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den Designer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8초

Maintenance of Waterscape Facilities at Garden shows in Korea

  • Lee, Kyong-bok;Hong, Kwang-pyo;LEE, Hyuk-j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189-199
    • /
    • 2020
  • We aimed to understand various problems identified at waterscape facilities of gardens built at garden shows in Korea.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which parts of waterscape facility built in gardens at garden shows are causing problems and whether these problems can be traced back from garden design phase or from local communities in charge of maintenance. Furthermore, we examined if such problems get more aggregated as time passes by and different garden shows have different types of problems. In this study, types of waterscape facilities examined are pond, waterway, wall fountain, water glass, trough, mist, Cascade, fountain, rain garden, waterfall. An analysis of the maintenance status of waterscape facilities introduced in the existing gardens confirmed that problems could arise in two main respects. One is due to poor maintenance by the organizers of the garden show, and the other is due to the poor design of waterscape facilities by the garden designer.

A Study on Garden Facility Management of Seoul Garden Show 2015 and 2016

  • Hong, Kwang-pyo;LEE, Hyuk-j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125-136
    • /
    • 2019
  • This study focuses(selected) on garden facilities of designer gardens created at the 1st and 2nd Seoul Garden Shows and examined installed facilities at each designer garden by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ype, material and functions. The study observed problems occurring from maintenance of garden facilities as time passes by and collected basic data to develop maintenance guideline aiming to make contribution to further spreading and promotion of high quality garden culture. This study examined all gardens created at 1st and 2nd Seoul Garden shows in 2015 and 2016. There were 18 gardens built in 2015 and 16 in 2015.The study looked at responsible entities for maintenance of facilities and examined maintenance system for managing these gardens. Garden facilities of the study were categorized into paving, facility for rest, playground, water facility, environmental sculpture and planting media facility according to categorization by landscape design standards and construction guidelines. Target gardens of this study are maintained mostly by citizen gardeners who are passionately carrying out maintenance work while communicating with designers. However, these citizen gardeners lack technical knowledge to manage various facilities. Also, maintenance manuals submitted by garden designers do not offer sufficient details on facility maintenance which calls for professional maintenance and clear instructions on facilities from early phase of design.

중국 전통원림 가원(可園)의 조영자 장경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or(Zhangjingxiu) of Keyuan(可園) in Chinese Traditional Garden)

  • 스스쥔;안계복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9
    • /
    • 2021
  • 본 연구는 중국 영남(嶺南)지방에서 가원(可園)을 조영한 장경수(張敬修 1823~1864)를 분석하여 어떤 방식으로 전통원림을 조영하였는지를 밝히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조영자와 공간만들기의 관계성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조영자 생애 분석, 조영 배경 분석, 지방 문인들과의 교류공간으로서의 원림 분석, 조영자의 예술활동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원림 분석, 장경수만의 정원만들기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경수는 1823년에 동완시(東莞市)에서 출생하였는데, 22세(1845년)에 내전에 참가하고, 26세(1849년)에 귀향해서 가원을 조영하였다. 그러나 다시 아편전쟁(1856년)을 거쳤으며, 38세(1861년)에는 전쟁으로 얻은 병 때문에 귀향하였으나, 41세(1864년)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장경수는 군인이었기 때문에, 전쟁으로 인한 상처를 치유하는 한편, 평소에 장경수가 가지고 있었던 이상세계를 실현하기 위해 원림을 조성하였다. 원림 조영배경은 원림의 이름 '가원(可園)'에서 찾을 수 있다. 장경수는 전쟁을 통해 알게 된 '세상에서 가능한 것도 없고 불가능한 것도 없다(無可無不可)'는 의미를 원림에서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장경수는 원림 건축물과 시설물에 가당(可堂), 가헌(可軒), 가정(可亭), 가루(可樓), 가주(可舟), 가호(可湖)라는 이름을 붙였다. 또한 그는 전쟁에서 돌아와 어머니에 대한 사랑과 효심으로 원림을 조영하였다. 장경수는 지방 문인들과 함께 가원에서 많은 시화작품을 남겼는데, 원림에서 문인들과 교류공간으로써 거점이 되도록 조성된 곳은 '가헌(可軒)과 가루(可樓)', 그리고 '추월지관(雛月池館)과 가정(可亭)'이다. 장경수는 조경식물 가운데 특히 혜난과 매화를 좋아해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 특히 혜난의 다양한 분경(盆景) 연출이 가능한 자수대(滋樹臺)가 장경수의 예술활동 공간의 핵심적 공간으로 판단된다. 장경수는 가당(可堂) 앞 중정에 자수대, 석가산(假山涵月), 배월대를 활용해서 매우 특징있는 자기만의 정원을 만듬으로써 명원(名園)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2016년 코리아가든쇼 작가정원의 식물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Plant Material in the 2016 Korea Garden Show Designer's Garden)

  • 이정희;진혜영;이유미;송유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41-53
    • /
    • 2017
  • 본 논문은 2016년 코리아가든쇼의 9개 작가정원에서 식물 소재가 작가의 의도를 어떻게 반영하고 선택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식물 소재는 정원의 주제를 전달하기 위한 경우와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K-Garden, 가장 한국적인 멋을 담은 신한류 정원'이라는 주어진 주제 아래, 주제를 드러내기 위해 사용된 식물은 '재현' '표현'의 두 가지 유형으로 쓰이고 있었다. 한국적인 멋이 담긴 특정 공간을 모방하는 '재현'은 2개 정원이, 작가의 생각을 추상적인 개념이나 사물의 형상으로 나타내는 '표현'은 4개 정원이, '재현'과 '표현' 모두 사용한 정원은 3개 정원이다. 주제를 식물로 드러내는 방법은 '재현'보다 '표현'의 경향이 강했다. 한국적인 멋을 '재현'하는 공간은 채마밭, 수돗가, 연못, 들판, 자연, 한옥 중정, 대나무밭, 기와 지붕, 돌담, 바위, 산자락과 연결된 뒷마당 11개로 식재는 식물의 생태적 특성만을 반영하거나, 생태적 특성과 시각적 특성을 함께 고려한 2가지 경우로 나타났다.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식재는 11개 공간 모두에서 관찰되었는데, 9개 공간은 식물의 생육환경을 잘 반영한 반면, 나머지 2개는 작가의 의도와 달리 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적 시각적 특성을 함께 고려한 4개의 공간의 경우, 시각적 특성으로 색상과 크기가 고려되었다. 주제를 '표현'한 7개 공간의 식물은 생태적 특성을 반영하기보다는 색상, 형태, 질감, 크기 순으로 시각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군식의 배식법도 적용되고 있었다. 공간을 구성하는 소재로 식물을 활용한 경우, Norman(1989)이 제시한 공간 위요변수 3가지(관개면, 수직면, 지피면)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는데, 관개면에는 단 2종의 낙엽 교목이 사용되고 있었고, 수직면에는 상록성 관목이 5종, 낙엽성은 30종으로 낙엽성 식물이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바닥면을 형성하는 식물은 45종(목본 9종, 초본 36종)으로, 정원별로 중복되지 않고, 다양한 초본이 활용되고 있었다. 이것은 가든쇼의 작가정원이 새로운 지피식물 소재를 대중에게 소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9개 정원 중 3개 정원은 그저 장식적으로 사용된 식물이 없었고, 다른 정원에서도 장식적인 식물의 사용은 식재종수에 비해 미약한 편으로 코리아가든쇼 작가 정원에서 식물은 대부분 주제를 드러내거나, 공간을 구성하는 의도를 가지고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6년 코리아가든쇼 작가 정원에서 식물은 공간을 구성하기 보다는 주제를 드러내는 소재로 많은 수종이 활용되고 있었으며, 주제를 드러내는 방법은 '재현'보다는 '표현'의 방법을 사용한 정원이 많은 것으로 보아, 식물은 생태적 특성보다는 색상, 형태, 질감, 크기 등 시각적 특성을 보다 많이 반영하여 식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천만국가정원 내 작가 정원 식재 경향 연구 (A Study on the Tendency of Planting Design of Designer's Gardens in the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 정봄비;최정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70-8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순천만국가정원 내 작가 정원의 식재 사례 분석을 통해 식재 설계의 경향성을 발견하여 향후 정원 식재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목 위주의 식재 관행이 여전히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 팽나무, 느티나무, 후박나무, 스트로브잣나무와 같이 크게 자라는 교목 식재는 정원의 규모(150~390㎡)를 압도하고 있었다. 둘째, 수종 선정은 수목의 생리·생태적 조건을 우선으로 고려하기보다 작가의 의도나 장식적 효과를 우선 고려하여 결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초본류 가운데는 다년생 초화류의 식재 비율이 가장 높았다. 넷째, 개화기로 분류한 초화류는 여름꽃 식물이 가장 많았고, 봄, 가을, 겨울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화류의 화색은 황색, 백색, 청색, 적색 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초장은 중 초장(20~60cm)의 초본류(47.4%)가 가장 많이 식재되었다. 일곱째, 정원의 골격을 형성하는 구조적 식물은 주로 목본식물에 의존하고, 초점 식물은 주로 상록수를 활용하였으며, 중간 식물은 초본류를 주로 식재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입 수종은 작가의 의도뿐만 아니라 대상지의 물리적·생태적 조건을 신중하게 고려해서 선정해야 정원의 질과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다. 둘째, 정원의 초점 식물, 중간 식물, 지피 식물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초본류를 적극 식재하여 목본 중심의 식재 관행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겨울 경관을 고려하여 화색뿐만 아니라 열매나 줄기 등의 특징을 활용한 초본류 식재가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 청색 계열, 흑색 계열의 초화류는 소량으로도 눈에 띄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적극적인 도입 검토가 필요하다. 다섯째, 식물의 개체적 특성을 반영한 초본류 식재 설계를 위해서는, 목본 식재 설계와 같이, 개체를 독립적으로 표기하는 방식의 디자인이 고려되어야 한다.

정약용의 자연관과 다산초당원의 의미 (Chung Yakyong's View of Nature and the Meanings of His Garden, Tasanchodangwon)

  • 박희성;조정송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1-142
    • /
    • 1997
  • As a study on a traditional garden with historical valu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internal meanings of the garden in a designer's personal perspective. Tasanchodangwon was designed Chung Yakyong who is a scholar of Practical Learning in late Chosun Dynasty. Considering the features of him and basic approach of this study, the internal eanings of the Tasanchodangwon was approached with the focus on the view of nature of him, and through general review of physical components of the garden. Additionally the meanings of the garden were also reviewed in his personal situ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according to the view of nature of Chung Yakyong, his intention to enrich life practically by building separate structures for education for his residence, creating lake by having water supply, and creating vegetable garden relates with the view of nature in Primary confucianistic perspective. In addition, the place served as a ground to support Chung Yakyong's attitude to become a man of virtue, Second, his preference to enjoyu tea culture allowed an opportunity for him to accept circumstance positively and discover the self. Components related to farming reflects his Practical Learning. The man-made rock mountain in the pond is a specific technique for Yi-Jing. And third, literatures authored by Chung Yakyong show that internal meaning of Tasanchodangwon is to pursue an utopia. This is closely related to solving his conflicts felt in reality. In short, Tasanchodangwon is a form reflecting the spiritual world of Chung Yakyong, and through interaction with his life, served as a ground to culture his mind.

  • PDF

중국정원의 미학 -조영과 감상의 미적 경계를 중심으로- (The Aesthetics of Chinese Garden -with special reference to Yi-Jing)

  • 이유직;조정송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9-95
    • /
    • 1996
  • The traditional gardens of China we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common aesthetic consciousness between designers and users. As designers and users communicated each other through the medium of garden, they give suggestions to our design and appreciation of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The traditional gardens of China pursued to reach the state of Yi Jing(意境), and this state formed the keynote of the whole field of Chinese culture. Yi Jing is the aesthetic theory originated in Pre-Qin Era, and established in Tang-Dynasty. After this, this theory become the very important aesthetic category of Chinese aesthetics. Yi Jing is the process from conception to appreciation, and requires the three parts of designer, a work of art, and appreciator. To reach Yi Jing, designers must be well grounded and persevere in their efforts. They also had to have the ability of corresponding the inner order of environment and landscape, and expressing their own feelings and emotions into gardens. So ultimately, they were in pursuit of constructing the gardens as if something naturally created. The garden itself is the meeting place of designers and users. The space in which users can think of life, nature, history, and cosmos. In order to do this, designers design the real landscape and non-visual landscape. This design can give appreciators more fertile imagination. Appreciation perfects the Yi Jing of gardens. Yi Jing is created by co-work of artist and appreciator with commo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sense. Therefore, it is subjective, and it may be vary with man and time.

  • PDF

정원 공간 유형의 특성에 근거한 기호화 연구 -2017년 서울 정원박람회에 출품된 작가정원의 대상지를 중심으로- (A Study of symbol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kind of garden space -Focusing on the target area of the artist's garden exhibited at the Seoul Garden Fair in 2017-)

  • 김다경;전형순;유택상;왕경희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0호
    • /
    • pp.97-123
    • /
    • 2019
  • 본 연구는 정원 단위의 공간 특성을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기호화함으로써 공간의 특성에 근거하여 정원 작품을 해석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고 이를 정원 디자인을 위한 논리적 토대가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먼저 공간 유형에 관한 이론으로 행동장면분석과 근거이론 방법론을 적요하여 분석하였다. 실제 사례 대상지는 2017년 서울 정원박람회에 출품된 작가정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쳐 정원 공간 특성과 그에 따른 포지티브와 네거티브로 단순화하였다. 이를 시각적 공간, 조각적 공간, 건축적 공간, 환경적 공간의 4가지 공간 유형 특성과 메트릭스로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공간의 특성이라는 정성적 주제에 대한 연구는 그 특성 상 연구자의 주관성이 완전히 배제될 수는 없지만, 이러한 연구는 개인의 취향에 좌우되는 정원의 해석과 평가에 논리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이너의 직관에 의존하는 정원디자인에 참조할 만한 자료를 제공하거나 디자인의 논리적 토대를 제공하여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2017년 대한민국 조경·정원박람회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정원선호도 분석 - 조성 장소 및 식물 특성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Garden Preferences of Visitors to Korea Landscapes and Gardens Expo in 2017 - Focused on Location and Plant Characteristics -)

  • 이동진;노희영;김민;조효진;이혜민;조동길;송유진;조혜령;전진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26-136
    • /
    • 2017
  • 정원 수요자들은 정원을 감상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접 조성하고 정원 디자이너로써의 역할을 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나, 정원의 주된 소재인 식물에 대한 식재나 관리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으로 정원활동에 있어 큰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정원수요자의 정원활동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정원을 쉽게 경험하고 조성할 수 있도록 정원 수요자들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선호도가 높은 조성 장소별 정원조성 요령 및 선호 식물에 대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정원 수요자들의 정원을 조성하는 목적에 따른 조성 장소와 식물특성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원 수요자로 예상되는 2017년 대한민국 조경 정원박람회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분석 결과, 정원을 조성하는 목적에 따라 정원 수요자는 감상목적형, 다기능형, 참여목적형의 세 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감상목적형은 정원 조성 장소로 베란다 및 테라스와 개인주택 앞마당을 선호하며, 다른 유형과 비교하여 실외장소보다는 실내장소를 선호하고 있었다. 식물소재 선정에 있어서는 실내 환경에서도 관리가 용이하고, 화색과 잎색을 통하여 자연의 색을 감상할 수 있는 소재를 선호하였다. 다기능형은 정원 조성 장소로 개인주택 앞마당을 선호하며, 다른 유형과 비교해서는 '공동주택 유휴지'와 '도심 내 커뮤니티 정원'에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정원활동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군집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소재 선정에 있어서는 작물과 열매 수확이 가능한 유실수나 텃밭작물과 같이 생산성을 가진 소재를 선호하였다. 참여목적형의 경우, 정원 조성 장소로 베란다 및 테라스와 개인주택 앞마당을 선호하였다. 수종에 있어서는 관리가 용이한 식물을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정원 수요자의 조성 목적별로 조성 장소와 식물 특성에 대한 선호도를 도출하고, 정원 수요자 유형별 정원 조성 장소 및 식물 특성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정원에 표상된 이상 - 토머스제퍼슨의 아카데미컬 빌리지와 몬티첼로의 경우를 중심으로 - (Ideals Represented in Gardens - Focused on Thomas Jefferson's Academical Village and Monticello -)

  • 성종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9-80
    • /
    • 2012
  • 대체로 정원은 인간의 자연과 문화에 대한 생각, 그리고 그 둘 간의 영향관계로 설명되어 왔다(Francis and Hester, 1990). 이 글은 정원을 인간의 꿈과 이상이 구축된 표상으로 간주하고 그 구체적인 면모를 토마스 제퍼슨의 정원을 사례로 하여 고찰해 보려고 한 것이다. 정치가로서의 면모가 더 많이 알려져 있는 토머스 제퍼슨은 직접 여러 정원을 설계하여 조성한 후 몸소 가꾼 정원가이기도 하였다. 그가 직접 설계하고 완성시킨 몬티첼로, 아카데미컬 빌리지, 포플러 포레스트 등에는 그의 국가적 이념으로서 자유와 민주주의, 중농주의 등의 이념적 가치와 함께, 전원에 대한 지향 그리고 고등교육에 대한 이상이 숨김없이 표상되어 있다. 정치가이자 신생국의 선각자로서의 이상과 함께 그의 개인적인 꿈과 신념이 공간적으로 표출되어 있는 것이다. 추구하고자 하는 상징적 의미를 은유적으로 표현하거나 그것을 공간적 도식으로 재현함으로써 제퍼슨의 이상은 자신은 물론 그 곳을 찾는 이들에게 재음미되고 공유되어졌다고 할 수가 있다. 그런 점에서 제퍼슨에게 있어서 정원은 이념과 이상을 공간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무대였다고 할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