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tion MZ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5초

Metaverse Platform Design for Strengthening Gender Sensitivity of MZ Generation

  • Kim, Sea Woo;Na, Eun G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3호
    • /
    • pp.79-84
    • /
    • 2022
  • Due to a series of online sex crimes cases and online class conversions caused by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alternatives to sex education in schools are urgently requir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etaverse sex education platform was designed. Using this platform, learners are expected to cultivate correct adult awareness and digital citizenship.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learners can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learning. Instead of exposing one's name and face in a place dealing with sensitive gender issues, one can participate in education through his or her decorated avatar and participate in education much more actively than face-to-face education and express one's opinion through chat. In addition, education by level can be received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which can have the effect of bridging the educational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ex education platform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by utilizing metaverse.

호텔 기업의 지식공유문화와 전략이 MZ세대 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Culture and Strategy of Hotel Companies on the Psychological Own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MZ Generation Employees )

  • 박소현 ;김현규;최정원;정남호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4호
    • /
    • pp.233-250
    • /
    • 2022
  • 본 연구는 호텔 기업의 지식공유문화가 MZ 세대 종사원의 지식공유를 매개로 심리적 주인의식, 조직시민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암묵지와 형식지 등 두가지 지식유형에 따른 각기 다른 경영전략이 지식공유문화와 지식공유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수도권 호텔에 종사하는 종사원 138명을 대상으로 데이터 수집 후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호텔 기업의 지식공유문화는 지식공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더 나아가 심리적 주인의식과 조직적시민행동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호텔 기업의 경우 형식지 지향 전략보다 암묵지 지향 전략이 종사원들의 지식공유를 유도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보아 기업이 다양한 형태의 암묵지 전략을 이용하여 지식공유문화를 제공한다면 MZ세대 종사원의 조직 시민행동과 심리적 주인의식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MZ세대 소비자를 겨냥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a textile design targeting Chinese consumers from Generation MZ)

  • 척흔월;김칠순;이채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31권4호
    • /
    • pp.558-571
    • /
    • 2023
  • In recent years, young Chinese consumers have become more favorably inclined toward products relating to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extile design that incorporates traditional Chinese patterns and cultural symbolism that will appeal to consumers from the MZ generation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Through a literature search for traditional Chinese patterns and symbols regarded as auspicious, our design concept and motives were established. We selected peony, lotus, and frog motifs as representative of a "wealth and eternal prosperity" design theme. In textile design work 1, we used hand drawing and watercolor techniques, color transformation with Adobe Photoshop, and colorway and end-use 3D simulation with TexPro. The 3D simulation work suggests that this textile pattern is suitable for women's outerwear, mufflers, and tote bags. Textile design work 2 conveyed the 'wealth and eternal prosperity' design theme and had a graceful mood that embodied the nobility of the lotus flower whilst also encompassing the symbolism of money and status. The end design is a modern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hinese patterns and motifs. As such, it is hoped that it will satisfy the needs of young consumers for cultural values yet offer a unique new aesthetic distinct from existing textile designs. These qualities can be expected to enhance the competitive market value of textiles bearing this design.

애슬레저 브랜드 커뮤니티의 세대별 사용자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Athleisure Brand Communities by Generation)

  • 나혜숙;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397-402
    • /
    • 2021
  •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해 애슬레저 브랜드 커뮤니티 사용자 경험 만족도를 세대별로 측정하고 세대별 소비 취향에 따른 만족 요인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브랜드 커뮤니티 측정 도구는 스티븐 앤더슨(Stephen P. Anderson)의 감성 인터페이스 모형을 중심으로 작성된 설문지를 사용했고, 주요 수요층인 10대-40대의 여성을 중심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설문 결과 세대별 소비성향에 따라 커뮤니티 참여율과 만족도 요인이 유의미하게 다르게 나타남을 추론할 수 있었다. 또한 태스크 중심의 만족도는 높았으나 경험 위주의 만족도는 비교적 낮은 결과가 도출 되었는데 이는 향후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경험 위주의 만족도 향상의 제고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세대별 소비 취향에 따른 만족도 요인이 향후 세분된 수요자 중심의 브랜드 커뮤니티 연구의 자료로써 활용되길 기대한다.

코로나19로 인한 식품 소비행태 변화분석: MZ세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Food Consumption Behavior due to COVID-19: Focusing on MZ Generation)

  • 이홍승;김준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47-54
    • /
    • 2021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구매패턴이 1인 가구와 맞벌이 부부의 증가 등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화로 이미 변경되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의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그 변화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된다. 이를 위해 전문조사업체인 닐슨코리아의 패널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한 분석결과를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특히 소비자를 2개의 세대 그룹(Z세대 vs. 밀레니얼세대)으로 나누어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소비활동 변화와 식품구매 행태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 기존 온라인 유통이 강화되어가고 있던 추세가 코로나19로 인해 그 영향이 증폭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세대별로 코로나19 우려 정도의 차이에 따라 소비행동도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속화하고 있는 '언택트' 중심으로 소비자들의 행동변화를 새로운 기회로 전환시키는데 있어 관련된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으로는 식품업계의 대응전략에 대한 관리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Analysis of news bigdata on 'Gather Town' using the Bigkinds system

  • Choi, Su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53-61
    • /
    • 2022
  •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전으로 가상과 현실의 경계가 모호한 디지털 환경 속에서 MZ세대와 메타버스가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MZ세대에 부합되는 교수학습 방식으로 메타버스가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듀테크 관점에서 언론사 뉴스 분석을 통해 메타버스 플랫폼 중의 하나인 게더타운의 활성화 요인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재단에서 제공하는 빅카인즈 시스템을 이용하여 빅데이터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COVID-19 팬데믹 이후에 나타날 미래교육에서 '게더타운'의 활용도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연관어와 워드크라우드 분석에서, '비대면'이나 '대학' 그리고 '신입생' 등 교육 관련 용어들의 가중치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메타버스', '메타버스 플랫폼'을 포함하여, '코로나19'나 '아바타' 등의 용어도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네트워크 분석에서 도출된 주요 용어로는 '코로나19, 아바타, 대학생, 진로, 유튜브' 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여건 하에서, 본 연구 결과는 메타버스 플랫폼의 하나인 게더타운의 향후 교육 영역에서의 활용이 보다 활성화 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 지속가능한 패션제품 특성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후베이성 지역 대학생 중심으로 - (Effect of Sustainable Fashion Product Characteristics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 Focusing on Chinese Student in Hubei Province of China -)

  • 유영;이영숙;이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98-210
    • /
    • 2022
  • 최근 친환경에 관한 패션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이뤄지고 있으나 친환경 및 환경 지속가능한 패션제품에 관한 선호도와 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는 아직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선호도를 매개효과로 하여 환경 지속가능한 패션제품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후베이성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MZ세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사용하여 온라인을 통한 설문조사를 2021년 8월 15일부터 2021년 8월 20일까지 총 350부를 실시하였다. 이 가운데 유효하지 않는 설문지를 제외한 33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26와 AMOS26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환경 지속가능한 패션제품의 특성 중 환경보호성 특성이 선호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동시에, 환경 지속가능성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두 번째로 선호도는 환경보호성의 구매의도에 대한 관계에서 긍정적으로 매개효과를 입증하였다. 이에 따라 MZ세대에게 환경 지속가능한 제품과 환경보호에 관한 영향을 절대적으로 중요한 특성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환경 지속가능한 패션제품은 최근 중요한 환경문제와 연결하여 패션제품의 특성의 장점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MZ세대에게 가상모델 인플루언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 연구:의료기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Way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Virtual Models as Influencers for the MZ Generation: Focusing on Medical Institutions)

  • 이희정;안명아
    • 서비스연구
    • /
    • 제13권1호
    • /
    • pp.26-47
    • /
    • 2023
  • 본 연구는 MZ세대를 중심으로 가상모델의 인플루언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 연구로 전문 서비스 산업군인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변수들간의 영향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MZ세대를 대상으로 국내 대표 가상 인플루언서인 '로지'에 대한 인지여부를 스크리닝 한 뒤 '로지'에 대해 인지가 된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 및 결과로는 첫째, 병원을 홍보하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팔로우 동기를 인지적 동기와 감정적 동기로 구분하여 가상 인플루언서 팬쉽형성과 매력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고, 가상 인플루언서의 팔로우의 동기의 중요성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조절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인지적 동기와 감정적 동기 모두 가상 인플루언서에 대한 팬쉽 형성과 매력도에는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성별에 따라 남성의 경우 인지적동기가 감성적 동기보다 중요하였고 여성은 감성적 동기가 인지적 동기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병원을 홍보하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팔로우 동기인 인지적 동기와 감정적 동기는 병원 방문의도와의 영향관계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의료서비스산업군인 병원의 방문의도로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컨텐츠 내용이 유용하고 신뢰성 있으며 소비자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가진 인지적 동기만이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특정 전문산업 군인 의료서비스 분야에서의 가상 인플루언서의 마케팅전략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이론적·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디저트카페 품질과 친환경 행동이 고객 신뢰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MZ 세대를 중심으로 (Effects of Dessert Cafes' Quality and Eco-Friendly Behavior on Customer Trust and Loyalty - Focused on Generation MZ)

  • 이새미;박상언;이드보라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3권1호
    • /
    • pp.47-57
    • /
    • 2022
  • Purpose: Recently, it is common to see cases where an amount similar to the cost of a meal is spent on dessert, or an amount greater than the cost of a meal is spent on dessert. The generation MZ is showing a tendency of 'value consumption' by consuming values and beliefs in consideration of the recent impact on society and the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dessert cafe quality and eco-friendly behavior on customer trust and loyalty targeting the generation MZ who have visited desert cafés.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customer trus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sert café quality, eco-friendly behavior and customer loyalty, and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and eco-friendly behavior on customer trust and customer loyal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o achieve purposes of this study, 229 data were collected from respondents who visited desert café and analyzed using measurement model (reliability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Fornell-Larcker Criterion and Heterotrait-Monotrait Ratio (HTMT) assessmen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PLS-SEM) with SPSS 22.0 and SmartPLS 3.3.7.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sert cafes' quality positively influenced customer trust but did not customer loyalty. Second, desert cafes' eco-friendly behavior positively influenced customer trust and customer loyalty. Fourth, the interaction term of dessert cafe quality and eco-friendly behavior did not influence customer trust and customer loyalty. Conclusions: This study emphasized the necessity of service quality and eco-friendly behavior of dessert cafe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dessert cafes and eco-friendly behaviors, customer trust and loyalty. It also foun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rust in securing loyal customers. In order to secure and retain loyal customers, the owners of dessert cafes should make efforts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afes' products and services so that customers can feel a sense of trust, and actively publicize that they are practicing eco-friendly manage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dessert cafes by understand ing the effects of product and service quality and eco-friendly behaviors of companies to bakery industry workers and start-ups.

고객들의 기술 우려감과 혁신성이 키오스크 지속 사용 의지에 미치는 영향: Z세대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echnology Anxiety and Innovativeness on Consumer's Continuance Intention toward Kiosks: Focused on Z Generation)

  • 박진엽;김병수
    • 지식경영연구
    • /
    • 제24권2호
    • /
    • pp.117-135
    • /
    • 2023
  • 최근 코로나 19 확산과 언택드 서비스의 선호로 셀프 서비스 기술을 활용한 키오스크가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키오스크는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고객들은 키오스크 사용 과정에서 불편함이나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기대 일치 모형에 기술 우려감과 혁신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키오스크 지속 사용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IT에 익숙한 젊은 층들의 키오스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Z 세대를 대상으로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Z 세대들이 키오스크 사용에 대해 기술적 어려움이나 불편한 점을 느끼고 있다면, 다른 세대들의 고객들도 큰 불편함을 느낄 것으로 예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 분석 결과, 기술 우려감은 지속 사용 의지 형성에 부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고객의 특성 요인 가운데 혁신성은 지속 사용 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 업체들은 키오스크에 대한 고객들의 지속 사용 의지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성공적으로 키오스크를 도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