC) were 7.9 and 8.1 years, respectively, and the estimated generation intervals of dams for the production of bulls (LDB) and cows (LDC) were 4.9 and 4.2 years, respectively. In the overall data set, the reliability of genomic estimated breeding value (GEBV) increased by 9% on average over that of estimated breeding value (EBV), and increased by 7% in cows with test records, about 4% in bulls with progeny records, and 13% in heifers without test records. The difference in the reliability between GEBV and EBV was especially significant for the data from young bulls, i.e. 17% on average for milk (39% vs 22%), fat (39% vs 22%), and protein (37% vs 22%) yields, respectively. When selected for the milk yield using GEBV, the genetic gain increased about 7.1% over the gain with the EBV in the cows with test records, and by 2.9% in bulls with progeny records, while the genetic gain increased by about 24.2% in heifers without test records and by 35% in young bulls without progeny records. Conclusion: More genetic gains can be expected through the use of GEBV than EBV, and genomic selection was more effective in the selection of young bulls and heifers without test records.

잣나무 생장특성(生長特性)의 광의(廣義)의 유전력(遺傳力)과 수형목(秀型木) 클론선발(選拔)에 의(依)한 개량효과(改良効果) (Broad Sense Heritabilities of Growth Characters and Genetic Gain in Clonal Selection of Plus Tree of Pinus koraiensis S. et Z.)

  • 한상억;최선기;권혁민;이상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1-5
    • /
    • 1985
  • 잣나무 수형목(秀型木) 23클론에 대(對)한 수고(樹高), 흉고직경(胸高直徑), 수관폭(樹冠幅), 가지길이 및 가지 직경(直徑)의 생장특성(生長特性)을 측정(測定)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을 얻었다. 1) 생장(生長)이 가장 우수(優秀)한 클론은 가장 불량(不良)한 클론에 비(比)하여 수고(樹高)는 41%, 흉고직경(胸高直徑)은 81%, 수관폭(樹冠幅)은 50%, 가지길이는 55% 및 가지직경(直徑)은 83%의 양호(良好)한 생장(生長)을 보였다. 2) 각(各) 생장특성(生長特性)은 클론간(間)에 유의차(有意差)가 있었으며, 각(各) 생장특성간(生長特性間)의 상관(相關)은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r=0.418^*{\sim}0.917^{**}$). 3) 각(各) 생장특성(生長特性)에 대(對)한 광의(廣義)의 유전력(遺傳力)은 수고(樹高)에서 0.46, 흉고직경(胸高直徑)에서 0.45, 수관폭(樹冠幅)에서 0.28, 가지길이에서 0.26 및 가지직경(直徑)에서 0.18로 추정(推定)되었다. 4) 개량효과(改良効果)는 23 클론 중(中) 생장(生長)이 우수(優秀)한 3 클론을 각(各) 특성별(特性別)로 선발(選拔)하여 4.1%~11.1%까지 예측(豫測)할 수 있었다.

  • PDF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 세포주의 염색체 이상 분석: 비교유전체보합법과 Array 비교유전체보합법 (Cytogenetic Analysis in Korean Head and Neck Cancer Cell Lines: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CGH) and Array-CGH)

  • 신유리;박수연;이동욱;김한수;고영민;박현주;정성민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3-42
    • /
    • 2008
  •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HNSCC) is notorious for its poor outcome and increasing incidence. But, the studies of cytogenetic analysis in HNSCC are relatively rare, because of difficulties in culturing solid tumor cells and complexity in chromosomal DNA abberations associated with the le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ocation of chromosomal aberrations in Korean HNSCC cell lines (SNU-1041, 1066, and 1076) with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CGH) and array based CGH(array-CGH). Chromosomal gains of 3q23-q27, 5p13-p15.3, 7p21-pter, 8q11.2-q12, 8q21.1-qter, 9q22-q34, 16q22-q24, and 20q11.2-qter, as well as chromosomal losses on 3p10-p14 were found in all 3 SNU cell lines. Losses on 3p15- p23, 4q22-q27, 4q31.3-qter, 6q14-q15, 7q31-q34, 8p12-pter, 18q21-q23, and 21q11.2-q12 were observed in 2 of 3 cell lines. In array-CGH, many genes were altered including gains of PIK3CA, MYC, EVI1, MAD1L1 genes and losses of SERPIN genes. These aberrations of gene and chromosome coincide with other results of study, generally. These data about the patterns of chromosomal aberrations could be a basic step for understanding more detailed genetic events in the carcinogenesis and also provide information for diagosis and treatment in HNS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