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 Retention Time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5초

Treatment of Starch Wastewater by Anaerobic Digestion Combined with Hollow Fiber UF

  • 노성희;나재운;김선일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745-748
    • /
    • 2000
  • Anaerobic digester coupled with hollow fiber membrane unit. Treatment of starch waste with anaerobic digester-membrane system was studied. $0.17\;m^2$ area of hollow fiber membrane unit of known pore size was immersed into laboratory-scale anaerobic digestion system. The gas production was about $0.74\;m^3/kg$ COD treated. The COD removal efficient was about 80-95% depending on the hydraulic retention time. Crossflow ultrafiltration as Post treatment to anaerobic filter. The study conducted with different membrane pore size indicated that membrane with 1,000,000 molecular weight cut-off size gave a higher COD removal efficiency in the range of 83-87% while giving a study flux of $120-130\;L/m^2\;{\cdot}\;h$. A study was conducted to see the long term clogging effect of membrane also.

  • PDF

인삼 extract중의 $\alpha$-pyrrolidone검정 (Determination of $\alpha$--pyrrolidone in panax ginseng Extracts)

  • 서정상
    • 약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11-120
    • /
    • 1969
  • The determination of $\alpha$-pyrrolidone in ginseng extract by gas liquid chromatography (GLC) was established. $\alpha$-Pyrrolidone in extract was tentatively identified by comparison of the relative retention time of sample peak with those of reference compound and coinjection noted peak enhancement. The .alpha.-pyrrolidone peak elimination was demonstrated by formation of oxime when treated with excess of NH$_{2}$OH ${\cdot}$ HCl and NaOH,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5 minute. The elimination was also observed when samples were treated by the same procedure. The above method was proved to be useful for the determination of $\alpha$-pyrrolidone in ginseng extract and in ginseng extract mixed with 51 plant extracts.

  • PDF

황색종 잎담배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산 황색종 잎담배 N.C.2326을 중심으로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Flue-cured Tobacco - Base on the Aroma Components of Korean Flue-cured Tobacco (N. C. 2326) -)

  • 김영회;박준영;김용태;김옥찬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31
    • /
    • 1984
  •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were isolated from Korean flue-cured tobacco (N.C. 2326) by using a vacuum steam distillation method. Individual aroma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GCIMS and comparison of gas chromatowaphic retention time with those of the authentic samples. Sensory analysis showed that a vacuum steam-distilled product of Flue-cured tobacco had a typical haylike, floral and fruity aroma. Among 62 compounds identified, major compounds included neophytadiene, benzyl alcohol, ethyl acetate, phenyl ethyl alcohol, ethyl alcohol, ethyl formate, acetic acid, solanone, 2-acetyl pyrrole, $\beta$-ionone epoxide, 2, 4-heptadienal (2 isomers), megastigmatrienone (4 isomers), furfural and total amounts of 13 compounds were about 80%.

  • PDF

바이오가스와 균체단백질 생산을 위한 유기질 폐기물의 미생물 전환 연구 (Microbial Conversion of Organic Wastes for Production of Biogas and Algal Biomass)

  • 권순찬;김진상
    • KSBB Journal
    • /
    • 제8권5호
    • /
    • pp.438-445
    • /
    • 1993
  • 유기칠 폐기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고자, 상 분리 혐기발효와 Chiorella 배양에 의한 생우분의 4 단계-복합처리를 시도하였다. 3배 희석 생우분을 6 일간 산발효시킨 발효액을 4 일의 수리학적 체류시 간으로 1차 에탄발효조에 공급했을 때, 평균 977ml/l C비ture/day의 바이오가스가 생산되었고, 1차 발효 폐액을 역시 4일의 체류시간으로 2차 메탄발효조에 공급했을 때 평균 428ml/l culture/day의 바이오 가스가 생산되었다. 1차 메탄발효의 바이오가스 생 산성은 재래의 단일조식과 비교했을 때 31.4% 증가 되었다. 또한 산발효과정, 1차 및 2차 에탄발효과정 의 유기물 제거율은 각기 71.8%, 42.6% 그리고 2 24.0%였다. 한편, 2차 메탄발효폐액은 Chiarella s sp. PSH3에 의해 10일의 체류시간으로 반연속배양 처리한 결과, 평균 1.8g/l culture/day(2.8$\times$106 cells/ml)의 조체가 생산되었고, 이 과정의 유기물 제거율은 73%였다. 이상의 4단계 처리과정을 통하 여 초발원료인 3배 희석 생우분의 COD가 51, 300ppm에서 최종단계인 Chiarella의 처리에 의해 평균 85ppm으로 감소되어 총유기물 제거율이 99.8 %에 달하였다. 이들의 결과는 유기질 폐기물의 효 율적 처리와 더불어 바이오가스와 균체단백질을 생산하는 복합처리계의 구성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 PDF

황을 이용한 독립영양탈질에서의 체류시간과 온도의 영향 (Effects of Hydraulic Retention Time and Temperature on Sulfur-utilizing Autotrophic Denitrification)

  • 변정섭;범봉수;조광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05-415
    • /
    • 2000
  • 전자공여체로 황 입자를 충전시킨 상향류 고정상에서 유입수의 $NO_3{^-}$-N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체류시간과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독립영양 탈질실험을 실시한 결과, 체류시간 및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처리수의 $NO_2{^-}$-N 및 발생가스의 $NO_2$ 농도가 증가하면서 탈질효율이 악화되고 가스발생량은 감소하였다. 제거된 $NO_3{^-}$-N 1g당 소모된 알칼리도의 양은 실험조건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어, 체류시간 영향 실험에서는 3.44~5.71 g. 평균값 4.67 g로 이론값인 4.57 g에 근사하였으나, 온도 영향 실험에서는 6.58~13.41 g, 평균값 9.12g은 이론값의 2배 정도되었다. 제거된 $NO_3{^-}$-N 1 g당 생성된 $SO_4{^{2-}}$의 양은 체류시간 영향 실험에서는 6.99~9.69 g, 평균 8.20 g이었으며, 온도 영향 실험에서는 6.44~8.16 g, 평균 7.51g으로 이론값인 7.54 g에 가깝게 나타났다. 반응조 길이 방향에 따른 탈질은 반응속도상수가 0.1648/hr인 1차반응으로 그리고 황산염 생성은 반응속도상수가 241/hr인 0차반응으로 나타났으며, 온도보정계수는 평균 1.130으로 계산되었다. 그러나 질소수지를 따진 결과 이론치와 실측치간에 큰 차이를 보여 이의 규명을 위한 연구가 요망된다.

  • PDF

아주까리(비마자) 수집종의 조지방 및 지방산 분석 (Analysis of Crude Fat and Fatty Acid in Collections of Ricinus communis L.)

  • 김인재;남상영;김민자;노창우;윤태;김홍식;송항림;정헌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01-305
    • /
    • 2008
  • 수집종 아주까리 40종의 유전자원을 농촌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원과로부터 분양받아 바이오디젤 가능 작물로서 조지방 및 지방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집종 아주까리 종자의 gas chromatogram은 6개의 피크를 보였고, ricinoleic acid의 retention time은 12.7분대이었다. 아주까리 수집종의 평균 기름 함량은 $44.6{\sim}49.4%$이었으며, 최저 41.4%와 최고 52.2%로 10.8%의 차이가 있었다.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지방산이 97.6%로 대부분이었으며, 포화지방산은 2.4% 정도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지방산 조성은 87.3%가 ricinoleic acid이었으며,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각각 4.6%, 5.2%이었다.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의 함량은 1% 내외로 차이가 미미하였고, linolenic acid의 함량은 0.6% 정도로 가장 낮았다.

Citrobacter amalonaticus Y19의 영양종속 성장을 이용한 Trickle Bed Reactor에서의 연속적인 수소생산 (Continuous Hydrogen Production by Heterotrophic Growth of Citrobacter amalonaticus Y19 in Trickle Bed Reactor)

  • 박지영;이태호;오유관;김중래;설은희;정규열;김미선;박성훈
    • KSBB Journal
    • /
    • 제20권6호
    • /
    • pp.458-463
    • /
    • 2005
  • Polyurethane foam이 충진된 trickle bed reactor에서 통성혐기성 미생물인 Citrobacter amalonaticus Y19을 이용하여 일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연속적인 수소생산을 살펴보았다. C. amalonaticus Y19은 설탕을 탄소원으로 할 때 호기적 조건에서 13 g/L까지 성장하였고 혐기조건에서 CO 가스를 주입하였을 때 약 60시간만에 최대 수소 생산 활성을 나타내었다. TBR 반응기에서 유입가스의 CO의 분압이 증가할수록 혹은 기체 체류시간이 감소할수록 수소 생성속도가 증가하였으나 CO의 전환율은 반대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액상의 유속변화는 반응기 운전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본 실험에서 얻은 최대 수소 생성속도는 기체 체류시간 25분, 유입 CO 압력 0.4 atm에서 16 mmol/L/hr(전환율 33%)이었다. 이 값은 비슷한 반응기에 대해 보고된 Cowger의 결과보다 약 2배 이상 높은 값으로 통성혐기성균주의 고농도 배양과 다공성 충진물의 사용에 의한 높은 기-액 물질 전달 속도가 그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排煙脫黃石膏로부터 無水石膏 製造 및 適用 特性 (Manufacture and Application of anhydrous calcium sulfate from flue gas desulfurization gypsum)

  • 현종영;정수복;채영배;김병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4권2호
    • /
    • pp.10-18
    • /
    • 2005
  • 화력발전소의 배연탈황공정에서 발생된 탈황석고의 용도확대 및 천연 무수석고의 대체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탈황석고로부터 건식 열처리법에 의한 무수석고의 제조특성 및 탈황 무수석고에 대하여 시멘트 및 콘크리트 2차 제품으로의 적용 특성을 조사하였다. 탈황석고로부터 Ⅱ형 무수석고의 상전이는 700$^{\circ}C$ 부근에서 완전히 종료되었고, 이러한 Ⅱ형 무수석고의 상전이 과정에서 입자크기의 변화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천연 무수석고와 탈황 이수석고로부터 제조된 무수석고는 화학성분 조성, 입자크기, 열적특성 등의 물성이 유사하였다. 무수석고를 시멘트나 콘크리트 2차 제품에 적용시킬 때 부식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황산기(SO$_4^{2-}$)의 용출실험 결과, 700$^{\circ}C$에서 1시간 열처리로 제조된 탈황 무수석고는 천연 무수석고에 비하여 황산기의 용출량이 약 50 wt.%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소석회(Ca(OH)$_2$) 3 wt.%의 첨가에 의해 황산기의 용출량이 천연 무수석고에 비하여 약 70 wt.% 감소시킬 수 있었다. 탈황 무수석고를 시멘트 및 콘크리트 2차 제품에 적용시킨 결과, 압축강도 등의 물성이 천연무수석고에 비하여 동등 또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휴대형 GC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a Portable GC for Real-time Monitoring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 유동욱;선영식;오준식;이봉윤;김현식;정광우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6호
    • /
    • pp.327-333
    • /
    • 2020
  • 대기 중 미량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휴대형 GC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휴대형 GC의 크기는 35 × 26 × 15 ㎤, 무게는 5 kg으로 소형·경량이고, 24 VDC, 1 A (최대 3.2 A)의 저전력을 소모하며 공기를 운반 기체로 사용하므로 별도의 가스 실린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1 ppmv와 20 ppmv 시료의 크로마토그램에 대한 피크 면적의 상대표준편차(RSD)는 각각 3.79%, 0.48% 이하이고, 머무름 시간의 RSD는 각각 0.40%와 0.08% 이하로 우수한 재현성을 보였다. 또한 방법검출한계(MDL)는 0.09 ppmv로 낮은 검출한계를 나타냈다. 길이 30 m, 내경 0.28 mm의 분리 컬럼을 사용하여 10분 이내의 측정 조건에서 구한 피크용량과 분해능은 다양한 혼합 샘플도 정량 및 정성 분석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특히 27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80회의 분석을 수행하였을 때 관찰된 크로마토그램의 피크 세기와 머무름 시간의 RSD가 각각 2.4%, 0.5% 이하로 좋은 재현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휴대형 GC는 실내외 그리고 산업 현장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유해가스의 탐지는 물론 화학 물질의 유출사고에 대응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측정 장비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SN2 반응의 반응경로 및 반응성에 관한 분자궤도함수 이론적 연구 (Molecular Orbital Studies on the Reaction Path and Reactivity of $S_N2$ Reactions. Determination of Reactivity by MO Theory (Part 69))

  • 이익춘;조정기;이해황;오혁근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9-247
    • /
    • 1990
  • 기체상 $S_N2$ 반응의 형태는 중성 2분자반응, 용매화반응, 이온반응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메카니즘적으로 중성 2분자 반응은 retention 생성물을 만들며 이온반응은 inversion 생성물을 만든다. 한편 용매인 물 한 분자에 의하여 6- 중심 건이상태를 거치는 용매화반응의 경우는 친핵체(또는 이탈기)및 치환기에 의한 전자효과와 입체효과에 따라 두 생성물이 경쟁적으로 만들어진다. 여기에서 얻어진 결과를 이용하여 이온반응의 경우, 중앙 methly group을 매우 bulky 하게 하고 이탈기 능력을 크게 해줌과 동시에 음이온인 친핵체의 하전을 분산시켰을 때 inversion과 retention TS 사이의 에너지 차이가 아주 작게 나타났다. $S_N2$ 반응의 반응중심을 보다 더 큰 2주기 원소로 바꾸었을 때, 5가의 전이상태에 미치는 입체장애가 작아지므로 활성화에너지 장벽이 낮아진다. 반면, 같은 주기에서 원자의 크기가 작아지면 에너지 장벽은 올라간다. B원자의 경우 에너지 장벽이 가장 낮은데, 그것은 C와 N 원자보다도 더 크며 또한 4가의 전이상태를 이루므로 입체장애가 거의 무시되기 때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