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po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 동해안에 출현하는 냉수괴의 특성과 기원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THE COLD WATER MASS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 김철호;김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3-83
    • /
    • 1983
  • 동해안에 출현하는 냉수괴의 특성과 기원을 규명하기 위하여 해수의 물리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동해 서남 해역에서 북한 한류계수는 동한난류계수와 만나 전선을 형성하며, 난류계수의 밑으로 침강하여 동해고유수의 위에 위치한다. 침강한 북한 한류계수의 염분은 낮고 용존산소량은 매우 높아 동해고유수와 구별 이 가능함이 발견되었고, 이와 같은 염분과 용존산소의 특성치로써 하계 죽변-축산 연안 해역의 냉수괴는 용승한 동해고유수가 아니라 남하한 북한 한류계수임이 밝혀 졌다. 북한 한류계수는 동계보다 하계에 우세하게 남하하며 남하 하한은 축산-장기갑 해역으로 보인다. 국립수산진흥원이 정밀관측을 실시한 1973년에는 이보다 남쪽인감포 해역에서도 북한 한류계수의 특성이 발견되었다.

  • PDF

감포지역(甘浦地域) Ca-몬모릴로나이트의 광물학적(鑛物學的) 및 열적특성(熱的特性) : 죽전(竹田) 및 용동리지역(龍洞里地域) 광상(鑛床) 비교연구(比較硏究) (Therm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Ca-montmorillonite from Gampo area : Comparison between Jugjeon and Yongdongri deposit)

  • 문희수;안재영;최선경;김문영;디. 제이. 모간
    • 자원환경지질
    • /
    • 제22권3호
    • /
    • pp.207-219
    • /
    • 1989
  • Eight under 2 micron size fractions of the montmorillonite from Jugjeonri area, Gyeongsanbug-do, were studied and then this result has been compared with data from Yongdongri area. Montmorillonites occurring at the same stratigraphic horizon in each area show limited variation in chemical composition, but shows some degree of differences in exchangeable cation compositions and total layer charges of montmorillonites from Jugjeonri to Yongdongri area. In general, samples from Jugjeonri show higher amount of exchangeable Na and layer charge due to relatively higher substitution of Mg for Al in octahedral sites than those from Yongdongri area. But Their dehydroxylation endothermic peaks of the samples from both areas are abnormal type with a small range of variation of peak temperature. This variation seems to reflect tetrahedral substitution of AI for Si for samples from Yongdongri whereas samples from Jugjeonri do not show shuch a tendency. However, samples from Jugjeonri proved to be relatively higher dehydroxylation peak temperatures than those of the other. DSC data for sample from Jugjeonri also show that divalent-cation saturated montmorillonite have relatively a higher endothermic heat capacities than monovalent-cation saturated one as shown in previous work. Two different morphologies of montmorillonites, honeycomb structure and closely packed intergrowth, by SEM were observed in samples from both areas but the later one is common. The scalloped type is relatively abundant in the sample from Yongdongri than the other. The dominant habit by TEM are irregularly shaped foliated aggregates and platy shaped particles. In general, foliated aggregates which are easy to disperse are relatively abundant in the samples from Jugjeon compared with those from Yongdongri area.

  • PDF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공학방벽 재료로서의 국산 벤토나이트 및 제올라이트에 대한 물리화학적 특성 평가 (Assessmen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mestic Bentonite and Zeolite as Candidate Materials for a Engineered Barrier in a Radwaste Repository)

  • 정찬호
    • 지질공학
    • /
    • 제9권2호
    • /
    • pp.89-100
    • /
    • 1999
  • 핵폐기물 처분장 공학방벽재로서의 우리나라 제 3 기층에서 산출되는 벤토나이트와 제올라이트의 활용 가능성을 물리화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연일 및 감포일대 제 3 기층의 9개 대표적인 벤토나이트 광산과 6개의 제올라이트 광산에서 채취한 자연산 시료와 관련회사의 추천상품시료에 대해 X-선 회절 분석, 팽윤도 측정, 양이온교환능 측정, 비표면적 측정, 몬모릴로나이트의 함량계산, 유기탄소함량 분석, 시차 열분석(DTA), 편광현미경 관찰, 주사전자현미경(SEM)관찰 및 전자현미분석(EPMA)을 실시하여 각 분석항목을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U-41 및 G-46의 광산에서 산출되는 벤토나이트와 대도 및 Y-1호 광산의 제올라이트가 인공방벽재료로 갖추어야할 물리화학적 특성이 최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 PDF

한국 동해연안의 수질 평가 (Water Quality Assessment at Coastal Area of the East Sea of Korea)

  • 김영숙;이용화;최희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24
    • /
    • 2012
  • 동해연안의 수질특성 및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2010년까지의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조사결과를 이용하여 수질인자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수질인자간의 상관관계 및 주성분 분석을 통하여 해역별 수질환경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OECD의 부영양화 기준과 부영양도, 그리고 유기오염도 지수의 산정으로 해역별 오염상태를 평가하였다. 수질인자간의 주성분 분석에서 동해연안은 클로로필 a와 염분이 주요인자로 설명되는 2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해역별로는 죽변을 경계로 남부와 중부로 분류되었으며, 동해 중부 해역에서는 죽변, 그리고 남부해역에서는 감포연안이 별도로 분류되었다. 동해연안의 영양상태는 Oligotrophic~Mesotrophic 수준으로 구분되었으며, 부영양화도는 1 이하로 평가되었다. 유기오염지수는 동해연안 전 해역에서 양호한 수질상태로서 평가되었다.

동해 남부 연안 정치망어업의 수온에 따른 종조성 변동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with Water Temperature in Set Net Fishing on the Southern Coast of the East Sea)

  • 송혜진;송영선;황강석;손동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625-637
    • /
    • 2022
  • The southern coast of the East Sea is an important area affected by large warm currents as it connects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the South Sea, and Dokdo. From 2017 to 2021, the average catch per unit effort (CPUE; kg/day/ship) of set net fishery at six ports in the Gyeongbuk region off the southern coast of the East Sea was the highest in Gampo, Gyeongju, and the lowest in Hupo, Uljin. Although the seasonal variation in the CPUE differed by region and year, it was generally high in autumn. In the set net fishery in Pohang from 2019 to 2021, we identified 72 species, which decreased to 56 species in 2019, 46 in 2020, and 41 in 2021. The species diversity index slightly increased over the three-year periods. We fou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catch (kg) of subtropical species in autumn and the water temperature at 50 m. Among the most abundant species, we found substantial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CPUE of Scomber japonicus, Scomberomous spp. and Carangids. We also not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CPUE of Todarodes pacificus, Seriola spp. and Carangids.

The cold water mass along the southeast and east coasts of Korea in 2016-2017

  • Choo, Hyo-Sa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7호
    • /
    • pp.243-259
    • /
    • 2021
  • The spatial and temporal behaviors and fluctuations of the cold water that appeared in the South East Sea and the East Sea coast from 2016 to 2017 were investigated. The water temperature drop was large in the east coast from April to June and the southeast coast from July to September, and the temperature drop period was longer in the southeast coast. The water temperature fluctuated sensitively to the wind direction, and it gradually decreased in the southwest wind but rose as if jumping in the northeast wind. Wind stress and surface water temperature had an inverse correlation, which was larger in Bukhang-Idukseo, and decreased toward the north of Guryongpo. The cold water appeared mainly in Geojedo-Pohang after 1 to 2 days when the southwest wind was strong, but when the wind became weak, it shrank to the Idukseo (Ulgi-Gampo) and extended into the open sea in a tongue shape. Cold water was distributed only in Samcheok-Toseong in mid-May, Idukseo-Guryongpo and Hupo-Jukbyeon-Samcheok from late May to mid-July, and Bukhang-Idukseo in August-September. The intensity of cold water was greatest in mid-August, and the center of cold water descended from the east coast to the southeast coast from spring to summer. The water temperature fluctuation was dominant at the periods of 1 d and 7-21 d. In wavelet spectrum analysis of water temperature and wind, wind speed increase-water temperature decrease showed phase difference of 12 h in 2 d, 18 h in 3 d, 1.5 d in 4-8 d, and 2-3 d in 8-24 d perio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parameters was large in Geojedo and Namhang, Bukhang-Idukseo, Guryongpo-Jukbyeon, and Samcheok-Toseong. Monitoring stations with high correlation in all periods were generally parallel to the monsoon direction.

전통 제철실험을 통해 생산된 단조박편의 재료과학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Metallurgical Characteristic of Hammer Scale Produced through Traditional Iron-making Experiments)

  • 조성모;조남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38-747
    • /
    • 2021
  • 제철원료별 직접제련법 복원실험으로 생산된 단조박편의 재료과학적 분석을 통해 금속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제련을 위해 경주감포사철과 양양철광석을 이용하며, 각각 4개의 그룹을 설정하였다. 분석은 주성분, 광물 동정, 미세조직 관찰을 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정련·단접이 진행될수록 Fe의 함량은 증가하고 비금속개재물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광물을 동정한 결과 산화철 계열의 광물이 확인되었다. 미세조직 관찰 결과 Wüstite, Fayalite가 관찰되었으며, 일부에는 응집된 Wüstite가 관찰되었다. 일부 다각형, 장주상의 Magnetite도 확인되었다. 또한, 공극 및 불순물, 비금속개재물은 점차 감소하였다. 차후 다양한 제철원료를 이용한 복원실험을 통해 생산된 단조박편의 재료과학적 분석을 통해 금속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유적에서 출토된 단조박편과 비교·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감포댐 안전성강화 사업 (Project of Dam Safety reinforcement on Gampo Dam)

  • 천근호;한용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14-214
    • /
    • 2022
  • 감포댐은 2006년 준공하여 각종 시설 및 설비의 노후화가 진행중에 있으며, 최근 감포댐 인근 지역에서 발생한 경주지진(규모 5.8) 및 포항지진(규모 5.4)이 발생하여 지진시 시설물의 안전성에 대해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었다. 이에 감포댐 안전성강화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고, 주요 사업내용은 취수탑 관리교 내진보강, 댐체 심벽보강을 통한 댐체 안전성확보, 비상방류시설 개선이다. 취수탑 관리교는 교각단면의 변위연성도 및 교량받침에 의한 구조물 안전성 평가를 시행하였고, 단면강도는 모멘트-곡률해석법에서 탄성영역의 단면강도 대비 탄성지진력을 비교하여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교량받침의 내진성능은 부족한 것으로 검토되어 유량제어형 멀티펌프와 안전잭을 이용한 변위제어 방식의 교량동시 인상공법이 가능하고 인상정밀도 ±0.5mm이내의 성능을 가진 교량인상공법 적용하여 보강을 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댐체 심벽보강을 위해 먼저 전기비저항탐사를 수행하여 전기비저항대를 탐사하여 심벽부에서 포화대가 형성된 부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댐 상·하류에 전극을 설치하고 전류를 발생시켜 측정 지점별 자기장을 측정을 통하여 댐체내 침투에 따른 유로 형성여부 파악을 위한 전자기장탐사를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벽 시추조사를 시행하여 공내수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포화대의 위치 및 이상대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불특정 지점에 연약대가 존재한다 판단하여 심벽부 보강계획을 전반적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비상방류시설은 최근 15년 실측자료의 홍수기(6~9월) 평균유입량을 적용하여 검토하였으며 검토결과 배제대상 높이 75%까지는 3.7일, 완전배제까지는 11.2일이 걸려 댐설계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검토되다. 다만 감포댐 비상방류시설이 하천제방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천의 폭이 좁아 과거 방류시에도 제방을 월류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하천의 세굴을 방지하고 제방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비상방류시설에 감세공을 설치하고, 제방에 디플렉터 옹벽을 설치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감세공은 2번에 걸친 감세효과로 방류시 하류바닥 및 옹벽 보호 효과가 큰 미국 USBR의 TypeVI를 적용하였으며, Flow-3D 모델링을 통하여 제방에 월류가 발생하지 않는 최적의 대안 옹벽규모를 산정하였다.

  • PDF

동해안 연안양식장 주변해역의 해양학적 특성 (Oceanographic Features Around Aquaculture Areas of the Eastern Coast of Korea)

  • 정희동;김상우;권기영;임진욱;권철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4-344
    • /
    • 2013
  • 동해 연안양식장 주변해역의 월별 변화에 따른 수괴의 분포와 생물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짝수 월(2-12월)에 속초, 죽변, 감포 연안의 3개 지점에서 CTD 관측과 함께 용존산소(DO), 클로로필 a(Chl-a), 질산염과 인산염의 N/P 비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속초, 죽변 및 감포 해역에 대한 등밀도선 위의 수온(T)-염분(S)도로 수괴를 분석한 결과, 이들 해역은 대마난류 표층수, 대마난류 중층수 및 북한한류수로 나타났다. 이들 수괴에서 수온과 염분의 분포 범위를 보면, 대마난류 표층수는 수온 $20-28.3^{\circ}C$와 염분 31.04-33.75, 대마난류 중층수는 수온 $8.1-16.3^{\circ}C$와 염분 33.00-34.49, 북한한류수는 수온 $1.8-9.4^{\circ}C$와 염분 33.78-34.42를 나타내었다. DO는 동계(12월, 2월)에 남에서 북, 봄철(4월, 6월)과 가을철(10월)에는 상층에서 하층, 하계(8월)는 중층을 중심으로 상하층으로 갈수록 그 농도가 높았다. Chl-a 농도는 동계(2월), 춘계(4월), 추계(10월-12월)에 $0.4{\mu}g/L$ 이하로 낮았고, 6-8월은 다른 월에 비해 고농도가 넓게 분포하였다. 특히, 감포는 8월에 강한 수온과 염분의 약층이 형성된 곳에서 띠 형태로 $2{\mu}g/L$ 이상의 고농도가 분포하였다. N/P 비는 2-6월과 12월은 전반적으로 그 비가 16 이하로 질산염이 영양염의 제한요소로 작용하였고, 8-10월은 그 비가 16 이상으로 연안 부근에서 인산염이 영양염의 제한 요소로 작용한 곳이 많이 나타났다.

국내(國內) 초지토양(草地土壤)에 분포(分布)한 Rhizobium meliloti의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과 항균제반응(抗菌劑反應) 특성(特性) (Symbiotic effectiveness and intrinsic antibiotic resistance of Rhizobium meliloti populated in Korean pasture soils)

  • 강위금;하호성;정연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3호
    • /
    • pp.179-185
    • /
    • 1992
  • 우리나라 남부지방(南部地方)의 5개(個) 산지(山地) 목초지(牧草地)에 분포한 알팔파근류균(根瘤菌) R. meliloti의 밀도(密度)와 실소고정력(室素固定力), 그리고 항생제(抗生劑) 반응(反應) 특성(特性)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結果), 초지토양(草地土壤)에 분포한 R. meliloti 밀도(密度)는 $1.7{\times}10^2\;cells/g$.토양(土壤)(여주시(麗州市) 충효동(忠孝洞)) 내지 $1.0{\times}10^5\;cells/g$.토양(土壤)(경주군(慶州郡) 감포면(甘浦面)) 수준(水準) 이었으며, 토양 pH와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그리고, 초지토양(草地土壤)의 알팔파 접종효과(接種效果)로 본 토착(土着) R. meliloti의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전반적으로 표준균주(標準菌株)인 TAL 접종제(接種劑) 보다 저조(低調)하였으나, 달성군(達城郡) 옥포면(玉浦面) 초지(草地)에서 분리(分離)된 YCKa 539, YCKa 542 2균주(菌株)는 비슷하거나 우수(優秀)한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을 보였다. 초지토양별로 보면 경주군(慶州郡) 견곡면(見谷面)의 것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달성군(達城郡) 옥포(玉浦)>경주시(慶州市) 충효(忠孝)>달성군(達城郡) 화국(花國)>경주군(慶州郡) 감포(甘浦) 균주(菌株) 순(順)이었다. 분리균주(分離菌株)들은 항생제(抗生劑) Ery($100\;{\mu}g/ml$), Nal($160\;{\mu}g/ml$), Str($10\;{\mu}g/ml$)에 대해 각각(各各) 67%, 77%, 80%정도의 내성경향(耐性傾向)을 보이면서 전체적으로는 14개(個)의 항생제(抗生劑) 내성류형(耐性類型)으로 분류(分類)되었는데, 이들 류형(類型)과 균주(菌株)의 질소고정력간(窒素固定力間)에는 뚜렷한 관계경상(關係傾商)을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분리균주(分離菌株) 중(中)에서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이 가장 우수(優秀)하였던 YCKa 542균주(菌株)는 Ery Nal, Neo, Str 내성인 X번형(番型)에 속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