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lized tonic clonic seizure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4초

Disseminated adenovirus infection in a 10-year-old renal allograft recipient

  • Lee, Bora;Park, Eujin;Ha, Jongwon;Ha, Il Soo;Cheong, Hae Il;Kang, Hee Gyung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
    • 제37권4호
    • /
    • pp.414-417
    • /
    • 2018
  • Disseminated adenovirus infection can result in high mortality and morbidity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Here, we report the case of a 10-year-old renal allograft recipient who presented with hematuria and dysuria. Adenovirus was isolated from his urine. His urinary symptoms decreased after intravenous hydration and reduction of immunosuppressants. However, 2 weeks later he presented with general weakness and laboratory tests indicated renal failure necessitating emergency hemodialysis. Adenovirus was detected in his sputum; therefore, intravenous ganciclovir and immunoglobulin therapy were initiated. Renal biopsy revealed diffuse necrotizing granulomatous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compatible with renal involvement of the viral infection. Adenovirus was detected in his serum. Despite cidofovir administration for 2 weeks, adenovirus was also detected in the cerebrospinal fluid, resulting in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 The patient died 7 weeks after the onset of urinary symptoms. Adenovirus should be considered in screening tests for post-renal transplantation patients who present with hemorrhagic cystitis.

뇌성마비아의 간질 발생에 대한 임상연구 (Clinical stud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ssociated with or without epilepsy)

  • 안용주;정혜전;윤석;조의현;정사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5호
    • /
    • pp.529-532
    • /
    • 2006
  • 목 적 : 뇌성마비는 뇌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뇌에 발생한 비진행성 손상으로, 이러한 뇌성마비를 가진 환아의 간질 발생 빈도는 15-90%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렇게 뇌성마비와 간질이 중복 되서 나타나는 경우에 심각한 중복 장애를 남길 수 있다. 따라서 뇌성마비아 중 간질의 발생아와 비발생아의 특징을 비교하여 장기적인 진료 및 예후의 지표를 삼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부터 2004년까지 9년간 경희의료원 소아과 외래에서 뇌성마비로 진단받고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9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들의 뇌성마비를 분류하고, 간질의 형태와 발병 당시의 나이, 뇌영상소견과 뇌파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 과 : 뇌성마비에서의 간질의 유병률은 93명 중 43명으로 46.2%이었으며, 발작의 초 발 연령은 평균 21.5개월로 1세 미만에서 발생한 경우가 21례(48.8%)로 가장 많았고, 1세 미만에서는 영아 연축과 근간대성 발작의 빈도가 의미 있게 높았으며, 전체적으로는 강직성-간대성 발작이 44.2%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뇌영상소견에서 가장 많이 동반된 이상은 뇌 피질 위축으로 간질 발생군과 비간질 발생군에서 각각 22례(23.6%)와 12례(12.1%)였으며, 뇌파 소견에서는 간질 발생아의 전례에서 이상 소견을 보였다. 결 론 : 뇌성마비아에서 간질이 동반된 경우 어린 나이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간질의 형태로는 전신성 간대성-강직성 발작이 가장 많았다. 또한 뇌 영상검사와 뇌파검사에서 뇌성마비아 중 간질 발생아와 비간질 발생아에서 의미 있는 빈도 차이를 보여 조기 진단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A Case of Isoniazid Intoxication in a Dog

  • Oh, Jimin;Kim, Hong-Seok;Kang, Ji-Houn;Kang, Byeong-Teck;Yang, Mhan-Pyo;Kim, Hakhyu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04-209
    • /
    • 2021
  • A seven-month-old castrated male Chihuahua weighing 1.6 kg presented with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 following ingestion of isoniazid. Emergency treatment with three doses of diazepam (total 1.5 mg/kg, intravenous [IV]) and phenobarbital (15 mg/kg IV) was administered. The seizure stopped after administration of propofol (constant rate infusion [CRI]; 0.2 mg/kg/min). Blood analyses showed mildly increased serum blood glucose concentration, hyperkalemia, and hyperphosphatemia. On suspicion of isoniazid toxicity, activated charcoal (1 g/kg, orally), lipid emulsion (CRI; 9 mL/hr), and pyridoxine hydrochloride (70 mg/kg IV) were added to the treatment regimen. Twelve hours after presentation, the dog showed increased serum liver enzyme activities, serum 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concentrations indicating hepatic and renal failure. Twenty-two hours after presentation, blood analysis still revealed increased liver enzyme activities, 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concentrations with low blood glucose concentration. Twenty-six hours after presentation, the dog's vital signs deteriorated and the owner elected for the dog to be euthanize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clinical course of isoniazid toxicosis in a dog in South Korea. Furthermore, to our best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where secondary multiple organ failure was observed due to isoniazid toxicosis. Clinicians should be aware of the possibility of isoniazid toxicosis in dogs. Rapid initiation of treatment after clinical recognition is warranted in such cases.

위장관염과 동반된 양성 영아 경련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Features of Benign Infantile Convulsions with Gastroenteritis)

  • 이정선;권혜옥;지영미;채규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7호
    • /
    • pp.753-759
    • /
    • 2005
  • 목 적 : 소아에서 위장관염에 동반된 경련의 발생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임상보고가 최근에 추가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저자들은 위장관염과 함께 무열성 경련을 보였던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의 임상적 특징 고찰과 발작간기 뇌파를 통해 이 질환의 전기 생리학적인 특징을 규명함으로서 향후 이 질환의 간질 증후군 분류와 진단, 치료 및 예후 예측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 1일부터 2004년 6월 30일까지 3년 6개월 동안 급성 위장관염으로 분당차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치료받은 환아 중 과거 신경질환이나 발달 이상의 병력이 없으면서 전해질 이상 및 저혈당에 의하지 않는 무열성 경련이 관찰되었던 67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급성 위장관염 입원 환아 2,887례 중 67례(2.3%)에서 무열성 경련이 관찰되었고 대상 환아의 연령은 1개월에서 42개월 사이($18.5{\pm}6.1$)이며 남아가 32례, 여아가 35례이었다. 경련 양상은 전신 강직-간대 발작은 51례(76.1%), 전신 강직 발작은 16례(23.9%) 형태였고 평균 경련시간은 2.8분(20초-40분), 입원 기간동안 평균 경련 횟수는 3.1회(1-13회)이었으나 경련 전후의 신경학적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항경련제는 42례(62.7%)에서 사용되었으며 이 중 23례에서는 2가지 이상의 항경련제 사용 후에 경련이 조절되었다. 뇌척수액 검사는 54례에서 시행되었으며 모두 정상이었고, 15례에서 시행된 뇌영상 검사는 모두 정상이었다. 49례에서 시행한 대변 배양 검사 상 세균은 자라지 않았으며, 로타바이러스는 62례 중 51례(82.3%), 노로바이러스는 18례 중 2례, 아스트로바이러스는 18례 중 1례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대상 환아에서 시행한 총 73례의 발작간기 뇌파에서 49례(67.1%)는 정상 소견을 보였으나 24례(32.9%)에서는 두정위 일과성 예파(vertex sharp transient)와 구분되는 극파 또는 예파가 수면 I-II기에 중심부에서 관찰되었고 이 중 추적뇌파가 가능했던 6례에서 3례는 정상화가 되었으나 3례에서는 저진폭의 비정형적인 극파나 예파가 지속되었다. 퇴원 후 추적조사는 58례(86.6%)에서 시행되었고 최대 36개월까지 모두 신경학적 후유증없이 정상적인 발달을 보였다. 결 론 : 급성 위장관염과 동반된 양성 무열성 경련은 정상발달을 보이며 건강하던 영유아에서 일회성 또는 다발성으로 발생하며 전해질, 혈당, 뇌척수액 등의 검사가 정상이고, 일부에서는 일시적으로 중심부에서 극파 또는 예파를 보이지만 추적 검사 시에는 정상 또는 호전되는 소견을 나타내며 양성 경과를 취한다. 따라서 이 질환군은 간질 증후군 중 특별 증후군으로 분류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정상 발달을 보이는 영유아에서 급성 위장관염과 함께 무열성 경련이 발생하는 경우 반드시 이 질환군을 고려하여야 하며 보호자를 안심시키고, 장기간의 과다한 항경련제 투여와 불필요한 방사선 검사를 피하는 등 그 진단과 치료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 3년간(2004-2006년) 응급실로 내원한 소아환자 중 급성 발작으로 인한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review of acute seizures among children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in Masan Samsung hospital from 2004 to 2006)

  • 이원덕;유재욱;이주석;이준화;조경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4호
    • /
    • pp.420-425
    • /
    • 2008
  • 목 적: 급성 발작은 응급실로 오는 소아 환자의 중요한 원인이므로 저자들은 급성 발작으로 경남권역 응급의료센터인 마산삼성병원 응급실로 내원한 소아 환자들의 연령별 원인, 발생 지역, 임상 양상, 발작 양상, 입원 유무 등을 파악하고 지역 의료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4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3년 동안 마산삼성병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던 15세 미만 소아 환자 9,487명중 급성발작을 주소로 내원한 433명(4.6%)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지를 통해 연구하였다. 결 과 : 남녀 비는 1.4:1로 남아에서 더 많았고, 2-6세 군이 전체 443명 중 195명(45.0%)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40.9{\pm}34.9$개월이었다. 지역적 분포는 마산, 창원, 함안, 진해, 김해 순이었으며, 시기적으로는 12월(14.8%)과 1월(10.2%)이 가장 많았으며, 내원 시 열을 동반한 경우는 176명(40.6%)이었고, 발작양상 중 전신 강직간대 발작이 272명(62.7%)으로 가장 많았다. 발작 횟수는 평균 $1.5{\pm}1.0$회였고, 발작 시간은 평균 $6.7{\pm}13.2$분이었으며, 응급실 도착 시 발작을 하고 있던 환자는 32명(7.4%)밖에 안 되었고 대다수 401명(92.6%)은 발작이 멈춘 상태였다. 433명 중 열성 발작은 302명(69.7%)이었다. 열성 경련 환자의 발열 원인은 급성 인후염이 135명(44.6%)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외 기관지염, 장염, 폐렴, 요로 감염 순이었으며 원인 미상도 98명이었다. 열성 발작을 제외한 발작 131명(30.3%) 중 간질이 원인인 경우가 93명(71.5%)으로 가장 많았고 이 외 경도 위장관염에 동반된 양성 경련, 출생 시 뇌 손상의 후유증 및 뇌의 발달이상, 중추신경계 감염 순이었다. 연령별 급성 소아 발작의 원인으로는 신생아군에서는 원인 불명 간질, 기타(패혈증), 전해질 이상 순이었으며, 생후 1-6개월에서는 특발성 간질, 열성 발작 순이며,6-24개월에서는 열성 발작, 경도 위장관염에 동반된 양성 경련,간질 순이었고, 2-6세에서는 열성 발작, 간질, 출생 시 뇌손상의 후유증 및 뇌의 발달이상 순이었으며, 6-15세에서는 간질, 열성경련, 중추신경계 감염, 출생 시 뇌손상의 후유증 및 뇌의 발달이상 순이었다. 또한 433명 중 214(49.4%)명은 입원 없이 응급실진료 후 귀가하였다. 결 론: 2004년에서 2006년까지 최근 3년간 마산삼성병원 15세 이하 응급실 내원 환자 9487명 중 급성 발작으로 내원한 환자는 433명(4.56%)이였으며, 2-6세 사이 남아에서 많았고, 이 중급성 인후염으로 인한 전신 강직간대 발작 형태의 열성 발작인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내원 시에는 열이 없는 경우가 조금 더 많았다. 6개월 이상 6세 미만 연령군에서는 열성 발작이, 6세 이상인 경우에는 특발성 간질이 가장 많은 원인이었다. 내원 당시 대부분의 환자는 발작이 멈춘 상태였으며, 발작은 대부분 1회였고 발작 시간은 5분 이내가 대다수였으며 절반(49.4%) 정도는 입원하지 않고 응급실에서 퇴원하였다.

고체온으로 경련이 유발된 경우 경련의 양상과 쥐 해마부의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발현 (Characteristics of Seizures and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of Hippocampus in Hyperthermia-Induced Seizures of Developing Rat)

  • 김두권;정동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5호
    • /
    • pp.629-636
    • /
    • 2002
  • 목 적 : 고체온에 의하여 유발된 반복성 열성경련에서 경련의 양상과 해마부의 nNOS 발현을 비교관찰하고 열성경련과 nNOS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생후 20일된 Spraque-Dowley rat을 이용하여 1주일에 2회씩 4주간 모두 8회 온수에 노출시켜 고체온에 의한 반복적인 열성경련을 유발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쥐는 모두 82마리로서 이중 52마리는 실험군으로서 항온조에서 4분간 $45^{\circ}C$ 정도의 온수에 노출시켰고, 30마리는 대조군으로서 4분간 $37^{\circ}C$에 노출시켰다. 입수 후 경련이 발생할 때까지를 잠복기로 정하였고, 경련의 첫 증상으로서 근간대성 경련이 보이고 난 후 의식을 회복하여 정상적인 활동을 보이는 시점까지를 경련 지속시간으로 정하였다. 대조군과 고체온에 노출될 때마다 경련을 보였던 hyperthermic seizure group 및 경련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던 hyperthermic non-seizure group 간의 nNOS 발현을 관찰하기 위하여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결 과 : 고체온에 노출되었던 쥐의 87%에서 전신성 강직-간대 발작을 보였고, 고체온 노출횟수에 따른 경련 발생률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입수 후 경련이 나타날 때까지의 잠복기는 158에서 240초였고 평균 204초였으며, 고체온 노출횟수에 따른 잠복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경련 지속시간은 12에서 145초였고 평균 55초로 측정되었으며, 고체온 노출에 따른 경련 지속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결과적으로 고체 온 노출횟수가 증가할수록 경련 지속시간은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나 경련 발생률 및 잠복기는 차이가 없었다. 쥐 해마부에서 nNOS 단백질의 발현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군의 해마부, 대뇌피질 및 소뇌, hyperthermic non-seizure group 및 hyperthermic seizure group의 해마부와 대뇌 피질을 대상으로 하여 western blot을 한 결과 대뇌 피질에서는 각 그룹간에 nNOS 발현에 변화가 없었으나 각 그룹의 해마부에서의 nNOS 단백질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hyperthermic non-seizure group과 hyperthermic seizure group에서 약하게 나타났고, 이 두 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고체온에 의한 반복성 열성경련에서 nNOS 는 경련유발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며 앞으로 열성경련에 의한 해마부의 형태학적인 변화와 함께 많은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용량 Insulin lispro 피하 주사 후 저 인슐린 혈증을 보인 지속적 저혈당성 혼수 환자 1례 (Low Plasma Insulin Level Prolonged Hypoglycemia after High dose Insulin Lispro Injection)

  • 강정호;박현수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1-154
    • /
    • 2016
  • Increased plasma insulin levels are often observed in exogenous insulin overdose patients. However, plasma insulin level may decrease with time. We report a case of low plasma insulin level hypoglycemia after insulin lispro overdose. The patient was a 37-year-old man with no previous medical history who suspected insulin lispro overdose. Upon arrival, his Glasgow coma scale was 3 points and his blood sugar level (BSL) was 24 mg/dl. We found five humalog-quick-pen (insulin lispro) in his bag. There was no elevation of glucose level, despite an initial 50 ml bolus of 50% glucose and 150 cc/hr of 10% dextrose continuous intravenous infusion. He also suffered from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 which was treated with lorazepam and phenytoin. We conducted endotracheal intubation, after which he wa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ICU). There were recurrent events of hypoglycemia below BSL<50 mg/dl after admission. We repeatedly infused 50 ml 50% glucose 10 times and administered 1 mg of glucagon two times. The plasma insulin level was 0.2 uU/ml on initial blood sampling and 0.2 uU/ml after 5 hours. After 13 hours, his BSL stabilized but his mental status had not recovered. Diffuse brain injury was observed up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severe diffuse cerebral dysfunction was found on electroencephalography (EEG). Despite 35 days of ICU care, he died from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저용량 polyethylene glycol 용액에 아스코르빈산을 첨가한 장정결제로 대장내시경 전처치 후 발생한 발작을 동반한 저나트륨혈증 (Severe hyponatremia and seizures after bowel preparation with low-volume polyethylene glycol plus ascorbic acid solution)

  • 이재영;장병익;남윤정;송재이;김민철;정승민;장종걸;조재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2권1호
    • /
    • pp.55-59
    • /
    • 2015
  • The widely used polyethylene glycol (PEG)-based solutions have been proven effective for bowel preparation when 4 L of the solution is administered before colonoscopy. However, large volumes of the solutions are generally poorly tolerated. A new PEG-based solution consisting of 2 L of PEG and a high dose of ascorbic acid has recently become available. Electrolyte abnormalities caused by PEG-based solutions have rarely been reported. We report on a case of acute severe hyponatremia with associated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s after bowel preparation with a low-volume PEG plus ascorbic acid solution in a 74-year-old woman with no history of seizures. She took a beta blocker, a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and glimepiride for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She showed general weakness, nausea, agitation, muscle cramping, and seizures after ingestion of the PEG plus ascorbic acid solution. Her serum sodium level was 112 mEq/L. Her symptoms improved after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hypertonic saline. Physicians should pay attention to screening for electrolytes and development of neurological symptoms during bowel preparation.

조선 장렬왕후의 경련에 대한 치병기록 연구 - 『승정원일기』의 의안을 중심으로 - (A Historical Study on Treatment Records of Queen Jangyeol's Convulsion - Focusing on Cases Recorded in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承政院日記 (Seungjeongwonilgi)』" -)

  • 박주영;차웅석;김남일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9-87
    • /
    • 2016
  • Queen Jangyeol was proclaimed as the second wife of King Injo at the age of 15 in 1638.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nfirm if Queen Jangyeol actually came down with epilepsy or if she pretended to do. The keywords, "Jungjeon" and "Junggungjeon" were searched among the articles from "Seungjeongwonilgi" in the 16th reign to the 27th reign of King Injo. After that, articles only related to convulsion were selected. The symptom of convulsion and the therapy were analyzed. King Injo gave an order, and royal doctors diagnosed the queen's illness as epilepsy in August in the 23th reign. The Queen was confined in Gyeongdeok in November, and took herbal drugs for treating the epilepsy. After the death of King Injo, she stopped taking the drugs. As the Queen's epilepsy took place consistently more than 1~2 times in a month, it is the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 Also, it is the epilepsy overlapping reiteration with the brain function disorder because the convulsion lasted throughout 1 hour. However, after King Injo died, she lived for long without the brain function disorder. So it is difficult to judge she actually came down with the epilepsy.

사이클로스포린 신경독성에 의한 가역성 뇌관류 저하 : 증례보고 (Reversible Cerebral Hypoperfusion in Cyclosporine Neurotoxicity : A Case Report)

  • 안병철;이재태;강도영;이상우;천경아;손상균;이규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0-365
    • /
    • 2000
  • We experienced a case of cerebral hypoperfusion due to cyclosporine neurotoxocity confirmed only by Tc-99m ECD brain SPECT. A 53-year-old female had received allogenic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due to refractory plasmacytoid lymphoma. Cyclosporine and steroid had been administrated to prevent graft versus host disease. Twenty days after transplantation, she became delirious and suffered from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 Immediately, brain MRI and MR angiography were performed and these studies did not show any abnormal findings. However, Tc-99m ECD brain SPECT showed diffuse hypoperfusion in the left cerebral hemisphere and blood cyclosporine level was 962.6 ng/ml. Cyclosporine administration was stopped and discontinuation of cyclosporine resulted in disappearance of all neurological symptoms. The same neurological symptoms recurred with cyclosporine re-administration for management of exacerbated graft versus host disease. In this case, Tc-99m ECD brain SPECT proved very helpful in the diagnosis of cycloporine neurotoxic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