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den-housing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6초

SWMM-LID를 이용한 저탄소 녹색마을의 LID-분산형 빗물관리 계획에 따른 물순환 효과 분석 (Analysis of Water Cycle Effect by Plan of LID-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Using SWMM-LID Model in a Low-carbon Green Village)

  • 이정민;현경학;이윤상;김정곤;박용부;최종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4호
    • /
    • pp.503-507
    • /
    • 2011
  • 신도시 A에 저탄소 녹색 마을(약 40만$m^2$)을 개발하고자 한다. 저탄소 녹색 마을의 조성을 위해서는 수문 순환의 복원 또는 물순환의 복원은 필수적이다. 저탄소 녹색 마을의 자연계 물순환 복원을 위해 LID-분산형 빗물 관리 시설의 설치를 계획하였다. 물순환에 미치는 영향 분석은 저탄소 녹색마을 개발 이전과 개발 후, 그리고 LID 시설(빗물정원, 인공습지, 빗물이용시설 등)을 설치한 후의 조건에서 EPA에서 개발된 SWMM-LID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개발 전의 침투 영역의 특성, 개발 후의 상당한 녹지 공간 탓으로, 수문 순환을 복원하기 위한 LID 설치 계획은 뚜렷한 효과를 보여주지 않고 있다. 그러나 LID 시설 설치에 의한 물순환의 가능성을 볼 수는 있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LID 시설의 설치 계획이 해당 개발 지역의 물순환을 위해서는 더 확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1920~30년대 한국 주택정원 인식과 정원가꾸기 양상 (Perception of Korean Residential Gardens and Gardening in the 1920~30s)

  • 길지혜;박희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8-148
    • /
    • 2022
  • 1920~30년대는 한국 주택환경에 새로운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시기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주거 형태와 유형이 변화하던 전환기 시기에 주택의 정원은 어떤 모습이었을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하였다. 정원은 계속 변화하는 대상이기에 과거의 모습을 파악하기 어려운 측면이 많지만, 1920~30년대에 발행된 대중잡지와 신문기사를 통해 당시 사회적으로 주택에서 정원이 어떻게 인식되었고, 거주자는 어떤 배경과 목적으로 정원 가꾸기를 실천하였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를 통해, 첫째, 경성에 인구가 밀집하기 시작한 도시화 과정에서 정원은 도시에 자연미를 부여하는 방안 중 하나로 주목하게 되었고, 주택마다 정원을 만드는 것을 장려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건축 분야에서 활발히 추진된 주택개량운동에서도 정원이 위생과 경관 측면에서 주거환경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요소임을 강조하였다. 셋째, 매체를 통해 원예 관련 정보가 활발히 제공된 데서 미루어 취미로 정원을 가꾸는 사람들이 늘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근대 교육을 받은 정원설계가, 원예가들의 활동이 활발해지며 '디자인된 정원'이라는 개념이 형성되게 되었다. 끝으로, 주택은 다양한 유형으로 분화되었으나 정원 형태는 건축 유형별로 차이가 있기보다는 그 시기 가장 좋게 여겨졌던 형태를 빠르게 도입하는 편이었다. 전통한옥에서도 서양식 정원 형태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배치되며, 이국적 식물종을 식재에 적극 활용하기도 했다. 대중잡지나 기사에 수록된 정원이 지식인층에 한정되어 있지만, 매체의 대중성과 파급효과를 고려하면 일면의 대표성을 확보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1920~30년대 이상적으로 생각하였던 정원의 모습, 주거생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데 있다.

1930년대에서 1950년대까지 싱가포르 티옹 바루 단지에서 공공주택의 동화와 이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ssimilation and Transplantation of Public Housing at the Tiong Bahru Estate in Singapore from the 1930s to the 1950s)

  • 우동선;탁충석
    • 건축역사연구
    • /
    • 제23권6호
    • /
    • pp.27-37
    • /
    • 2014
  • Early 20th century Singapore was faced with the problem of overcrowding. The attendant problems of a rapid increase in population density, namely the lack of proper housing and sanitation, resulted in the issue of an appropriate residential environment emerging as an important task in urban planning. It was necessary to construct housing estates in order to solve this issue. At that time, the British colonial government attempted to transplant modern technology into the construction process of a residential complex system. However, Singapore's climate and traditional lifestyle made it impossible to apply the British modern system in a straightforward manner, and in the process, a number of transformations emerged.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Tiong Bahru estate, one of Singapore's representative public housing projects, from the 1930s through the 1950s, this study intends to look at the way in which such residential estates were assimilated into local surroundings, and the effect of the transplantation of British concepts of modern housing theory. Therefore, the study is divided into an examination of the estate both before and after the turning point of World War II.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war and post-war planning strategies for the Tiong Bahru estate were made according to the concept of 'open space.'

농어촌지역 공동생활시설 이용실태 고찰 (A Study on the Utilization Status of Community Living Facilities in Rural Area)

  • 김강섭;손광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91-98
    • /
    • 2011
  •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weak class in rural area is inferior, the elderly ratio is high, and senior citizens whose living by themselves are increasing.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utilization status, characterization of residency, management method of the federation of construction associate's love house and local government's case, and usage of the village hall. For better study, we reviewed the literatures and conducted field surve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evelopment plan of rural community living ho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for proper site of rural community living home plans to select adjacent location in the surrounding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including community facilities). Second, the living space for one person does not need such a space; about $33m^2$ is suitable. Third, it is important to use surplus area to make kitchen garden in the site planning. Also the architectural plans must be considered to minimize the maintenance costs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house and winter heating expense problem.

홍콩 초고층 주거의 평면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per High-Rise Housings in Hong Kong)

  • 김성화;이재훈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4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per high-rise housings in Hong Ko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lan types of the residential building in Hong Kong are mostly tower types and they show lots of curves on the external resident blocks so each resident families can face maximum open air. 2)Household arrangements or resident families form are shown as symmetrical and systematic type of structures that centers around the core. 3)The core types are mostly central core types and a portion of central core is planned to place void and alight garden for improving the lighting and ventilating problems. 4)If we review our room arrangements, they are arranged from entrance kitchen, livingroom bedroom to bathroom to the end. Livingrooms and dinning rooms are normally formed together. 5)If external resident blocks are facing the open air, one of the surface is on view axis, kitchen or bathroom are symmetrically located on the other side which faces the units for the purpose of ventilating.

  • PDF

한옥형 아파트 계획을 위한 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umer Awareness for Hanok Style Apartment Plan)

  • 신영숙;조명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90-199
    • /
    • 2010
  • Nowadays the increasing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have been required more diversified housing environment. And it also focused on concern about Korean traditional housing style, Hanok. There were several studies applied to traditional style design on Hanok. but few on Hanokstyle apartment.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onsumer awareness on Hanok style apartment plan and its design details. The research were done by questionnaire methode. It were distributed to 130 city and rural residents. 10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x^2$-test, F-test, ANOVA, t-test, and factor analysi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70% of respondents revealed their intention to live in Hanokstyle housing if it has improved conveniency and lowered maintenance expenses. Second, they preferred under 5 story row house type or apartment type Hanok located in suburbs. Third, Hanokstyle apartment characteristics were expected to have visual openness, good view, traditional decor, functional, rhythmical and transitional space. And also they wanted traditional Madang(inner garden) and Maru(a wooden floor room) located next to living room.

인물관계로 본 '운보의 집' 정원의 조영과정 (A Study o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Garden in 'Unbo's House' Focused on the Individual Relationship)

  • 신현실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49-159
    • /
    • 2018
  • 본 연구는 운보의 집 정원 조영과 관련된 인물의 사상과 주요행적 및 정원조영에 미친 직 간접적 영향 등을 인터뷰와 관련자료 비교분석을 통해 공간조영에 미친 관련 인물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보의 집 정원 조영에 직접적 관련자들은 우리나라에서 문화재와 전통예술 분야의 대표적 인물들로 전통공간에 대한 전문가적 식견과 풍부한 경험으로 운보의 집을 전통공간으로 창조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운보의 집 정원조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 인물로 운보 김기창은 부지선정, 입지선정 및 주요 정원식물 식재와 전통조경시설물의 설치에 영향을 주었으며 혜곡 최순우는 김기창의 부탁을 받아 와본 김동현을 설계자로 추천하고 전체계획에 관여한 인물이다. 와본 김동현은 주택설계 및 공간설계와 연못 등 주요시설물 설계를 담당하였다. 둘째, 간접적 영향을 미친 인물로 부인 우향 정래현은 김기창이 정원을 조성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노산 이은상, 화가 이석호는 운보의 집에 현판을 지어주었다. 이 글의 주제들은 창작공간으로서의 이미지를 부여하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오랜 기간 운보와 함께한 김형태와 운보의 아들 김완은 운보의 집 정원 변화과정을 지켜보고 또 영향을 미친 인물들이다. 셋째, 인물들이 조영에 영향을 미친 주요요인으로 운보 김기창은 철저한 기록정신과 어머니와 아내에 대한 그리움이 부지선정과 정원의 향 설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미술세계에서 드러난 전통산수에 대한 인식, 전통 점경물 등의 상징성 부각에 영향을 주었다. 혜곡 최순우는 그의 전통적 의식과 경험을 운보의 집 조영에 반영하였으며 와본 김동현은 연경당을 모티브로 한 전통건축의 기본틀을 적용하면서도 장애에 대한 배려와 독창적 변화를 주었고, 동궁과 월지 발굴을 통해 습득한 연못의 입수시설 등을 전통조경 설계에 반영하였다. 노산 이은상과 이석호는 운보의 집 공간에 내재된 고유의 장소성을 완성시킨 인물들이다. 김형태는 운보의 집 정원공간변화에 관여하였고 운보의 아들 김완은 김기창에 이어 운보의 집을 경영하였다.

온대지역 공동주택단지의 아열대 식물용 온실 설계 (Greenhouse Design for Subtropical Plants in Apartment Housing Complexes in Temperate Regions)

  • 김재식;김정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34-42
    • /
    • 2009
  • 본 연구는 공동주택 단지에 온실 형태의 EVERGREEN PARK를 도입하기 위하여 진행하였으며, 단순한 관상을 위한 온실이 아닌,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용을 목표로, 사계절 내내 이용 가능한 외부 공간의 구심점으로서 주민의 편의와 유익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계획의 주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열대 식물들은 상록활엽성 식물들로 사계절 녹음을 유지하고, 잎의 육질이 두껍고 윤택이 많다. 이런 상록활엽수들이 주 수종인 아열대 식물용 온실을 온대지방에 도입하여 독특하고 고급스런 상록수림을 온대지방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으며, 최고급의 상록식물상을 매우 저렴한 유지관리 비용으로 이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둘째, 공동주택단지 내에 도입한 아열대 식물용 온실은 지하연계구조형과 독립 구조형으로서 가온설비 없이 조성하여 지열을 이용하며, 차광 등의 방법을 이용하도록 제시하였다. 셋째, 활용방안으로서 (1) 건강과 휴식(Evergreens, 허브가든, 수 공간), (2) Community와 교육(식물벼룩시장 및 식물병원, 식물관련강좌(전시회), 체험학습프로그램), (3) Vine Garden 등의 운영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나비축제, Aroma festival, Smile Oak Nuts, 촛불축제, Christmas! Photo Site 등의 4계절 이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온실의 운영 유지관리는 주민이 중심이 되는 주민차치회 중심 운영관리와 외부전문업체 중심 운영관리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SWMM-LID 모델을 이용한 토지주택연구원의 물순환 개선효과 평가 (Evaluation of Water Cycle Improvement in LH Institute Using SWMM-LID Model)

  • 정종석;정광욱;강수만;현경학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08-315
    • /
    • 2018
  • SWMM-LID was calibrated with flow monitoring data in LHI to evaluate runoff after LID application. The flow rate in the B basin was estimated to be 0.94 and 6.15 for O/S and $D_v$, respectively. In the A and C basi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bserved and simulated data was greater than in the B basin. As a result of runoff reduction efficiency by the application of LID facilities, the change of infiltration increased from 34.6 % to 45.8 % in the entire watershed, and the runoff decreased from 58.8 % to 46.3 %. In the runoff reduction of each LID facility, rain garden E showed the highest effect with 99.9 % and bioretention B showed the lowest effect with 27.5 %.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each LID facility, a comparison is made between the pore volume (V) of the LID and the catchment area (A). The runoff showed a runoff reduction effect of about 70 % above the 0.1 volume/area (V/A) valu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unoff reduction with LID facilities by the LID module of SWMM, a reasonable design is possible by reflecting the appropriate LID volume to drainage area.

재미한인 노인들을 위한 너싱홈의 물리적 주거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 재미한인 노인 거주자 관점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Regarding Physical Environments of Nursing Homes for Frail Korean American Elders - Focused on Korean American Elderly Residents' Views -)

  • 이은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13-2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overall physical environment's features of nursing homes for Korean American elders in the United States.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 Korean American nursing homes on the East Coast and in the Midwest with multiple qualitative data collection methods, such as interviews, observations, document review, and field not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lthough almost all respondents were unable to speak and understand English at all, most written materials in nursing homes were in only English; 2) The nursing homes were placed near or within the Korean communities; thus, it contributed to close ties with religious Korean American groups and other groups in the ethnic communities; 3) Whether the facility's physical features looked like those of a hospital or a home, many residents did not consider a nursing homes as a real home; 4) A fenced garden in the nursing home in the Midwest was the residents' favorite public space; 5) Due to being forced to room with residents who had dementia and were bedridden, they were more likely to have conflicts with their roommates and feel uncomfortable living in their room; and 6) The facilities seemed to be designed without consideration to protect residents' priv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