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uge method

검색결과 632건 처리시간 0.034초

강우계와 레이더를 이용한 강우의 시공간적인 활용 (Spatial-Temporal Interpolation of Rainfall Using Rain Gauge and Radar)

  • 홍승진;김병식;함창학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7-48
    • /
    • 2010
  • 본 논문의 목적은 격자형 레이더 강우자료와 지상강우를 이용하여 홍수유출모의 시 강우장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강우장을 생성하기 위해 광덕산 레이더와 지상 관측강우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각각의 방법에 의해 생성된 강우장이 현실적으로 타당한 시공간적 분포를 재현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홍수 유출모형을 이용하였다. 대상유역은 강원도 인제군에 위치한 내린천 유역이며 유출모형의 지형학적 매개변수들을 구축하기 위해 250m 격자 규모의 수치고도자료, 토지피복도 그리고 토양도를 사용하였다. 강우입력자료는 관측-레이더강우(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QPE), 보정-레이더강우(adjusted Radar rainfall), 지상-강우(gauge rainfall)를 이용하였으며 동일한 조건의 $Vflo^{TM}$ 모형에 입력하여 관측 유출량과 비교 하였다. 모의결과, 관측-레이더강우와 지상-강우의 경우 관측치 보다 과소 추정되었으며 보정-레이더강우의 경우 실제 관측치와 유사한 유출모의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기상레이더와 지상강우자료를 합성할 경우 레이더 강우만을 또는 지상강우만을 사용하는 것 보다 수문모형의 입력 자료로써 수문학적 활용성이 더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내압력측정 신뢰성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동구게이지와 IPG 게이지 성능 비교 중심 (A Study on the Effects of Relationship Between Copper Crusher Gauge and Internal Piezo Gauge)

  • 정민철;이정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20-127
    • /
    • 2020
  • 본 연구는 포강내 압력 측정을 위한 압력 게이지 운영성 검증에 관한 연구이다. 탄약 성능 평가 시험 중 포강 내 압력 측정은 주로 동구게이지를 이용하고 있다. 압력 측정 방식의 대체를 위해 IPG 게이지를 사용했으며, 시험 결과를 분석하여 IPG 게이지의 운용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운용성 검증을 위해 실 사격시험 데이터를 이용했으며 결과 분석은 기술적 통계 기법의 일환인 T검정 분석을 사용하였다. 시험용 장비 및 탄약은 155MM KH179 및 M119 계열의 추진 장약을 사용했다. 본 연구 결과 동구게이지와 IPG게이지 사이의 데이터 값에 대해 5%의 유의수준에서 두 데이터 결과의 평균 값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포강 내 압력 측정을 위해 기존의 동구게이지를 대체하여 IPG의 활용 가능 여부를 검증하였으며, 시험 계측 방법의 다양성 측면에서 적용 폭을 넓힐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시험 결과 바탕으로 추진장약류 외에 다양한 탄종의 압력 계측 시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국내 운용 탄약의 성능 평가 시험 활용이 기대된다.

분동식압력계를 이용한 저진공게이지의 평가 (Evaluation of low vacuum gauge using deadweight piston gauge)

  • 우삼용;최인묵;송한욱;김부식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44-249
    • /
    • 2007
  • 분동식압력계는 정밀한 압력 측정의 기준 장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것은 분동압력계가 견고하고 정확하며 이동이 간편하고 압력의 정의를 물리적으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분동식압력계는 분동과 피스톤/실린더 장치로 구성되며 실린더 안에 직경이 꼭 맞는 피스톤이 수직으로 삽입된 구조를 갖고 있다. 측정하려는 압력은 피스톤 아래에 작용하여 윗방향 힘을 발생시키고 피스톤 위에 얹혀 있는 분동에 의해 발생하는 아랫방향 힘과 평형을 이루게 된다. 이때 피스톤 자체의 하중은 항상 작용하므로 분동식압력계는 보통 10 kPa이상의 압력 범위에서 주로 사용된다. 기존의 방식은 피스톤 아래의 높은 압력을 기준으로 사용하지만 본 방식은 피스톤 주위의 낮은 압력을 기준압력으로 사용하여 보다 더 낮은 압력의 측정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효율적으로 구현한 새로운 장치를 소개하고 실제로 1.33 kPa, 13.3 kPa 두 측정범위를 갖는 정밀한 저진공 게이지(MKS, CDG)를 교정, 평가한 결과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소 정자세포구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Bovine Spermatozoal Components by 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s)

  • 최승철;천장혜;이상호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9-346
    • /
    • 1994
  • 정자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자세포구성분의 분리가 필요하다. 본 실험은 동결융해된 한우정액에 다양한 물리·화학적 처리를 하여 효과적인 정자세포구성분의 분리방법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물리적 분리방법으로는 vortexing 처리, 26 gauge needle 또는 strained 26 gauge needle을 1ml 주사기에 부착시킨 후 반복된 pumping, 동결보존액없이 반복된 동결융해처리등을 시행하였다. 또한, 화학적인 분리를 위해 trypsin, dithiothreitol, sodium dodecylsulfate, mercaptoethanol 등을 사용하였다. 모든 처리구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정자두부와 미부의 절단을 strained 26 gauge needle이 부착된 주사기를 사용한 반복된 pumping에 의해 얻어졌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95∼100%의 높은 정자구성분의 분리가 이루어졌다. 분리된 정자구성분의 두부표면의 보존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250g/ml FITC-UEA 1 염색을 실시하였지만 특별한 두부표면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다른 물리적 처리방법들도 높은 정자구성분의 분리결과를 보여주었지만, strained 26 gauge needle를 사용한 방법에 비해서는 분리효율, 시간등 여러면에서 비효율적이었다. 화학적 처리에 의한 정자구성분의 분리결과는 물리적 처리에 비해 효과적이지 못했다. 분리된 정자두부와 미부를 각각 회수하기 위해 sucrose 용액을 2M, 1M, 0.5M, 0.25M 순으로 시험관에 넣은 후 1,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결과, 1M과 2M의 경계부분에 형성된 정자두부층을 얻을 수 있었다. 정자구성분의 효과적이고 간편한 분리방법이 본 실험에 의해 확립되어졌으며, 위의 방법에 의해 분리, 회수된 정자구성분은 생화학적 연구, 난자활성화기작의 이해등 다양한 응용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연속수정법을 이용한 레이더 자료와 지상 강우자료의 합성 (Synthesis of Radar Measurements and Ground Measurements using the Successive Correction Method(SCM))

  • 김경준;최정호;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7호
    • /
    • pp.681-69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자료동화 기법의 가장 간단한 방법이라 할 수 있는 연속수정법(successive correction method)을 이용한 레이더 강우자료와 지상 강우자료의 합성방법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우선 연속수정법의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인 반복계산 횟수 및 영향 반경의 규모를 민감도 분석을 통해 결정하였다. 또한 자료 합성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밀도 있는 지상 강우자료를 공간분포시켜 실제 강우장을 가정하였다. 최근 자료 합성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co-Kriging을 이용하여 두 자료를 합성하여 연속수정법에 의한 자료 합성 결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간단하고 경제적인 자료동화 기법인 연속수정법으로도 co-Kriging을 이용하는 경우의 통계적 특성 및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심위 교합채득 방법에 따른 하악과두의 상대적 위치와 재현도 비교에 관한 연구 (RELATIVE POSITION OF MANDIBULAR CONDYLE AND COMPARISON OF REPRODUCIBILITY UTILIZING DIFFERENT CENTRIC RELATION RECORD TAKING METHODS)

  • 문흥엽;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45-956
    • /
    • 1994
  • In the past the jaw and occlusal relationship in centric occlusion were merely considered in case of orthodontic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As the fact that functional disturbanc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may be caused by occlusal interference w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unctional occlusion and centric relation is emphasized today. Known the importance of centric relation, there are various opinions about definition of centric relation and its taking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centric condyle position and to compare the reproducibility of the recordings utilizing different centric relation records obtained by different taking methods. The 15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Every four centric relation records were taken in each of three methods - leaf gauge, Dawson and myomonitor method. Then the relative centric condyle pos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ylar position in centric occlusion and the position in centric relation and the reproducibility were studied using SAM 2 articulator and mandibular position indicato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trend of condyle posi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centric relation taking methods. 2. The position of condyle in centric relation by leaf gauge and Dawson methods was superior to that by myomonitor method, and the position by myomonitor method was relatively antero-inferior. 3.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ylar positions in centric occlusion and the position in centric relation was longest in myomonitor method. 4. The reproducibility had little differences in transverse direction among three methods, while leaf gauge method showed the highest reproducibility and myomonitor method did the lowest reproducibility in antero-posterior and supero-inferior direction.

  • PDF

디지털 이미지 상관관계를 이용한 Al 6061-T6 인장시험편의 변형률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train Measurement for Al 6061-T6 Tensile Specimen using the Digital Image Correlation)

  • 권오헌;김상태;강지웅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6-32
    • /
    • 2013
  • A digital image correlation(DIC) method is a whole-field measurement technique that acquires surface displacements and strains from images information which characterized a random speckle as intensity grey levels. Recently years, this DIC method is being developed and used increasingly in various research. In this study, we tried to apply to aluminum alloy(Al 6061-T6) using DIC method and strain gauge. DIC results demonstrated the usefulness and ability to determine a strain. The test specimen used in this study was an aluminum alloy(Al 6061-T6, thickness 1 mm). For a strain measurement, a strain gauge was attached at the center of a specimen. A specimen was lightly sprayed with a white paint and a black dot pattern was sprayed on its fully dried white surface to obtain a random speckle. The experimental apparatus used to perform the tensile test consisted of universal dynamic tester(5 kN; T.O. Co.) under displacement speed of 0.5, 1.0 and 3.0 mm/min. A Model 5100 B Scanner(V. Co.) used to obtain a strain. A CCD camera connected to a PC uses to record the images of the specimen surface. After acquisition, the images were transferred to PC where the DIC software was implemented. An acquired image was evaluated by the DIC program. DIC method for displacement and strain was suggests and it results show a good consistent remarkably. DIC results demonstrated the usefulness and ability to determine surface strain was better than by using classical measurements. The strain field measurement using a DIC is so useful that it can be applied to map strain distributions at a full area. DIC method can evaluate a strain change so it can predict a location of fracture. The findings of the investigation suggest that the DIC method is an efficient and reliable tool for full-field monitoring and detailed damage characterization of materials.

직사각형 검사영역의 상관도 분석을 통한 수면위치 탐색 방법 (A Novel Water Surface Detection Method Based on Correlation Analysis for Rectangular Control Area)

  • 이찬주;서명배;김동구;권성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12호
    • /
    • pp.1227-124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목자판과 수면이 포함되어 있는 시차를 가진 두 영상에 대해 직사각형 검사영역을 설정하고 그 상관계수를 분석하여 수면을 판단하는 새로운 수면인식 기법을 제안하였다. 상관계수의 수직적인 값들로부터 임계치, 첨두값, 기울기, 분산비 등 4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수면의 위치를 판정하였다. 흔들림 등으로 인해 두 영상의 위치가 불일치하여 생기는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추가로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알고리즘과 통계적 필터링 기법을 적용하였다. 저수시에 촬영한 28개 지점의 영상에 개발한 수면 인식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으로 계산한 수면은 목측 수면과의 평균상대오차가 3.4~5.7 cm 정도로 나타났다. 수면의 요동이 있을 경우, 이 방법은 기존 방법을 보완하여 영상수위계의 수위 측정성능을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진행 측정용 간이센서 개발 (The easy-check sensor to evaluate the development of concrete crack)

  • 전규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학회창립 10주년 기념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35-638
    • /
    • 1999
  • The crack of concret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structures. The more important point for the safety-evalua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s is to check the crack development, the conventional window paper (Chang Ho Ji) have been used as a simple method in the past, and nowadays the strain gauge is used for more correct way to check the development of the concrete crack quantitatively. However the window-paper method is too simple and not so scientific, and the strain-gauge method is rather complicated for people in general. This Easy-Check Sensor provides the simple usage for the various concrete structures, but also the more correct results to evaluate the development of the concrete crack.

  • PDF

선삭 공정에서 공구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I)-공구마모 (Research about Tool Wear Monitoring in CNC Lathe Machining)

  • 고정한;김영태;이상조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54-60
    • /
    • 2000
  • Research about tool condition monitoring has been done until now for product automation and unmaned system. But it is hard to apply it to the industrial field due to its cost and reliability. This paper presents the new method of tool wear measurement using Marpos gauge. This is a kind of touch sensor, so its cost is lower than vision system. And it is not affected by dust and illumination, which are important in vision system. This proposed method use tool clearance angle to measure flank wear. Experimental results compared with vision system shows that this method is available for tool condition monitoring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