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eous fire extinguishing system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7초

이성분계 가스계소화약제 소화성능의 컵버너실험 및 이론적 고찰 (Fire Extinguishing Ability of Binary Gaseous Extinguishing Agents Evaluated by Cup Burner and Numerical Studies)

  • 권경옥;원동빈;최근주;김종원;신동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7-12
    • /
    • 2007
  • 할론 1301과 같은 바람직한 물성을 갖고 있는 새로운 소화약제를 찾고자 하는 노력은 아직까지 이렇다 할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대체 가스계 소화약제 개발을 위한 하나의 접근방법으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이성분계 복합가스계소화약제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불활성기체에 기존 가스계소화약제를 혼합하여 여러 조성에 대해 소화농도를 결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많은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질소를 기본으로 HFC 125와 HFC 227ea를 각각 혼합하여 혼합물의 소화약제의 농도를 농도비를 달리하며 컵버너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복합소화약제의 각각의 소화농도는 HFC 가스계소화약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두 낮아지는(즉 소화력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론적으로 계산된 값과의 일치도도 높았으며, 소화효과 측면에서 질소와의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이성부계 소화약제의 물리 화학적 소화효과의 모델링을 통해 소화농도를 추정하는 방식은 이성분계 복합가스계 소화약제의 전체 성능예측에 필요한 실험 횟수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불활성 가스계 혼합소화약제의 n-Heptane 불꽃소화농도 및 배가스 조성 (Flame Extinguishing Concentrations and Flue Gas Compositions of n-Heptane by Mixed Inert Gas Agents)

  • 김재덕;김영래;홍승태;이성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77-83
    • /
    • 2002
  • 질소, 아르곤, 이산화탄소와 같은 불활성가스 및 이들의 혼합물을 소화약제로 하여 n-Heptane을 연료로한 cup-burner test 장치에서 불꽃소화농도와 연소시 배가스의 조성을 측정하였다. 이성분 불활성가스계 혼합소화약제의 소화농도는 혼합물의 구성비를 이용한 모델에 의해 잘 예측됨을 알 수 있었다. 불활성 가스계 혼합 소화약제에 의한 소화작용에 있어서 혼합가스의 평균비중이 클수록 소화 성능이 우수하였다. 또한 밀폐된 공간의 구조가 소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소시 배가스 중 이산화탄소 조성은 사용하는 소화약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일산화질소 발생은 소화약제의 질소 함량과는 상관이 없으며 공기유량을 크게 하여 불꽃을 크게 했을 때 검출되었다.

흡음재 두께가 소화노즐 소음도 저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bsorbent Thickness on the Noise Level Reduction of Fire-Extinguishing Nozzle)

  • 김학선;황인주;김윤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1호
    • /
    • pp.99-104
    • /
    • 2019
  • 신속한 화재 진압을 목표로 가스계 소화 시스템에서 소화약제는 일반적으로 섭씨 $21^{\circ}C$에서 약 28 MPa의 고압으로 저장되며, 방출시 감압밸브와 오리피스를 지나면서 약 8 MPa의 압력으로 방출한다. 때문에 방출시 약 140 dB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hard disk drive (HDD)와 같은 전자 부품들이 손상되기도 한다. 따라서 소음문제는 가스계 소화 시스템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소음문제 해결방안으로는 일반적으로 흡음재를 부착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방안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흡음재의 두께를 설계 변수로 선정하여 유동소음을 저감하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관측점에서의 소음도와 노즐내부 유로에 나타나는 유동특성은 상용 코드인 ANSYS CFX ver. 18.1을 이용하여 수치적으로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가스소화약제 압력누기감시장치의 안전성 분석을 위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to Analyze Safety of Pressure Leakage Monitoring System of Gas Extinguishing Agent)

  • 고아라;임동오;손봉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4호
    • /
    • pp.103-110
    • /
    • 2016
  • 가스계소화설비의 수요는 매해 증가하고 있으나, 늘어나는 수요에 대비한 시스템의 안전성 및 신뢰성등 소화성능에 필요한 안전대책이 미흡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스 소화시스템의 사고발생 원인 중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인 소화약제 저장용기에서 발생하는 압력누기는 화재진압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시급한 대책이 요구되는 문제점로 판단하여 연구를 하였다. 새로 개발한 압력누기감시장치는 화재진압에 중요한 요소인 소화농도와 관련이 있는 저장용기의 약제확보상태와 압력 및 누기, 방출상태 등을 감시하는 장치로 $CO_2$와 HFC-23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즉, 압력누기감시장치를 가스소화설비에 적용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 안전성 분석을 위하여 유체-구조연계해석을 통하여 안전성능을 검증하였다. 해석에 사용한 프로그램으로 전산유체해석은 Mentor Graphics사의 FloEFD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구조해석 프로그램은 Dassault systems사의 ABAQUS를 사용하였다. 수치해석결과 $CO_2$용의 구조에서는 소성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을 확인하였으나 HFC-23용 감시장치에는 소성변형 및 이탈문제가 발생하여 설계수정과 3차례의 수치해석 조건을 수정하여 얻은 데이터를 기본으로 압력누기감시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현장 방출시험 방법론에 관한 고찰 (A Study on On-site Discharge Testing for Carbon Dioxide Fire Extinguishing Systems)

  • 박준현;강태석;김재환;김위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26-32
    • /
    • 2015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질식소화가 주된 소화작용이므로 제한된 시간 내에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방호구역의 산소농도를 기준치 이하로 유지시키는 능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국내에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국민안전처 고시에 따라 인증된 설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소화설비를 설계하고 있다. 그러나 소화설비가 설치된 방호구역의 기하학적 구조는 성능인증 단계의 모의실험장치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설계프로그램 적용 범위를 벗어난 소화설비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저압식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배관 내 유동현상에 따라 소화약제 방출량이 변하므로 소화설비 설치 후에 현장 방출시험을 통하여 성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국내 외 기술기준에는 방출시험에 대한 방법론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기술기준을 비교 분석하고, 방출시험 사례분석을 통하여 현장 방출시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개구부 면적이 $CO_2$ 소화설비의 소화성능에 미치는 영향 -기계실 석유 표면화재의 CFD simulations- (The Effects of the Area of Openings on the Performance of a $CO_2$ Extinguishing System -The CFD Simulations of the Oil Surface Fire in a Machine Room-)

  • 전흥균;최영상;박종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9
    • /
    • 2008
  • 이산화탄소는 다른 어떤 가스계 소화약제보다도 화재를 안전하게 진압하는 소화약제로서 다양한 방호구역과 화재에 대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성능위주설계 개념에 따라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설계 단계에서 해당 방호구역의 발생 가능한 화재시나리오에 따라 소화성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00m^3$의 체적을 갖는 기계실의 석유 유출(설계)화재시 개구부의 크기가 $CO_2$ 소화설비의 소화성능과 유동장의 유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CFD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소화완료 시간은 개구부의 면적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3가지 화재모델의 소화완료 시간 모두 $CO_2$ 소화설비의 성능기준에 부합하였다. 개구부의 질량 유동율은 화재 열방출과 $CO_2$ 소화약제 분사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CO_2$ 소화약제 분사 완료 후 방호구역의 산소농도는 화재모델 모두 연소한계산소농도 보다 적었다.

가스계 소화시스템용 소화약제 저장용기 누설 검출 무선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Monitoring RF System on Leakage of Gas Cylinder in Gaseous Fire Extinguishing System)

  • 소수현;오주환;차철웅;이대근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7-10
    • /
    • 2008
  • In our study, Monitoring RF System in real-time on leakage of gas cylinder is developed. The system is consisted of Pressure Transmitting part, Main Controller and Operating program. The pressure data of gas cylinder are transmitted to the modem of main controller part by RF module of Pressure Transmitting part and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modem are recorded in real-time and showed the situation of gas cylinder on the PC monitor. Through the test on the case of the artificial pressure-reduction, the detecting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system is conformed.

  • PDF

Door Fan Test를 활용한 가스계 소화설비의 적응성 검증 방안 연구 (A study on gaseous fire extinguishing system adaptability using the door fan test)

  • 이창욱;윤아영;나진석;엄기주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자료집
    • /
    • pp.99-102
    • /
    • 2010
  • 가스계 소화설비는 소화약제의 특성상 방호구역내의 누설면적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고, 누설면적이 너무 크면 제대로 된 소화성능을 발휘 할 수 없기 때문에 설계 및 시공, 그리고 설치 후 성능 검증 등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전 가스계 소화설비의 성능확인방법으로 종래에는 소화약제 전량을 직접방출하거나 극히 일부 저장용기의 소화약제만을 방출시키는 소위 간이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보편적이었으나, 방출시험은 고비용, 일회성 및 시험절차의 난이성, 그리고 환경오염으로 인해 실제 방출시험을 통한 설비의 신뢰성 확인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가스계 소화설비의 성능검증을 위해 Door Fan Test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고압가스 충전용 밸브 개발(드레인밸브 기능포함) (Development of Rechargeable High-pressure Gas Valve (Capability of Valve to Drainage))

  • 권경옥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64-67
    • /
    • 2008
  • 초고압 공압용 패킹을 적용한 밸브를 개발하여 밸브의 수명 및 기밀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밸브핸들 부위를 통하여 잔압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하여, 별도의 드레인밸브가 필요 없는 효과적인 밸브를 개발하였으며 특성은 밸브 팩킹을 특수한 형태로 가공하고, 기둥에 드레인 홀을 구성하여, 밸브가 열리거나, 닫힌 상태에 관계없이 드레인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