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 therapy

검색결과 892건 처리시간 0.034초

마우스 유방암 모델에서 5-Aza-2'-deoxycytidine의 암줄기세포 유지 억제 효과 (5-Aza-2'-deoxycytidine Inhibits the Maintenance of Cancer Stem Cell in a Mouse Model of Breast Cancer)

  • 노경진;양인숙;김란주;김수림;박정란;정지윤;조성대;남정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164-1169
    • /
    • 2009
  • 비정상적 DNA메칠화는 암 발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암줄기세포 유지에 있어 DNA과메칠화가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4T1 유방암 실험모델에서 demethylating agent인 AZA 처리에 따른 후성유전적 변화가 암줄기세포의 유지 및 증식에 있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 하였다. 4T1 세포에서 AZA 처리에 따른 tumorsphere 형성이 감소 하는 것을 in vitro 실험을 통해 관찰 하였고, in vivo 실험에서는 줄기세포 조절 유전자들 (Oct-4, Nanog. Sox2)의 발현이 감소 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4T1 유방암 실험모델에서 AZA에 의한 후성유전적 변화는 줄기세포 조절 유전자(SRG)들의 발현을 조절하면서 암줄기세포 특성을 변화시켜 암줄기세포의 증식 및 유지를 억제 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이러한 DNA 메칠화 억제를 항암치료에 응용하면, 암줄기세포를 파괴함으로써 암의 재발 및 악성화를 효과적으로 제어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iamese Crocodile White Blood Cell Extract Inhibits Cell Proliferation and Promotes Autophagy in Multiple Cancer Cell Lines

  • Phosri, Santi;Jangpromma, Nisachon;Chang, Leng Chee;Tan, Ghee T.;Wongwiwatthananukit, Supakit;Maijaroen, Surachai;Anwised, Preeyanan;Payoungkiattikun, Wisarut;Klaynongsruang, Somp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6호
    • /
    • pp.1007-1021
    • /
    • 2018
  • Cancer represent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threats to human health on a global scale. Hence,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cancer prevention strategies, as well as the discovery of novel therapeutic agents against cancer, is urgently required. In light of this challenge, this research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everal potent bioactive peptides and proteins contained in crocodile white blood cell extract (cWBC) against LU-1, LNCaP, PC-3, MCF-7, and CaCo-2 cancer cell lin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25, 50, 100, and $200{\mu}g/ml$ cWBC exhibits a strong cytotoxic effect against all investigated cell lines ($IC_{50}$ $70.34-101.0{\mu}g/ml$), while showing no signs of cytotoxicity towards noncancerous Vero and HaCaT cells. Specifically, cWBC treatment caus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cancerous cells' colony forming ability. A remarkable suppression of cancerous cell migration was observed after treatment with cWBC, indicating potent antimetastatic properties. The mechanism involved in the cancer cell cytotoxicity of cWBC may be related to apoptosis induction, as evidenced by typical apoptotic morphology features. Moreover, certain cWBC concentrations induced significant overproduction of ROS and significantly inhibited the $S-G_2/M$ transition in the cancer cell. The molecular mechanisms of cWBC in apoptosis induction were to decrease Bcl-2 and XIAP expression levels and increase the expression levels of caspase-3, caspase-8, and p53. These led to a decrease in the expression level of the cell cycle-associated gene cyclin-B1 and the arrest of cell population growth. Consequentl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prospect of the use of cWBC for cancer therapy.

성인에서 발생한 중배엽성 신종의 폐전이 1예 (A Case of Lung Metastasis of Mesoblastic Nephroma in Adulthood)

  • 문진욱;김길동;신동환;한창훈;정재호;박무석;정상윤;이재혁;김영삼;김세규;김성규;장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4호
    • /
    • pp.402-407
    • /
    • 2003
  • 저자 등은 성인에서 드물며, 또한 국내에서 원격전이를 일으킨 예가 보고된 바 없는 중배엽성 신종이 35세 여자 환자에서 발생하여 신적출술 7년 후 폐전이로 하나의 큰 종괴를 형성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치아종으로 인한 매복치아의 치료 증례 (IMPACTED TOOTH ASSOCIATED WITH AN ODONTOMA : CASE REPORT)

  • 백승준;이광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94-399
    • /
    • 2000
  • 치아종은 치아 조직의 비정상적인 과성장으로 인해 형성되는 외배엽성 상피세포와 중배엽성 세포로 이루어진 혼합종양이라고 정의되며 양성 치성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한 질환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치아종은 신생물(neoplasm)보다는 형태와 조직 분화가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형성이상이나 과오종으로 보고 있다. 치아종은 복합 치아종(Compound Type), 복잡 치아종(Complex Type) 그리고 법랑아 섬유치아종(Ameloblastic fibroodontoma)으로 구분하고 있다. 복합 치아종은 치아와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전체 발생 비율의 약 2/3를 차지하고 있다. 복잡 치아종은 치성 조직의 비조직화된 형태로서 악골에 고르게 분포되어 발생하고 있다. 법랑아 섬유치아종의 발생은 드물다. 치아종의 병인으로는 외상, 감염, 유전 혹은 치아 발육의 유전적 조절을 방해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등이 언급되고 있다. 치아종은 종종 다양한 맹출 장애와 치아 위치에 있어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치아종의 가장 빈번한 발견 요인으로서는 유치의 만기 잔존과 더불어 영구치의 매복이 있다. 치아종으로 인한지연 맹출과 감별 진단해야 할 것으로서는 과잉치, 만곡치, 법랑 진주 그리고 유치의 조기 상실 등이 있다. 치아종으로 인한 매복 치아의 치료 방법으로는 우선 치아종을 제거한 후 매복 치아의 자발적 맹출을 기대하는 것이다. 이때 매복된 치아의 자발적 맹출을 기대하기 위해선 악골내 충분한 맹출 공간을 평가한 후 공간의 확보와 치근 발육이 진행중이라는 전제 조건이 수반되어야 한다. 만일 치아종을 제거한 후에도 불구하고 매복 치아의 맹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매복 치아의 노출 후 교정적 부착장치를 위치시킨 후 강제 견인한다. 본 증례는 치아종으로 인해 영구 계승치가 매복된 환아에게서 매복치의 외과적 노출 시행 후 교정적 치료방법을 사용해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HIV-1 Tat-mediated protein transduction of human brain creatine kinase into PC12 cells

  • Jeong, Min-Seop;Kim, Dae-Won;Lee, Min-Jung;Lee, Yeom-Pyo;Kim, So-Young;Lee, Sun-Hwa;Jang, Sang-Ho;Lee, Kil-Soo;Park, Jin-Seu;Kang, Tae-Cheon;Cho, Sung-Woo;Kwon, Oh-Shin;Eum, Won-Sik;Choi, Soo-Young
    • BMB Reports
    • /
    • 제41권7호
    • /
    • pp.537-541
    • /
    • 2008
  • Epilepsy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spontaneous episodes of abnormal neuronal discharges and its pathogenic mechanisms remain poorly understood. Recently, we found that the expression of creatine kinase (CK) was markedly decreased in an epilepsy animal model using proteomic analysis. A human CK gene was fused with a HIV-1 Tat peptide to generate an in-frame Tat-CK fusion protein. The purified Tat-CK fusion protein was efficiently transduced into PC12 cells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when added exogenously to culture media. Once inside the cells, the transduced Tat-CK fusion protein was stable for 48 h. Moreover, the Tat-CK fusion protein markedly increased endogenous CK activity levels within the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at-CK provides a strategy for the therapeutic delivery of proteins in various human diseases including the delivery of CK for potential epilepsy treatment.

Characterization of Primary Epithelial Cells Derived from Human Salivary Gland Contributing to in vivo Formation of Acini-like Structures

  • Nam, Hyun;Kim, Ji-Hye;Hwang, Ji-Yoon;Kim, Gee-Hye;Kim, Jae-Won;Jang, Mi;Lee, Jong-Ho;Park, Kyungpyo;Lee, Gene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6호
    • /
    • pp.515-522
    • /
    • 2018
  •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are treated with therapeutic irradiation, which can result in irreversible salivary gland dysfunction. Because there is no complete cure for such patients, stem cell therapy is an emerging alternative for functional restoration of salivary glan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in vitro characteristics of primarily isolated epithelial cells from human salivary gland (Epi-SGs) and in vivo formation of acini-like structures by Epi-SGs. Primarily isolated Epi-SGs showed typical epithelial cell-like morphology and expressed E-cadherin but not N-cadherin. Epi-SGs expressed epithelial stem cell (EpiSC) and embryonic stem cell (ESC) markers. During long-term culture, the expression of EpiSC and ESC markers was highly detected and maintained within the core population with small size and low cytoplasmic complexity. The core population expressed cytokeratin 7 and cytokeratin 14, known as duct markers indicating that Epi-SGs might be originated from the duct. When Epi-SGs were transplanted in vivo with Matrigel, acini-like structures were readily formed at 4 days after transplantation and they were maintained at 7 days after transplantation. Taken together, our data suggested that Epi-SGs might contain stem cells which were positive for EpiSC and ESC markers, and Epi-SGs might contribute to the regeneration of acini-like structures in vivo. We expect that Epi-SGs will be useful source for the functional restoration of damaged salivary gland.

생쥐 생식줄기세포의 체외 분리 및 증식 (In Vitro Isolation and Proliferation of Mouse Male Germ-Line Stem Cells)

  • 김수경;김계성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3-248
    • /
    • 2003
  • 1. 생쥐 고환으로부터 얻은 세포를 배양하여 군집을 형성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AP, SSEA-1, -3, -4과 Integrin $\alpha$6, $\beta$1 및 Oct4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2. 생쥐 생식줄기세포를 3-5일정도 배양하게 되면,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군집을 이루게 되는데 이는 생쥐 배아줄기세포나 배아생식줄기세포의 형태와 같은 것이었다. 3. 생쥐 생식줄기세포를 체외에서 효과적으로 분리, 배양할 수 있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Naringenin이 NF-$\kappa$B, AP-1 억제를 통한 MMP-9 활성 및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Naringenin on MMP-9 Activity and Expression in HT-1080 Cells)

  • 채수철;고은경;서은선;유근창;나명석;김인숙;이종빈
    • 환경생물
    • /
    • 제27권1호
    • /
    • pp.58-65
    • /
    • 2009
  • Naringenin은 flavonoid구조의 감귤류 과피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항암 및 항산화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T-1080 섬유육종세포의 전이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Naringenin이 암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migrationassay를 한 결과, Naringenin이 암세포의 이동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시켰다. 암의 전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인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의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gelatin zymography를 한 결과, Naringenin이 PMA에 의해 증가된 MMP-9의 효소 활성도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MMP-9와 TIMP-1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Naringenin의 영향을 RT-PCR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Naringenin이 PMA에 의해 증가된 MMP-9의 mRNA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나 TIMP-1의 mRNA발현에는 변화가 없었다. MMP-9발현 감소에 관여하는 전사조절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promoterassay를 한 결과, Naringenin이 PMA에 의해 증가된 MMP-9 및 NF-$\kappa$B, AP-1의 Promoter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 켰다. 또한 MMP-9의 전자조절인자인 NF-$\kappa$B와 AP-1의 결합 활성도를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로 확인한 결과 Naringenin이 PMA에 의해 증가된 NF-$\kappa$B와 AP-1의 결합 활성도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Naringenin이 전사조절인자인 NF-$\kappa$B와 AP-1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MMP-9의 유전자 발현 및 효소 활성을 억제하고 그 결과 암세포의 이동과 침윤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Lnk is an important modulator of insulin-like growth factor-1/Akt/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axis during adipogenesis of mesenchymal stem cells

  • Lee, Jun Hee;Lee, Sang Hun;Lee, Hyang Seon;Ji, Seung Taek;Jung, Seok Yun;Kim, Jae Ho;Bae, Sun Sik;Kwon, Sang-M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0권5호
    • /
    • pp.459-466
    • /
    • 2016
  •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MSCs) is critical for metabolic homeostasis and nutrient signaling during development. However,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pivotal modulators of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MSCs. Adaptor protein Lnk (Src homology 2B3 [SH2B3]), which belongs to a family of SH2-containing proteins, modulates the bioactivities of different stem cells, including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an interaction between insulin-like growth factor-1 receptor (IGF-1R) and Lnk regulated IGF-1-induced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MSCs. We found that wild-type MSCs showed greater adipogenic differentiation potential than $Lnk^{-/-}$ MSCs. An ex vivo adipogenic differentiation assay showed that $Lnk^{-/-}$ MSCs had decreased adipogenic differentiation potential compared with wild-type MSCs. Interestingly, we found that Lnk formed a complex with IGF-1R and that IGF-1 induced the dissociation of this complex. In addition, we observed that IGF-1-induced increase in the phosphorylation of Akt and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was triggered by the dissociation of the IGF-1R-Lnk complex. Expression levels of a pivotal transcription facto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and its adipogenic target genes (LPL and FABP4) significantly decreased in $Lnk^{-/-}$ MSC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Lnk adaptor protein regulated the adipogenesis of MSCs through the $IGF-1/Akt/PPAR-{\gamma}$ pathway.

돼지에서 단일 전신 방사선 조사 용량에 따른 혈액변화 관찰 (Effects of Single Total Body Irradiation (TBI) on the Peripheral Blood of Piglets)

  • 이재훈;강은희;정다정;김동구;김재환;신현수;안정용;박진기;장원경;최치봉;김휘율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654-1659
    • /
    • 2007
  • 4주령의 돼지에서 여러 용량의 방사선 조사를 하고 경시적으로 혈액 수치의 변화, helper T-cell 및 cytotoxic T-cell에 대한 변화를 관찰하였다. 6 Gy 이상을 조사한 돼지에 3일 이후 백혈구와 혈소판의 수의 감소되어 회복되지 않았으며, 식욕 부진,설사 등의 부작용을 보이며, 조사 후 10일부터 15일 사이에 모두 폐사 하였다. 4 Gy 전신 단일 조사한 돼지에서는 조사 후 임상적인 부작용을 보이지 않았으며, 9일 이후 백혈구, 혈소판이 증가하여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돼지를 사용한 방사선 생물학적 실험에서 혈액변화 및 면역억압 관찰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