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trointestinal tract

검색결과 844건 처리시간 0.023초

TNBS로 유도된 만성 염증성 대장염에 대한 대장유(大腸兪) 구진약침(灸津藥鍼)의 효과 (Moxi-tar Herbal Acupuncture of BL25 Acupoint Ameliorates TNBS-Induced Colitis in Mice)

  • 백대봉;권오상;최원종;김재효;전희영;김경식;손인철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4권3호
    • /
    • pp.149-164
    • /
    • 2007
  • Objectives :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is a chronic relapsing inflammatory disease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The sources and pathologic mechanisms of IBD are still unknown. Moreover conventional therapies for IBD are not always effective, and they often have serious side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oxi-tar herbal acupuncture in IBD affected mice. Methods : Mice were treated with 5 % 2, 4, 6 - trinitrobenzenesulfonic acid (TNBS) on day 1 and day 7. To assume the preemptive effect and therapeutic effect, herbal acupuncture was practiced with Moxi-tar at BL25 (Daejangsu) on day 0, day 3, and day 6. The end of day in treatment with Moxi-tar herbal acupuncture, the mortality and the inflammatory factors of the colon were measured by the various methods. Results TNBS induced high mortality but herbal acupuncture with Moxi-tar at BL25 sup-pressed the mortality caused by TNBS. TNBS induced infiltration of immune cells in all layers of the colon and increased myeloperoxygenase (MPO) activity, while the treatment with Moxi-tar herbal acupuncture at BL25 suppressed the infiltration of immune cells and the increase of MPO activity caused by TNBS to normal levels, Herbal acupuncture with Moxi-tar regulated $NF-{\kappa}B$ activity,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pathogenesis of chronic colitis, and reduced the expressions of $TNF-{\alpha}$, $IL-1{\beta}$, and ICAM-1 in the colons of TNBS treated mice. Furthermore herbal acupuncture suppressed macro- and micro- colonic damages caused by TNBS.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herbal acupuncture with Moxi-tar at BL25 isa potential preemptive and/or therapeutic method targeting the chronic IBD.

  • PDF

사료내 벤조산 첨가가 이유돼지의 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Benzoic Acid on Beneficial Microflora and Immune Response in the Intestine of Weaning Pigs)

  • 오희경;최영환;김영해;김유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07-13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이유자돈 사료에 벤조산 첨가가 위장 내 소화물과 방광 내 뇨의 pH, 장내 유익 미생물 균총수 및 장 조직 내 염증성 싸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돈기 5주 동안 이유자돈 사료 내 벤조산 0.3%과 0.5% 첨가는 자돈 위 내 pH는 감소시키지는 않았으나, 방광 내 뇨의 pH 수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casei 수는 맹장부위에서 벤조산 0.5% 첨가구와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actobacillus plantarum 수는 맹장부위에서 벤조산 0.5%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장부위에서 L.plantarum 수는 대조구를 제외하고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Bacillus subtillis 수는 맹장부위에서 벤조산0.5% 첨가구와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장부위에서는 벤조산0.3%와 0.5%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IL-$1{\beta}$ mRNA 유전자 발현 수준은 소장 상단에서는 벤조산 0.5%와 항생제 처리구에서, 소장중부에서는 벤조산 0.3%와 0.5% 처리구에서, 말단부위에서는 벤조산 0.3%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IL-6 mRNA 유전자 발현 수준은 소장중부에서는 벤조산 0.5%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TNF-${\alpha}$ mRNA 유전자 발현 수준은 소장 중단에서 벤조산 0.5%와 항생제 처리구에서 대조구 보다 낮게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하여, 자돈 사료 내 benzoic acid 0.5% 첨가는 뇨의 pH 감소와 장내 유익 미생물 균총 수 조절 및 소장 내 면역체계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자돈 건강을 향상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Leuconostoc fallax LH3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한 Ginsenoside Rd의 Ginsenoside F2로의 전환 (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Rd to Ginsenoside F2 by Enzymes of Leuconostoc fallax LH3)

  • 전림호;성락금;나주련;김호빈;박민주;김세화;김명겸;양덕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55-160
    • /
    • 2008
  • Ginsenosides have been regarded as the principal components, responsible for the pharmacological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ginseng. Absorption of major ginsenosides at the gastrointestinal tract was extremely low, when ginseng taken orally. In order to improve the absorption and bioavailability, transformation of major ginsenosides into more active and valuable minor ginsenoside is much required. In this present study, We isolated a lactic acid bacteria Leuconostoc fallax LH3 from the Korean fermented food Kimchi, which have higher ${\beta}$-glucosidase activity. Using the ethanol precipitated curd enzyme of Leuconostoc fallax LH3, we investigated the bio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Rd at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 to increase transformation. The maximum convertion was supported at 30 $^{\circ}C$ and decreased when temperatures increased. In order to optimize the effect of pH, the curd enzyme was mixed 20 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3.5 to pH 8.0). Ginsenoside Rd was almost hydrolyzed between pH 7.0 and pH 9.0, but not hydrolyzed above pH 10.0. Ginsenoside Rd was hydrolyzed after 24 hrs incubation, but whereas the ginsenoside F2 was appeared from 36 hrs, and all ginsenoside Rd was transformed to F2 after the 60 hrs incubation. Based on this study, the curd enzyme of Leuconostoc fallax LH3 transformed the ginsenoside Rd at the 30$^{\circ}C$ and the pH optimum of 7.0 to 9.0 after the 60 hrs incubation time.

캡슐형 무선 내시경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CPLD 기반의 제어기 설계 및 구현 (CPLD-based Controller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a Capsule Endoscope)

  • 이정현;문연관;박희준;원철호;이승하;최현철;조진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47-453
    • /
    • 2004
  • 사람의 장속에서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체외로 전송하는 무선 내시경과 같은 초소형 텔레메트리 캡슐에서는 캡슐의 크기와 전원 공급에 많은 제약을 받는다. 캡슐을 삼킬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소형의 건전지를 사용하여 캡슐이 소화관 내를 조사하는 동안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캡슐의 동작 및 전원 제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캡슐형 내시경에서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CPLD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기반의 제어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캡슐 제어기는 체외의 제어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이를 수행하며 제어 동작의 수행 결과로 장내부의 영상을 획득하여 체외로 전송한다. 설계한 제어기를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설계사양을 검증하고 이를 CPLD로 구현하였다. 구현한 제어기를 캡슐형 무선 내시경에 탑재하여 동물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동물 실험 결과 실험 대상 동물의 체내에서 캡슐의 동작과 전원을 제어 할수 있었으며 동작제어의 결과로 장내부의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복원 할 수 있었다.

양질의 계란 생산전략 I. 난각과 난각색형성 (A Strategy for Quality Poultry Egg Production I. Eggshell Strength and Pigmentation)

  • 남기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5-132
    • /
    • 2000
  • 본 장에서는 양질의 계란생산에 필요한 난각과 난각색의 형성에 관해서 언급하였다. 강한 난각의 형성은 난각을 이루는 내적인 요인들 (큐티클층, 진각, 난각층의 조직)과 소화기, 난각형성에 관여하는 각종 체내 분비선, 신장, 호르몬 등의 적정기능에 의하여 결정된다. 병아리가 성성숙에 달하면 골수골은 산란계가 난각의 형성이 정점에 달했을 때를 대비 할 수 있는 정도가 되어야 한다. 난각이 형성되는데 중요한 기능을 갖는 요인들로는 산란계 사료중의 칼슘원, 산란계사료 중의 칼슘과 인의 비율, 비타민 D의 적정수준, 체액중의 각종 무기물 균형, 기타 영양소 수준들을 들 수 있다. 또 생리적, 환경적인 요인들과 산란계의 나이나 산란계사의 온도와 습도, 산란계의 계통, 질병, 계사에서 알의 수집부터 수송에 이르기까지의 각종 관리형태 등은 계한이 생산자에서부터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여러 단계에서 나타나는 각종 난각 파괴의 요인이 된다. 난각에 나타나는 색소에 관여되는 요인들로는 protoporphyrin-IX, biliverdin-IX, 아연 등이 함유된 킬레이트와 때로 적은 양이 관여하기는 하지만 coproporphyrin-III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이 난각색의 형성에 관여하는 데에는 산란계의 연령, 질병, 약품 첨가 여부, 난각 형성도 중 난각 표면의 손상 여부 등 여러 가지가 관여된다.

  • PDF

톨투라주릴의 육계에서의 약물동태학적 연구 (Pharmacokinetics of Toltrazuril after Oral Administrations in Broilers)

  • 임종환;박병권;김명석;황윤환;송인배;윤효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08-311
    • /
    • 2007
  • 본 연구는 육계에 톨투라주릴을 체중당 10 mg 및 40 mg 용량으로 경구 투여한 후 톨투라주릴의 약물동태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혈장내의 톨투라주릴의 정량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를 사용하였으며, 경구 투여후 혈장 농도-시간 자료는 non-compartmental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톨투라주릴을 10 mg/kg 및 40 mg/kg 용량으로 각각 경구투여 후 혈중최고농도($18.04{\pm}5.50{\mu}g/mL$$47.15{\pm}9.40{\mu}g/mL$)는 $4.33{\pm}1.51h$$3.67{\pm}1.51h$에 나타났다. 소실반감기는 $11.40{\pm}4.68h$$11.64{\pm}4.08h$으로 각각 나타났다. 톨투라주릴의 경구투여 후 혈중최고농도 및 곡선하면적은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기능성소화불량 환자에서 나타나는 정신적 증상의 한약 치료 :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Herbal Medicine for Functional Dyspepsia with Psychological Symptom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조윤재;이하늘;정해인;이현진;금창열;한아람;하나연;김진성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88-509
    • /
    • 2021
  • Purpose: Functional dyspepsia (FD) is a chronic syndrome accompanied by repetitive digestive symptoms that appear in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and are not caused by specific diseases. Psychological symptoms like anxiety, depression, insomnia, and somatization are frequently observed in F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on the psychological symptoms that accompany FD. Methods: Database search (PubMed, EMBASE, KISS, Kmbase, KoreanMed, NDSL, OASIS, CNKI) was performed on February 24, 2021; a total of 1825 studies were searched. After the screening, 22 studies were included. Results: The studies were assessed by Cochrane RoB 2 and sorted into a table according to psychological symptoms. Meta-analysis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Twenty of the twenty-two studies reported that herbal medicine wa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Only three of the studies did not have a high risk of bias. Conclusion: Herbal medicine was significantly effective with or without Western medicine and had fewer adverse effects. Severe adverse effect was not reported. Psychological symptoms in FD affect onset and duration of FD, and some FD patients want to be treated for their anxiety before other symptoms. Reliable information about treatment for the psychological symptoms of FD is lacking. We reviewed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which could be selected for primary or secondary treatment for FD.

Effects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of nefopam versus fentanyl following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y: a prospective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Choi, Eunhye;Karm, Myong-Hwan;So, Eunsun;Choi, Yoon Ji;Park, Sookyung;Oh, Yul;Yun, Hye Joo;Kim, Hyun Jeong;Seo, Kwang-Suk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9권1호
    • /
    • pp.55-66
    • /
    • 2019
  • Background: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frequently occurs following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ies. Compared to opioids, Nefopam is associated with lower incidences of PONV, and does not induce gastrointestinal tract injury, coagulopathy, nephrotoxicity, or fracture healing dysfunction, which are common side effects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We compared nefopam- and fentanyl-induced incidence of PONV in patients with access to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following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ies. Methods: Patients undergoing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i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nefopam and fentanyl groups. Nefopam 120 mg or fentanyl $700{\mu}g$ was mixed with normal saline to a final volume of 120 mL. Patients were given access to nefopam or fentanyl via PCA. Postoperative pain intensity and PONV were measured at 30 minutes and 1 hour after surgery in the recovery room and at 8, 24, 48, and 72 hours after surgery in the ward. The frequency of bolus delivery was compared at each time point. Results: Eighty-nine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ith 48 in the nefopam (N) group and 41 in the fentanyl (F) group. PONV occurred in 13 patients (27.7%) in the N group and 7 patients (17.1%) in the F group at 8 hours post-surgery (P = 0.568),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t any of the time points. VAS scores were $4.4{\pm}2.0$ and $3.7{\pm}1.9$ in the N and F groups, respectively, at 8 hours after surgery (P = 0.122), and cumulative bolus delivery was $10.7{\pm}13.7$ and $8.6{\pm}8.5$, respectively (P = 0.408).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in or bolus delivery at any of the remaining time points. Conclusion: Patients who underwent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y and were given nefopam via PCA did not experience a lower rate of PONV compared to those that received fentanyl via PCA. Furthermore, nefopam and fentanyl did not provide significantly different postoperative pain control.

폴립 가중치 영상 생성을 통한 캡슐내시경 영상의 학습 성능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Learning Performance in Capsule Endoscopy by Generating of PSR-Weigted Image)

  • 임창남;박예슬;이정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8권6호
    • /
    • pp.251-256
    • /
    • 2019
  • 캡슐 내시경은 식도부터 항문까지 소화기관 전체를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는 의료기기로, 한 번의 검사에서 평균 8~12시간의 길이와 5만장 이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영상을 생성한다. 그러나 생성된 영상에 대한 분석은 전문가에 의해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어서, 질병 영상 진단을 돕기 위한 영상 분석 자동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위장관 내에서 발견될 수 있는 융기성 병변인 폴립 영상 자동 검출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 스케일 분석을 통해 폴립 의심 영역을 추출하고, 이것을 원본 영상과 합성하여 폴립 학습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가중치 영상을 생성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수집한 452장의 데이터에 대해 머신 러닝 기법중 하나인 SVM과 RF로 실험한 결과, 원본 영상을 이용한 폴립 검출의 F1점수는 89.3%였지만, 생성된 가중치 영상을 통해 학습한 결과 F1점수가 93.1%로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뇌 신경조절에서의 식이 폴리페놀 화합물의 역할 (The Roles of Dietary Polyphenols in Brain Neuromodulation)

  • 이혜영;이희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386-1395
    • /
    • 2018
  • 최근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중추 신경계와 위장관은 장-뇌 축을 따라서 양방향의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분명해지고 있다. 전임상 연구로부터 장내 마이크로비오타가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통해서 중추 신경계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폴리페놀 화합물은 과일, 채소, 차, 커피, 와인과 같은 식품에 존재하는 식물 유래의 물질로, 항산화, 항염증, 항균, 면역 조절, 항암, 혈관 확장 및 프리바이오틱스와 유사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어 식이를 통해 섭취할 경우 건강에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최근 들어 폴리페놀 화합물이 인지 기능뿐만 아니라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성 손상에 대해 작용하는 신경 보호에 유익한 효과를 줄 수 있다는 증거가 보고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신경 세포 신호 전달 경로의 자극, 신경 염증, 혈관 기능 및 장내 마이크로비옴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폴리페놀 화합물의 신경 보호 효과와 관련된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일반적인 개요를 제시한다. 폴리페놀 화합물의 대사 산물은 혈액-뇌 장벽을 가로 지르는 신경 전달 물질을 이용하고 뇌 혈관 시스템을 조절하여 작용하거나, 간접적으로 장내 마이크로비오타에 작용한다. 또한, 폴리페놀 화합물은 노화 관련 인지 기능 저하 및 신경 퇴행과 같은 신경계 질환을 다양한 생리 기능을 통해 효과적으로 관리할수 있다는 사실이 제시되고 있다. 폴리페놀 화합물은 신경 염증을 감소시키고 기억과 인지 기능을 향상 시키며 장내 마이크로비오타를 조절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잠재적인 기능성 식품으로 주목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