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tropoda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2초

35종 해산 무척추동물의 일반성분조성과 스테롤함량 (Proximate Composition and Sterol Content of 35 Species of Marine Invertebrates)

  • 정보영;최병대;문수경;이종수;정우건;김풍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2-197
    • /
    • 1999
  • 통영 연안해역에서 채취된 35종의 해산무척추동물의 일반성분 조성과 sterol 및 $\alpha$-토코페롤함량을 정량하여 종별로 비교하였다. 단백질함량은 복족류 ($17.2\pm4.30\%$ ), 갑각류 ($16.8\pm4.06\%$), 두족류 ($15.3\pm3.24\%$) 등 초식성 및 육식성의 무척추동물에 비교적 많았고, 2매패류 ($11.8\pm2.49\%$), 멍게류 ($8.20\pm1.00\%$) 등 plank-ton 식성의 경우에 적었으며, 특히 해삼류 ($3.94\pm1.13\%$)와 같은 니식자 (mud swallow)에서는 아주 적었다. 총지질함량은 $0.24\%(청삼)\~1.96\%(멍게)$의 범위로 비교적 적었다. 탄수화물함량은 멍게류 ($6.60\pm4.53\%$ ), 2매패류 ($3.15\pm1.82\%$), 복족류 ($3.02\pm1.61\%$)에서 비교적 많았고, 두족류 ($1.00\pm0.63\%$)와 갑각류 ($0.52\pm0.57\%$)에서는 아주 적어 보통 어류의 경우와 유사하였다. 또한 수분함량은 해삼류 ($92.0\pm1.94\%$)에서 가장 많았고, 복족류 ($77.0\pm1.95\%$)에서 가장 적었으며, 나머지는 $80\~82\%$로서 대체로 유사하였다. 수분함량과 단백질함량 및 지질함량, 그리고 단백질함량과 지질함량 사이에는 각각 y= -0.8716x+184.452 (r=-0.87, p<0.001), $y=128.52e^{-0.0601x}$ (r=-0.55, P<0.001), $y=6.3047e^{-0.0904x}$(r=-0.42, P<0.02)으로서 모두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sterol 함량은 (청삼 56mg/100g edible portion)에서 가장 적었고, 새조개 (216mg/100g)에서 가장 많았다. 동물그룹별로 보면 두족류 (148 $\pm$30.0mg) > 2매패 (121$\pm$35.0mg) > 복족류 (118$\pm$20.0mg) > 갑각류 (116$\pm$31.0mg) > 멍게류 (78.0$\pm$2.00 mg)> 해삼류 (62.0$\pm$8.00 mg)의 순으로 sterol 함량이 많았다. $\alpha$-토코페롤함량은 갑각류에서 1$\~$2 mg/100g를 함유하였으나, 나머지 무척추동물에서는 흔적 또는 1 mg/100g 이하였다.

  • PDF

잘피밭 해역에 방류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치어의 식성 및 어체성분 변화 (Changes in Feeding Habit and Body Composition of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Released i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 지승철;이시우;김양수;정관식;유진형;최낙중;명정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8-284
    • /
    • 2008
  • 인공종묘 생산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치어를 잘 피밭에 방류하여 방류초기의 먹이섭취와 체성분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류어의 먹이섭취율(predation rate)은 1일째와 3일째 79%로 낮았으며, 7일과 10일째 100%로 증가하였으나 20일째와 30일에는 75%로 낮아졌다. 방류된 감성돔 치어는 단각류와 복족류(Gastropoda)를 주로 섭식하였다. 단각류(Amphipoda)의 섭취는 방류 초기와 30일째에 낮고, 15일째에 82.9%로 가장 높았다. 한편 복족류는 1일째 84.6%로 가장 높았으며, 20일째는 3.1%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갑각류와 해조류는 채집 기간동안 20% 내외를 나타내었다. 소화기관 중량비는 방류 후 20일과 30일째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전어체 성분에서는 방류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조단백질과 조지방 성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지방산 중 DHA 조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잘피밭은 자연 먹이의 공급장으로서 방류된 감성돔의 빠른 초기 먹이섭취 및 환경적응에 많은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Fatty Acid Composition of 35 Species of Marine Invertebrates

  • Jeong Bo-Young;Choi Byeong-Dae;Moon Soo-Kyung;Lee Jong-Soo;Jeong Woo-Ge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권2호
    • /
    • pp.232-241
    • /
    • 1998
  • Fatty acid compositions of 35 species of marine invertebrates (13 species of Bivalvia, 10 species of Gastropoda, 4 species of Cephalopoda, 4 species of Crustacea, 2 species of Ascidacea, 2 species of Holothuroidea) were studied using gas-liquid chromatography. Total lipids in all samples were very low, ranging from $0.24\%$ to $1.96\%$. The prominent fatty acids were 16:0, 20:5 (n-3), 22:6 (n-3), 18:0, 16:1 (n-7), 20:4 (n-6), 18:1 (n-9) and 18:1 (n-7) in the majority of marine invertebrates.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was the richest fatty acid group in all invertebrates, accounting for $55.3\pm6.70\%$ of total fatty acids (TFA), followed by saturated $(26.2\pm4.33\%)$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18.5\pm5.87\% )$.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otal lipid content and each fatty acid group. Cephalopoda contained the highest level of n-3 PUFA $(54.6\pm5.17\%)$, while Holothuroidea and Gastropoda contained the lowest level of n-3 PUFA, accounting for $26.5\pm4.44\%$ and $28.4\pm4.04\%$, respectively. Bivalvia and Ascidacea are plankton feeders, which were rich in 20:5 (n-3) and 22:6 (n-3). Carnivorous species of Cephalopoda were prominently rich in 22:6 (n-3), ranging from $26.7\%$ to $46.1\%$ of the TFA. However, some species of Gastropoda are seaweed feeder (herbivorous), which contained high level of 20:4 (n-6) compared to plankton feeder and carnivorous species. In addition, blue and red colored sea cucumbers, and turban shells with and without apophyses belong to the same species, but they live in different habitats. These organisms were found to have different fatty acid compositions. Therefore,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se invertebrates might be affected by their different environments, particularly their diet.

  • PDF

연체동물의 스테롤의 기원에 관하여 (1) 2매패와 권패의 스테롤 조성의 차이 (The Origin of Molluscs Sterol (1) The Sterol Compositon of Bivalves and Snails)

  • 조용계;김용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85-193
    • /
    • 1976
  • 패류의 스테롤조성은 복장하나 이들 스테롤의 유래(由來)에 관한 연구는 없다. 이들 스테롤의 기원에 관한 연구로서 우선 2매패(二枚貝)인 개량조개와 북방조개, 권패(卷貝)연 전복, 함수산(鹹水産) 소라의 스테롤 조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시료의 스테롤의 함량을 보면 2매패인 개량조개 및 복방조개가 총지질에 대하여 각각 $12.0\%,\;11.8\%$로서 권패인, 전복의 $16.2\%$ 소라의 $15.3\%$ 보다 약간 낮았다. 2. $15\%$ $AgNO_3-Silica$ Gel HF254 TLC 상에서 조성이 복잡한 스테롤을 상호 분리할 수 있었다. 3. 2매패인 개량조개 및 북방조개의 스테롤 조성은 C-26의 스테롤인 22-트란스-24-놀 코레스타-5.22-디엔-3-$\beta$을 이 각각 $3.0\%,\;3.9\%$, 22-데하이드로 코레스테롤이 $6.7\%,\;10.2\%$, 콜레스테롤이 $39.0\%\;48.6\%$, 브라시카스테롤이 $14.0\%,\;13.8\%$, 24-메치렌코레스테롤이 $10.0\%,\;11.9\%$, 스티그마스스테롤이 $2.4\%$, 소량, $\beta$-시토스테롤이 $10.5\%,\;11.9\%$, 프코스테롤 4.3\%, 소량이었고, 북방 대합에는 구조 미상의 스테롤이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4. 권패인 전복 및 소라에는 코레스테롤이 각각 $98.0\%,\;97.5\%$였고, 22-데하이드로 코테스테롤, 브라시카 스테롤이 미량 함유되어 있다. 또 전복에는 이외 24-메치렌코레스테로, 프코스테롤이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5. 2매패에는 코레스테롤이 $50\%$ 미만인데 대하여 권패에는 코레스테롤이 $98\%$ 정도로, 2매패와 권패의 스테롤조성상에 차가 현저히 보였다.

  • PDF

인천 연안에 출현하는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의 식성 (Feeding Habits of Fat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off the Incheon Coast of Korea)

  • 노태형;윤병일;고수진;한경호;이승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25-332
    • /
    • 2023
  • 이번 연구에 사용된 쥐노래미는 2020년 3월부터 2021년 2월까지 매월 인천 연안에서 통발과 개량안강망에 의해 어획되어 위판된 376개체를 이용하였으며, 전장(TL: Total length, 0.1 cm)과 체중(BW: Body weight, 0.1 g)을 측정한 뒤, 위를 적출한 후 현미경을 이용하여 위내용물을 가능한 종 수준까지 분석하고, 분류된 먹이생물들은 계수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위내용물 분석 결과는 상대중요도지수비를 이용하였으며, 시기별 및 크기군에 따른 먹이조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쥐노래미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복족류(Gastropoda)였으며, 그 다음으로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Teleostei)였다. 그 밖에 단각류(Amphipoda), 집게류(Anomura), 이매패류(Bivalvia) 등이 출현하였으나, 0.9% 이하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보여 그 값은 매우 낮았다. 시기별 위 내용물 조성을 분석한 결과, 춘계는 두족류, 하계는 갯지렁이류, 추계는 어류, 동계는 복족류가 중요한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크기군별 위내용물 조성을 알아본 결과, <25.0 cm, 25.0~30.0 cm 크기군에서는 어류가 우점한 먹이생물이었고, 30.0~35.0 cm, ≥35.0 cm 크기군에서는 복족류가 중요한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쥐노래미는 어류를 주로 섭식하며 큰 크기군으로 갈수록 어류의 비율은 감소하고 복족류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크기군별 쥐노래미의 개체당 평균 먹이생물 개체수와 습중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긴 애기물달팽이 (복족강 : 물달팽이과)의 염색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romosomes of Fossaria truncatula (Muller) (Gastropoda : Lymnaeidae))

  • Park, Gab-Man;Kim, Jae-Ji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1-145
    • /
    • 1996
  • 1996년 8월 춘천 의암호에서 채집한 긴애기물달팽이(Fossaria truncatula)를 재료로 공기건조법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염색체를 관찰하고 핵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긴애기물달팽이의 염색체 수는 2n=31, 32이었으며 15쌍의 배수체와 1개의 성염색체를 가지고 있었다. 핵형은 3쌍의 metacentric과 13쌍의 submetacentric 염색체로 구성되어 있었다.

  • PDF

A report of three unrecorded Ellobiid species (Gastropoda, Eupulmonata) from Korea

  • Lee, Jun-Sang;Lee, Yong-Seok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23-326
    • /
    • 2015
  • Three species of Ellobiid molluscs collected from Korea were identified as Auriculastra duplicata (Pfeffer, 1854), Laemodonta siamensis (Morelete, 1875) and Melampus (Pira) flavus (Gmelin, 1791). This is the first record from the Korea, providing a description of the species with illustration for the shell morphology. Including the new recorded in this study, the family Ellobiidae contained six genera and 13 species in the Korea.

한국산 뾰족쨈물우렁이 ( Oxyloma hirasei ) 의 염색체 연구 (Chromosome Study on the Oxyloma hirasei ( Gastropoda : Succineidae ) in Korea)

  • 박갑만;김재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5-130
    • /
    • 1997
  • The mitotic and meiotic chromosomes of Succineidae snail one species, Oxyloma hirasei(Pilsbry), were investigated by mians of air-drying mithod. The diploid chromosome numbers were n=18, 2n=36. Chromosome complements of this species consist of seven pairs of metacentrics and 11 pairs of submetacentric chromosomes. Spermatogonial metaphase chromosomes range in length from 4.80${\mu}{\textrm}{m}$ for the largest pair to 1.44${\mu}{\textrm}{m}$ for the smallest pair.

  • PDF

Three Unrecorded Sorbeoconchs (Gastropoda, Caenogastropoda) from Korean

  • Lee, Jun-Sang;Lee, Yong-Seok;Min, Duk-Ki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9-302
    • /
    • 2014
  • We report three new records Korean marine gastropods. The new record species are Hipponix acuta, Lyncina (Ponda) carneola, and Velutina (Velutella) plicatilis cryptospira. As a result, the family Hipponicidae in Korea turned out to be 5 species of 4 genera, Cypraeidae are 14 species of 8 genera, and Velutinidae are 7 species of 3 genera,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