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astrointestinal Epithelial Cells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17초

The Effects of Probiotic Lactobacillus reuteri Pg4 Strain on Intestin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in Broilers

  • Yu, B.;Liu, J.R.;Chiou, M.Y.;Hsu, Y.R.;Chiou, W.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8호
    • /
    • pp.1243-1251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using L. reuteri Pg4, a strain isolated from the gastrointestinal (GI) tract of healthy broilers, as a probiotic. In preliminary in vitro studies the Pg4 strain was proven capable of tolerating acid and bile salts, inhibiting pathogenic bacteria and can adhere to intestinal epithelial cells. The probiotic properties were then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broiler's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icrobial population and cecal volatile fatty acid and lactic acid concentrations under conventional feeding. Dietary supplementation of dried L. reuteri Pg4 decreased significantly feed intake in grower chickens and improved significantly the feed conversion by 5% in a 0-6 weeks feeding perio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Lactobacillus counts in the crop, ileum, and cecum of the probiotic group were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L. reuteri Pg4 strain was traceable in the GI tract of probiotic supplemented chicks and showed capability of survival in the intestine for a protracted period. The probiotic group had a higher lactic acid concentration and lower pH value in the cecum than the control chicks. Probiotic supplement also affected the histology of the intestinal mucosa of chicks. The present findings demonstrated that L. reuteri Pg4 possesses probiotic characteristics and it is suggested, therefore, that the organism could be a candidate for a new probiotic strain.

Effects of Orally-Administere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 lactis Strain BB12 on Dextran Sodium Sulfate-Induced Colitis in Mice

  • Chae, Jung Min;Heo, Wan;Cho, Hyung Taek;Lee, Dong Hun;Kim, Jun Ho;Rhee, Min Suk;Park, Tae-Sik;Kim, Yong Ki;Lee, Jin Hyup;Kim, Young 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1호
    • /
    • pp.1800-1805
    • /
    • 2018
  •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cluding Crohn's disease and ulcerative colitis (UC), is a chronically relapsing inflammatory disorder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testinal epithelial cells (IECs) constitute barrier surfaces and play a critical role in maintaining gut health. Dysregulated immune responses and destruction of IECs disrupt intestinal balance. Dextran sodium sulfate (DSS) is the most widely used chemical for inducing colitis in animals, and its treatment induces colonic inflammation, acute diarrhea, and shortening of the intestine, with clinical and histological similarity to human UC. Current treatments for this inflammatory disorder have poor tolerability and insufficient therapeutic efficacy, and thus, alternative therapeutic approaches are required. Recently, dietary supplements with probiotics have emerged as promising interventions by alleviating disturbances in the indigenous microflora in UC. Thus, we hypothesized that the probiotic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 lactis strain BB12 could protect against the development of colitis in a DSS-induced mouse model of UC. In the present study, oral administration of BB12 markedly ameliorated DSS-induced colitis, accompanied by reduced tumor necrosis factor-${\alpha}$-mediated IEC apoptosi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obiotic strain BB12 can alleviate DSS-induced colitis and suggest a novel mechanism of communication between probiotic microorganisms and intestinal epithelia, which increases intestinal cell survival by modulating pro-apoptotic cytokine expression.

Disruption of the Tff1 gene in mice using CRISPR/Cas9 promotes body weight reduction and gastric tumorigenesis

  • Kim, Hyejeong;Jeong, Haengdueng;Cho, Yejin;Lee, Jaehoon;Nam, Ki Taek;Lee, Han-Woong
    • Laboraroty Animal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257-263
    • /
    • 2018
  • Trefoil factor 1 (TFF1, also known as pS2) is strongly expressed in the gastrointestinal mucosa and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differentiation of gastric glands. Since approximately 50% of all human gastric cancers are associated with decreased TFF1 expression, it is considered a tumor suppressor gene. Tff1 deficiency in mice results in histological changes in the antral and pyloric gastric mucosa, with severe hyperplasia and dysplasia of epithelial cells, resulting in the development of antropyloric adenoma. Here, we generated Tff1-knockout (KO) mice, without a neomycin resistant ($Neo^R$) cassette, using the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CRISPR-associated nuclease 9 (CRSIPR/Cas9) system. Though our Tff1-KO mice showed phenotypes very similar to the previous embryonic stem (ES)-cell-based KO mice, they differed from the previous reports in that a reduction in body weight was observed in male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se newly established Tff1-KO mice are useful tools for investigating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gastric cancer, without the effects of artificial gene insertion. Furthermore, these findings suggest a novel hypothesis that Tff1 expression influences gender differences.

한국인 위암에서 KLF6 단백 발현 양상 (Expression Pattern of KLF6 in Korean Gastric Cancers)

  • 조용구;김창재;박조현;김수영;남석우;이석형;유남진;이정용;박원상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1호
    • /
    • pp.34-39
    • /
    • 2005
  • 목적: KLF6는 모든 조직에서 발현되고 있는 zinc finger를 가진 종양억제유전자로 인체 여러 암에서 불활성화되어 있다. 연구자들은 KLF6 단백의 발현 변화가 위암의 발생에 관여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85예의 파라핀 포매된 위암조직에서 암세포들으 각각 3군데에서 펀치하여 새로운 파라핀 블록으로 옮겨 위암의 tissue microarray를 제작하였다. Tissue microarray 절편에서 KLF6 단백에 대한 항체로 면역화학염색을 실시한 후 발현 양상을 병리 지표들인 조직학적 소견, 침습 정도, 림프절 전이 및 복막파종 등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KLF6 단백은 위점막의 표면과 소와 상피세포에서 주로 발현되고 있었고 85예 중 28예($28.9\%$)에서 발현 소실이 관찰되었다. 흥미롭게도 KLF6 단백의 발현 소실은 림프절 전이와 통계적으로 연관성이 있었으나 조직학적 소견, 침습 정도와 복막파종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이러한 소견들은 KLF6 단백의 발현 소실이 위장관 상피세포의 비정상적인 성장과 분화를 유도하고 위암의 발생 및 진행에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위암에서 CK20과 CEA의 RT-PCR을 이용한 수술조작 전후 유출 정맥과 복막에서의 미세전이의 검출 (Use of RT-PCR for CK20 and CEA mRNA to Detect of Micrometastasis in the Draining Venous Blood and the Peritoneum in Gastric Cancer Patients)

  • 주재균;이지희;고양석;김정철;류성엽;김동의;김영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3권3호
    • /
    • pp.128-133
    • /
    • 2003
  • Purpose: The benefits of the 'no-touch' isolation techniquethat is usually performed to prevent the circulation of tumor cells are not evid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no-touch isolation technique for treating gastrointestinal cancers could prevent the circulation of tumor cells detected by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Matrials and Methods: By using RT-PCR to amplify mRNAs for two specific epithelial markers,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and cytokeratin 20 (CK-20), we examined 34 gastric cancer patients who had been histologically diagnosed and 22 patients had undergone serosal and peritoneal brushing. Results: In 10 ($29.4\%$) of the 34 gastric cancer patients, we detected CK20 mRNA before manipulation, and in 17 ($51.5\%$) of those patients, after we detected it. The density of the CK20 mRNA band was increased in 11 cases ($33.3\%$) and the density was decreased in 2 cases ($6.1\%$). In 16 ($48.5\%$) of the 34 gastric cancer patients, we detected CEA mRNA before manipulation, and in 17 ($51.5\%$) patients after we detected it. The density of the CEA mRNA band was increased in 8 cases ($24.2\%$) and decreased in 3 cases ($9.1\%$). Conclusion: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 ' no-touch isolation technique ' might be useful when operating on advanced gastric cancer patients and that serosal or Douglas pouch brushing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status of micrometastasis.

  • PDF

이차원 전기영동을 이용한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ains의 Shiga Toxin-producing E. coli (STEC) 부착 억제와 관련된 단백질 발현 변화 분석 (Comparison of Specific Proteins of Shiga Toxin-producing E. coli (STEC) Adhesion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ains Using Two 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 김영훈;문용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63-268
    • /
    • 2006
  • 최근 들어 병원성 미생물의 저감화를 위하여 기존의 항생제 계열의 항균물질이 아닌 새로운 개념의 신소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이러한 신개념의 병원성 저감화 소재 중 인간의 장내에 존해하는 probiotics 균주의 특성을 이용하여 병원성 미생물을 예방하는 것은 보다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에서는 HT-29 cell을 대상으로 L. acidophilus 균체와 세포 파쇄물을 대상으로 STEC ATCC 43894의 장 상피세포 부착 억제능력을 측정하였다. 10 mg/mL의 세포 파쇄물이 존재하였을 때 $10^9cfu/mL$의 균체가 존재했을 때와 유사한 수준으로 STEC ATCC 43894의 부착 저해 효과가 관찰되었다. 하지만, L. acidophilus A4의 상등액에서는 그 저해 효과가 세포 파쇄물의 $5{\sim}10%$ 정도 수준으로 관찰되어 그 효과는 매우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L. acidophilus A4의 세포 파쇄물이 STEC의 부착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10mg/mL의 세포 파쇄물이 첨가된 배지에서 STEC의 단백질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각 gel의 image에서 평균적으로 800개의 spot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중 2배 이상의 발현차이를 보이는 13개의 spot을 선발하였다. 7개의 spot은 세포파쇄물이 첨가되었을 때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3개의 spot은 발현이 감소하였다. 흥미롭게도 3개의 단백질 spot은 세포파쇄물이 존재할 때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명확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L. acidophilus A4의 세포 파쇄물에 존재하는 물질은 (1)STEC의 부착과 관련된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2)STEC과 장상 피세포에서의 수용체 경합을 통해 부착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이와 관련된 보다 세부적인 작용 메카니즘 연구 및 생화학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인 위암에서 KLF4 단백 발현 양상 (Expression Pattern of KLF4 in Korean Gastric Cancers)

  • 송재휘;조용구;김창재;박조현;김수영;남석우;이석형;유남진;이정용;박원상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3호
    • /
    • pp.200-205
    • /
    • 2005
  • 목적: Zinc finger를 가진 KLF4는 위장관 상피세포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양억제유전자이다. 연구자들은 KLF4 단백의 발현 변화가 위암의 발생에 관여하는지를 파악하고 위암의 병리 지표들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84예의 파라핀 포매된 위암조직에서 암세포들을 각각 3군데에서 펀치하여 새로운 파라핀 블록으로 옮겨 위암의 tissue microarray를 제작하였다. Tissue microarray 절편에서 KLF4 단백에 대한 항체로 면역화학염색을 실시한 후 발현 양상을 병리 지표들인 조직학적 소견, 침습 정도, 림프절 전이 및 복막파종 등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KLF4 단백은 위점막의 표면과 소와 상피세포의 세포질과 핵에서 주로 발현되고 있었고 조사된 위암 84예 중 43예(51.2%)에서 발현이 현저히 저하되어 있거나 소실되어 있었다. 이러한 KLF4 단백의 발현 소실은 조직학적 소견, 침습 정도, 림프절 전이 및 복막파종과는 통계적으로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KLF4 단백의 발현 소실이 위장관 상피세포의 비정상적인 성장과 분화를 유도하고 위암의 발생 초기에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생선 내장으로부터 분리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에 의한 히스타민 생산균의 제어 (Control of histamine-forming bacteria by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ish intestine)

  • 임은서;이남걸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52-36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생선 내장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 특성과 아민 산화효소(diamine oxidase, DAO) 및 박테리오신 생산을 통한 히스타민 분해능을 조사하였다. 조기, 가자미, 명태 및 우럭 내장으로부터 분리된 총 97종의 유산균 중에서 CIL08, CIL16, FIL20, FIL31, PIL45, PIL49, PIL52 및 RIL60 균주는 인공 소화액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고, HT-29 상피세포에 대해서도 높은 부착력을 보였으며, 항생제(amoxicillin, ampicillin, erythromycin, penicillin G, streptomycin, tetracycline 및 vancomycin)에 대한 내성도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이들 균주들은 히스티딘이 함유된 탈카르복시화 액체배지 내에서 히스타민을 생산하지 않았다. 특히 DAO를 생산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CIL08, FIL20, PIL52 및 RIL60 등의 4균주는 히스타민 분해능이 유의하게 높았다. FIL20, FIL31 및 PIL52 유산균이 생산한 박테리오신에 의해선 Enterococcus aerogenes CIH05, Serratia marcescens CIH09, Enterococcus faecalis FIH11, Pediococcus halophilus FIH15, Lactobacillus sakei PIH16, Enterococcus faecium PIH19, Leuconostoc mesenteroides RIH25 혹은 Aeromonas hydrophilia RIH28의 증식과 히스타민 생성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생선 내장에서 분리된 히스타민 생성균과 히스타민 분해능 혹은 박테리오신 생산능을 가진 CIL08, FIL20, PIL52 및 RIL60 유산균과 혼합 배양에 의해 히스타민 축적량이 감소되었다. 히스타민 생성을 억제하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배양학적 특성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Pediococcus pentosaceus CIL08, Lactobacillus plantarum FIL20, Lactobacillus paracasei FIL31, Lactobacillus sakei PIL52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RIL60으로 동정되었다.

사람 폐암 세포주에서 포도당 운반 단백 유전자의 발현 (Glucose Transporter Gene Expression in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 김우진;임재준;이재호;유철규;정희순;한성구;정준기;심영수;김영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760-765
    • /
    • 1998
  • 연구배경: 암세포에서 포도당의 유입이 증가되어 있다는 사실이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고 이런 현상을 이용하여 FDG-PET 영상이 암의 진단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암세포에서 포도당 유입이 증가하는 기전에 대해서는 모르고 있다. 최근, 여러 연구에서 소화기계의 악성종양과 두경부종양에서 포도당 운반체의 mRNA 의 존재가 증명되었고, 포도당 운반체가 암세포에서의 포도당 유입 증가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폐암에서도 포도당대사가 항진되어 있다. 저자등은 폐암에서의 포도당 유입이 증가하는 기전에 대해 알아 보기 위하여 사람 폐암세포주에서 포도당 mRNA의 발현여부를 확인하였다. 방 법: 15종의 사람 폐암 세포주와 불멸화시킨 기관지 상피세포주에서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20{\mu}g$의 total RNA를 전기영동시킨후, 포도당 운반체 1형과 3 형에 대한 cDNA를 probe로 North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 과: 14종의 사람 폐암 세포주중에서 13종에서 포도당 운반체 1형의 mRNA 발현을 확인하였고, 14종의 사람 폐암 세포주중에서 10종에서 포도당 운반체 3형의 mRNA 발현을 확인하였다. 불멸화시킨 기관지 상피세포주의 포도당 운반체 1형의 mRNA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고 3형의 mRNA 발현은 확인할 수 없었다. 결 론: 폐암에서 포도당 대사의 증가는 포도당 운반체 1형과 3형의 발현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랫드에서 로타바이러스에 대한 유산균혼합물의 항 바이러스활성 (Antiviral Properties of Probiotic Mixtures against Rotavirus in the Rat)

  • 박재은;이도경;김민지;김경태;최경순;서재구;하남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96-301
    • /
    • 2014
  • 로타바이러스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영 유아에게 급성위장염을 일으키는 주요원인이다. 위장질환의 치료를 위한 유산균의 사용은 안전하며 간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prague-Dawley 랫드에서 유산균혼합물의 로타바이러스에 대한 항 바이러스 효능을 조사하였다. 24마리의 새끼와 그들의 어미를 무작위로 네 그룹으로 나누었다; placebo,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와 유산균 혼합물-1, 유산균 혼합물-2 그룹. 5일령인 모든 랫드에게 8 log plaque forming units의 농도로 로타바이러스를 접종하고 유산균혼합물-1, 유산균 혼합물-2 그룹은 4일 동안 하루에 한번 각각 8 log colony forming units의 농도로 유산균 혼합물을 경구 투여하였다. 대조군인 placebo와 PBS 그룹은 4일 동안 하루에 한번 각각 동일한 양의 placebo (말토오스, 폴리덱스트로스 포함)와 PBS를 경구 투여하였다. 항 바이러스 효능분석을 위해 Real-time quantitative PCR (RT-qPCR)과 소장융모관찰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유산균 혼합물-1, 유산균 혼합물-2 그룹의 소장무게는 대조군 보다 무거웠다. 대조군의 융모는 길이가 짧아지고 융모상피세포의 괴사가 일어났지만 유산균 혼합물-1과 유산균 혼합물-2 그룹에서는 이러한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RT-qPCR 분석에서는 유산균 혼합물-1과 유산균 혼합물-2 그룹의 분변샘플과 소장상피세포에서 로타바이러스의 VP7 유전자 레벨이 낮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산균혼합물이 로타바이러스 위장염에 대한 대체요법이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