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 regulator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4초

Study on Fault Detection of a Gas Pressure Regulator Based on Machine Learning Algorithms

  • Seo, Chan-Yang;Suh, Young-Joo;Kim, Dong-J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19-27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정압기의 이상 상태 진단을 위한 기계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설비의 이상 상태 탐지를 위한 기계학습 모델 구현에는 관련 센서의 설치와 데이터 수집 과정이 동반되나, 정압기는 설비 특성상 안전문제에 매우 민감하여 추가적인 센서 설치가 매우 까다롭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센서의 추가 설치 없이 정압기 설비에서 자체 수집되는 유량과 유압 데이터만을 가지고 정압기의 이상 상태를 조기에 판단하는 기계학습 모델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압기의 비정상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은 관계로, 모델 학습 시 오버 샘플링(Over-Sampling)을 적용하여 모델이 모든 클래스에 균형적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또한, 그레이디언트 부스팅(Gradient Boosting), 1차원 합성곱 신경망(1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LSTM(Long Short-Term Memory)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정압기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분류모델을 구현하였고, 실험 결과 그레이디언트 부스팅 알고리즘이 정확도 99.975%로 가장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가스 조절용 레귤레이터의 유동 및 성능해석 (Analysis of Flow and Performance of Regulator for Clean Gas Supply System)

  • 김명관;이연수;최우진;권오붕;박정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3-18
    • /
    • 2009
  • In this study, flow characteristics at the regulators, which is very important for clean gas supply systems for semiconductors and LCD industries, are investigated. Numerical simulations are carried out to visualize flows at regulators for several flow rates and to investigate pressure losses at some parts in the regulator. Velocity field at the regulator along with the detailed velocity field near the spring and near the valve is shown. New regulator models are proposed in this paper, and numerical simulations are also carried out to visualize flows at regulator for several flow rates, and to investigate pressure losses at the parts in new models. Pressure drops a lot across the valve seat. Pressure drop increases as mass flow rate increases. Especially for small opening, pressure drop increases rapidly as mass flow rate becomes large.

  • PDF

정압기 EVENT 감소방안 연구 (Study on the Plan to Reduce the EVENT of the Gas Regulator)

  • 윤강옥;엄태준;김기범;이용우;이형민;공병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7-62
    • /
    • 2023
  • 정압기 EVENT는 각 지역정압기(이하 "정압기")에 설치된 원격감시장치가 보내는 신호로 당사 Client서버에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상경보이다. 이는 정압기 이상발생 시 상황실에서 즉각적으로 출동명령 및 초동조치를 가능토록 하며 정압기 이상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중요한 Data이다. 최근 3년간 정압기 EVENT Data의 추이를 살펴보면 비점검 EVENT Data 증가 추세가 뚜렷하다. 비점검 EVENT(실제이상 또는 Noise EVENT)가 증가한다는 것은 첫째로 실제 정압기에 기계적 이상이나 압력이상 발생이 증가한다는 의미일 수도 있으며, 둘째로 실제 정압기엔 이상이 없지만 원격감시장치에서 발생한 통신오류, Reset오류, 센서오류, 전원오류(순간정전) 등에 의하여 정압기에 이상이 생긴 것처럼 EVENT Data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중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한 비점검 EVENT Data를 분석하여 Noise EVENT인 원격감시장치 오류 중 Critical Noise Event를 확인하고 이를 감소시켜 정압기 EVENT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압력평형메커니즘을 이용한 초소형 수동형 기체 압력조정기 (A Micro Passive Gas Pressure Regulator using Pressure Balance Mechanism)

  • 이기정;양상식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9권1호
    • /
    • pp.138-143
    • /
    • 2010
  •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sis, the fabrication and the test results of a micro passive gas pressure regulator to keep the outlet pressure costant even for a widely-varying inlet pressure. This device is to regulate the outlet pressure according to the applied reference pressure based on the pressure balancing mechanism of the structure including a membrane and a valve. This regulator consists of four layers; a bulk-micromachined silicon substrate, a sandblasted glass substrate, a PDMS valve seat layer and a glass valve layer. The device size is $10\times13\times1.7 mm3$. The device was fabricated by micromachin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device was analyzed and tested. The characteristic of the fabricated pressure regulator is similar to that obtained from the analysis. The pressure regulator of this paper is feasible for portable systems and miniature drug delivery systems.

자동차 CNG용 고압 레귤레이터의 특성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igh Pressure Regulator for Vehicle CNG)

  • 김병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997-6003
    • /
    • 2011
  • 자동차 천연가스의 주행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연료용기의 고압이 필요하고 고압의 연료를 적절한 압력으로 저감시키는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가스 자동차에서 가장 중요한 압력 제어기의 압력특성을 조사하였다. 압력 제어기에서의 히스테리시스, 압력저하 및 제어기의 유량특성을 수학적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CNG 제어기에 대한 새로운 방식의 유압해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실시하여 실제 동작조건에서 압력 제어기의 수학적 해석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정압기지내의 안전밸브 분출용량 관계식 검증을 위한 유동해석(I) - 정압기 유동 해석 및 질량 유량 검증 - (Numerical Analysis for Evaluation of Ejection Capacity Relationship of Safety Valves in Pressure Regulating Station(I) - Flow Analysis and Mass Flow Rate Verification of Pressure Regulator -)

  • 권혁록;노경철;김영섭;이성혁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9-104
    • /
    • 2008
  • 가스 정압기지 내의 가스 정압기는 배관 내의 높은 가스의 압력을 일정한 압력으로 낮추는 역할을 한다. 가스 정압기는 흐르는 가스의 유동을 제어할 뿐 아니라, 하류의 압력을 제어하는 데도 사용한다. 가스 정압기지의 안전성을 위해서 정압기와 정압기에 연결되어 있는 안전밸브의 유동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압기의 질량 유량 및 유동 특성을 다양한 입구 및 출구 압력 조건, 그리고 개도율에 대하여 수치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이러한 질량 유량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는 정압기 제조사로부터 제안되는 실험 수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수치해석 결과와 실험 수식을 통해 얻어진 결과가 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 PDF

압력조절밸브와 배관 특성을 포함한 유도무기용 기체 블로우다운 시스템의 공압부 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ing of the Pneumatic Part in a Gas Blow-Down System Including Pressure Regulator and Pipe-Line Characteristics)

  • 박영우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14권3호
    • /
    • pp.32-39
    • /
    • 2017
  • In this study, a mathematical model of the pneumatic part in a gas blow-down system is proposed. The mathematical model consists of four major parts: pressure vessel, reservoir, pressure regulator and pipe-line. To ensure accuracy in long-time simulations, heat transfer between gas and pressure vessel is considered. The model is validated by comparing simulation results with experimental data. Experiments are conducted on the ground, where free convection can be assumed.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e proposed model can accurately describe behavior of a gas blow-down system. Therefore, it may be used for design and analysis of similar systems with a slight modification.

가스밸브의 강도안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 Safety of a Gas Valve)

  • 김청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0-6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LPG 용기용 가스밸브의 강도안전성에 대한 FEM 해석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FEM 해석결과에 의하면, 가스밸브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3.5 MPa의 공급압력을 적용하였을 때, 안전밸브와 나사의 상단부사이의 경계 지역에서 발생한 von Mises 최고응력은 99.2 MPa로 나타났다. 99.2 MPa라는 von Mises 최고응력은 황동소재의 항복강도에 비해 낮은 값으로 충분히 안전한 결과이다. 이 경우에, 압력조정기의 상측 오른쪽에서는 최대 변위량 0.002mm가 발생하였다. 최대로 변형된 이 지역은 가스밸브에 설치된 오링이나 다이어프램과 같은 밀봉 부분이 아니므로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다. 기존의 개폐식 밸브와 압력 조정기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제시한 하이브리드형의 가스밸브 모델은 LPG 용기용으로 가스누출이 없는 메커니즘과 최소로 단순화시킨 크기의 가스모델로 추천된다.

수치해석을 통한 가스 레귤레이터의 압력제어 프로세스 고찰 (A Study on the Pressure Control Process of Gas Regulators through Numerical Analysis)

  • 정준환;남충우;김민경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7-51
    • /
    • 2021
  • 가스 레귤레이터에 동일한 유량을 공급할 때 발생하는 압력 강하 현상을 분석하였다. 레귤레이터는 특정 범주의 환경에서 일정한 압력을 토출하기 위해 피스톤 상/하부에 작용하는 힘과 스프링 장력 간의 상호 작용으로 피스톤의 위치를 이동시켜 압력을 유지하는 특성이 있다. 레귤레이터 내부의 유체의 체적이 변화함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유동특성과 압력제어과정을 수치해석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피스톤과 피스톤 시트 사이의 간격이 감소함에 따라 압력 강하가 증가하고 유속이 증가하였다. 압력-유량시험과 동일한 조건(입구압력 3MPa, 출구압력 0.8MPa, 유량 70kg/h)에서 피스톤이 0.12mm에 위치함을 수치해석을 통해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