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 shift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7초

확률분포모형을 이용한 하루살이속(Ephemera) 4종의 고도구배에 따른 서식처적합도 평가 (Estimation on Altitudinal Spectrum of Suitability for Four Species of the Mayfly Genus Ephemera (Ephemeroptera: Ephemeridae) Using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 공동수;강보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02-315
    • /
    • 2023
  •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altitudinal gradient of four species (E. strigata, E. separigata, E. orientalis-sachalinensis group) of the mayfly genus Ephemera (Order Ephemeroptera) were analyzed with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exponential, normal, lognormal, logistic, Weibull, gamma, beta, Gumbel). Data was collected from 23,846 sampling units of 6,787 sites in Korea from 2010 to 2021. The beta distribution model showed the best fit for positively skewed E. orientalis-sachalinensis and little-skewed E. strigata along with altitudinal gradient. The reversed lognormal distribution model showed the best-fit for negatively skewed E. separigata. E. orientalis-sachalinensis distributed at the range of altitude 1~700 m (mean 251 m, median 226 m, mode 124 m, and standard deviation 161 m), E. strigata distributed at the range of altitude 5~871 m (mean 474 m, median 478 m, mode 492 m, and standard deviation 200 m), E. separigata distributed at the range of altitude 7~846 m (mean 620 m, median 659 m, mode 760 m, and standard deviation 181 m). Altitudinal habitat suitability ranges were estimated to be 42~257 m for E. orientalis-sachalinensis, 335~644 m for E. strigata, and 641~824 m for E. separigata. Based on the altitudinal spectrum of suitability and altitude-related temperature analysis results, E. orientalis-sachalinensis was estimated to be thermophilic, E. strigata to be mesophilic, and E. separigata to be thermophobic. This is the first national-scale evaluation of the altitudinal distribution of Ephemera in Korea. These results will be used in a further research study on altitudinal shift of the species of Ephemera under climate change.

ALOS-2 Stripmap-ScanSAR 위상간섭기법에서의 스펙트럼 분석 평가 (Evaluation on Spectral Analysis in ALOS-2 PALSAR-2 Stripmap-ScanSAR Interferometry)

  • 박서우;정성우;홍상훈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2_2호
    • /
    • pp.351-363
    • /
    • 2020
  • 연안 충적층 지역은 토양침식, 지반침하 등 지질 재해와 태풍, 홍수 해양 재해에 노출되어 인명 또는 재산 피해의 위험에 취약하다. 지반 침하는 지표 물질이 지하로 이동하면서 지반의 점진적인 또는 급격한 침강이 발생하는 현상으로 지속적인 감시가 요구된다. 영상레이더 위상간섭기법 (Radar Interferometry)은 마이크로파 영역에서 관측된 위상정보를 이용하여 지형 변위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기술이다. Small BAseline Subset(SBAS) 기법은 최소 20장 이상의 영상레이더 자료를 사용하여 대상 지역에 대한 시계열 지표 변위를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어 지반침하 감시에 유용하다. X- 또는 C-밴드에 비해 장파장인 L-밴드 영상레이더 자료는 긴밀도 유지에 보다 유리하여 지구과학용으로 적합하다. 하지만 L-밴드 ALOS-2 PALSAR-2은 전지구 관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 시계열 분석을 하기에 영상 획득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관심 지역인 부산의 경우, Stripmap 영상은 11장으로서 SBAS 시계열 분석 기법을 적용하기에는 부족한 촬영 수이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모드의 영상 간 위상간섭기법의 적용이 가능하지만, 비슷한 관측 기하에서 관측한 Stripmap과 ScanSAR 영상을 이용한 위상간섭기법의 적용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바 있다. 해당 지역의 ScanSAR 영상은 18장으로 Stripmap-ScanSAR 위상간섭기법을 적용하면 SBAS 기법을 이용한 향상된 시계열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Gamm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ALOS-2 PALSAR-2로부터 획득된 L-band 영상 자료에 대한 위상간섭기법 적용 가능여부를 평가하였다. Stripmap-ScanSAR 위상간섭기법 적용을 위해 이종 모드 관측 영상 사이의 chirp bandwidth와 pulse repetition frequency (PRF)의 차이를 고려한 영상레이더 자료 처리를 수행하였으며, radar carrier frequency의 차이 보정과 common band filtering 적용 여부에 따라 발생하는 위상간섭도의 품질을 분석하였다. Radar carrier frequency 차이 보정에 따른 위상간섭도의 긴밀도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common band filtering으로 인해, 위상간섭도에서 azimuth 방향으로 주기적인 잡음과 전체적인 긴밀도 저하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Stripmap-ScanSAR 위상간섭기법을 적용하는 경우 두 관측 모드의 range와 azimuth 방향의 밴드 폭의 특성에 따라 주의 깊은 자료 처리가 요구된다.

개선된 영상 생성 모델에 기반한 칼라 영상 향상 (Color Image Enhancement Based on an Improved Image Formation Model)

  • 최두현;장익훈;김남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3권6호
    • /
    • pp.65-8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영상 생성 모델을 제시하고, 제시된 모델에 기반한 칼라 영상 향상을 제안한다. 제시된 영상 생성 모델에서는 입력 영상을 전역 조명 성분과 국부 조명 성분, 그리고 반사율 성분의 곱으로 표현한다. 제안된 칼라 영상 향상에서는 RGB 입력 칼라 영상을 HSV 칼라 영상으로 변환한 다음, 백색광 조명 상태라는 가정 하에 개선된 영상 생성 모델에 근거하여 V 성분 영상만을 향상한다. 전역 조명 성분은 입력 V 성분 영상에 유효 영역이 넓은 선형 저대역 필터를 적용하여 추정하고, 국부 조명 성분은 입력 V 성분 영상에서 추정된 전역 조명 성분이 제거된 영상에 유효 영역이 좁은 JND (just noticeable difference) 기반의 비선형 저대역 필터를 적용하여 추정한다. 그리고 반사율 성분은 입력 V 성분 영상에 추정된 전역 조명 성분과 국부 조명 성분을 나누어 추정한다. 이어서 이들 추정된 성분에 감마 수정을 각각 적용하고 그 결과들을 곱하여 출력 V 성분 영상을 얻은 다음 히스토그램 모델링을 적용하여 최종 출력 V 성분 영상을 얻는다. 마지막으로 최종 출력 V 성분 영상과 입력 H 성분 영상 및 S 성분 영상으로부터 출력 RGB 칼라 영상을 얻는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은 NASA 홈 페이지로부터 다운받은 칼라 영상과 MPEG-7 CCD 칼라 영상으로 구축한 시험 영상 데이터 베이스에 대하여 후광 효과가 거의 억제되고 색상 변화가 거의 없으면서 전역 대비와 국부 대비를 동시에 잘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동통신 다중 경로 간섭 채널에서 CCI Canceller와 컨벌루션 부호화 기법에 의한 하이브리드 DS / SFH-CDMA MFSK 신호의 성능 해석 (Performance Analysis of Hybrid DS/SFH-CDMA MFSK Signal with CCI Canceller and Convolution Code Techniques in Mobile Communication Multipath Interference Channels)

  • 임태길;강희조;이권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21-231
    • /
    • 1997
  • 본 논문은 다중 m-분포 페이딩 환경에서 하이브리드 DS /SFH-CDMA MFSK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MPI와 MUI를 고려하였고, 스펙트럼 효과는 단순 채널 부호화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부호화하지 않았을 때 평가하였다. 컨벌루션 부호화와 다중 CCl Canceller를 함께 사용하였을 때 BER을 개선시켰다. 비동기 하이브리드 시스템 BER은 가우시안 간섭의 근사치를 이용하여 얻었다. 결과적으로, 페이딩의 심도가 깊으면 깊을수록 오율 성능이 더욱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DS부분의 변조는 MPl에 방해하는 것이고. FH부분의 겸파는 MUI를 크게 한다. 채널 코딩의 형태들을 고려함으로써 검파전 코딩은 충분한비트에러 수행을하는데 필요함을 보여 준다. 본 결과는 DS /SFH-CDMA MFSK 통신 시스템은 AWGN과 MUI에 있는 PN코드 길이의 비율에 의하여 증가한다. m-분포의 페이딩 환경은 페이딩 지수에 의하여 용량성이 증가한다. CCl Canceller와 컨벌루션 부호화 기법을 각각 채용할 때 용량성은 증가되고 오율 성능은 향상된다. Canceller기법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PN코드의 길이 N=31일 때 $8\times10^{-2}$의 오율을 얻을 수 있었으나 Can celler기법을 사용한 경우 $4\times10^{-2}$의 오율에 도달할 수 있었다. 또한 부호화 기법을 이용하지 않았올 때에는 오율 이 10-2에도 미치지 못했지만 컨별루션 부호화의 부호율 $\gamma$=1/2인 경우 약 $10^{-5}$에 도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양귀비 세포 현탁배양계에서 Cyclodextrin을 이용한 Benzophenanthridine alkaloids의 생산성 증대 (Production Enhancement of Benzophenanthridine alkaloids in the Suspension Cultures of California poppy using Cyclodextrin)

  • 박세춘;조규헌
    • KSBB Journal
    • /
    • 제11권4호
    • /
    • pp.411-419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관심의 대상이 되어 의 품 산업에 응용의 수가 늘고 있는 cyclodextrin을 이용하여 세포밖으로 배출된 식물세포 2차 대사물질을 신속히 포획하여 생산수율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양귀비 현탁배양에서 a-, y-cyclodex trin보다는 ${\beta}$-cyclodextrin이 benzophenan-thridine alkaloid를 생산하는데 더 효과적업을 알았다. 이때 ${\beta}$-cyclodextrin의 optimum concentration이 존재하였는데, 그 농도는 현탁배양배지의 1.5% (w/v) 부 근에서였다. 고체 배지에서 ${\beta}$-cyclodextrin의 첨가는 sangumarme의 생산성을 control의 경우보다 약 4 40배(포함), 약 17배(살포) 정도 증가시켰다. ${\beta}$-cyclodextrin은 현탁배양 배지의 수용액상에서 세포 외로 배출된 alkaloid를 신속히 포획하여 inclusion complex를 형생함으로써 product의 배출을 촉진하여 결과적으로, product pattern을 변화시켜 줌으로 써 생산과 분리가 통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연속공정의 가능성을 확인시켜주었다. 또한 $\beta$cyclodex trin 1.5%(w/v)을 첨가시기를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 배양초기에 넣어주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이때 ${\beta}$-cyclodextrin은 세포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beta}$-cyclodextrin에 의한 benzophenan­t thridine alkaloid의 엄청난 생산 중대 효과는 1) In­c clusion complex 형성에 의한 안정성 증대뿐만 아니라 2) elicitor로서의 역할 등의 복합적 인 요인을 생 각해 볼 수 있는데 2)의 경우에 대한 실험을 세포와 ${\beta}$-cyclodextrin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시키지 않고 해본 결과 미세한 영향을 나타내었으므로 elicitation 의 경우를 완전히 배제한다고 할 수 없었다. 그러나 uv에 의한 inclusion complex의 확인이 1)의 경우를 확인하여 주었으므로 본 실험에서 ${\beta}$-cyclodex­t trin의 역할은 inclusion complex에 의한 생산성 증대라 할 수 있다.

  • PDF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4π 컴프턴 억제 분광기 연구 (Study of 4π Compton Suppression Spectrometer by Monte Carlo Simulation)

  • 장은성;이효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23-129
    • /
    • 2017
  • Compton suppression system은 스펙트럼에서 Compton continuum으로 존재하는 영역을 억제하는 장치 이다. 본 연구에서는 HPGe-NaI(TI)의 기하학적인 구조 파악 및 이동에 따른 이 때 그 효과를 최적화 할 수 있는 배치구조를 찾기 위하여, Monte Carlo simulation을 통해 Compton suppression의 행태적 특성을 파악하고, 몇 가지 배치구조에 대한 비교를 해보았다. 또한 거리에 따른 효율을 이용하여 환경 측정에 사용되는 실린더 비커에 적용해 보았다. ARF 값은 81.1 keV의 경우 약 1.65, 1332.4 에너지의 경우 약 1.9 정도로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NaI(Tl) 검출기들의 위치 이동에 따라 특정한 영역에서 suppression이 일어나는 확인할 수 있다. Compton suppression system 구성의 목적에 비추어 볼 때, 결과 에너지 스펙트럼의 Compton continuum 영역 전반에 걸쳐 suppression이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적절한 배치구조가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적화된 구조를 통해 다양한 환경시료 측정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오리나무유래 디아릴헵타노이드 허수테논의 T 세포활성억제 및 항아토피 효능연구 (T-lymphocyte Inactivation and Anti-atopic Effects of Diarylheptanoid Hirsutenone Isolated from Alnus japonica)

  • 이도익;서성준;주성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08-51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오리나무유래 HST의 T 세포 비활성화 효능을 확인하고 그 기전을 탐색하여 새로운 항아토피 천연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HST는 T 세포 mitogen으로서 anti-CD3 mAb가 처리 된 마우스 비장에서 Th 사이토카인(IL-2, IFN-${\gamma}$, IL-4, IL-5, IL-10)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T 세포 early activation marker인 CD25 유전자 발현이 INCA-6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보아, NFAT inactivator-유사 NFAT 탈인산화 억제 기전을 가지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세포주기조절 단백질인 p21과 p27의 유전자도 HST에 의해 upregulation이 되어 효과적인 T 세포 증식 및 분화를 억제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세포주기조절 효과는 AD를 악화시키는 세균인 S. aureus 성장억제 실험에서 확인되어 향후 항박테리아 효능을 갖는 우수한 항아토피피부염 천연소재로서 HST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봉약침액(蜂藥鍼液)과 Melittin 약침액(藥鍼液)이 RAW 264.7 세포의 PGE2, COX-2 및 NF-kB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Bee Venom and Melittin Solution on PGE2, COX-2, and NF-kB Dependent Luciferase Activity in RAW 264.7 Cells)

  • 정일국;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6호
    • /
    • pp.19-36
    • /
    • 2004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e Venom and Melittin Solution on the lipopolysaccharide(LPS) and sodium nitroprusside(SNP)-induced expression of prostaglandin $E_2(PGE_2)$, cyclooxygenase-2(COX-2), nuclear factor kappa B($NF-{\kappa}B$) and nuclear factor kappa B($NF-{\kappa}B$) dependent luciferase activity in RAW 264.7 cells,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Methods : The expression of PGE2 was determined by determination of $PEG_2$, COX-2 was by western blotting with corresponding antibodies, $NF-{\kappa}B$ was by gel mobility shift assay method and $NF-{\kappa}B$ dependent luciferase activity was investigated by luciferase assay in RAW 264.7 cells. Results : 1. LPS and SNP-induced expression of $PEG_2$ was significant after 24hour. 2. The 0.5, 1 and $5{\mu}g/mL$ of bee venom and the 5 and $10{\mu}g/mL$ of melittin solution inhibited significantly LPS-induced expression of $PEG_2$ and, the $5{\mu}g/mL$ of bee venom and the 5 and $10{\mu}g/mL$ of melittin solution inhibited significantly SNP-induced expression of $PEG_2$ compared with control, respectively. The 0.5 and $1{\mu}g/mL$ of bee venom could not significantly inhibit SNP-induced expression of $PEG_2$ compared with control. 3. The $5{\mu}g/mL$ of bee venom and the 5 and $10{\mu}g/mL$ of melittin solution inhibited significantly LPS and SNP-induced expression of COX-2 compared with control, respectively. The 0.5 and $1{\mu}g/mL$ of bee venom inclined to decrease LPS and SNP-induced expression of COX-2 compared with control. 4. The 0.5, 1 and $5{\mu}g/mL$ of bee venom and the 5 and $10{\mu}g/mL$ of melittin solution inhibited significantly LPS and SNP-induced expression of $NF-{\kappa}B$ compared with control, respectively. 5. The 0.5, 1 and $5{\mu}g/mL$ of bee venom and the 5 and $10{\mu}g/mL$ of melittin solution inhibited significantly LPS-induced expression of $NF-{\kappa}B$ dependent luciferase activity and the 1 and $5{\mu}g/mL$ of bee venom and the 5 and $10{\mu}g/mL$ of melittin solution inhibited significantly SNP-induced expression of $NF-{\kappa}B$ dependent luciferase activity compared with control, respectively. The $NF-{\kappa}B$ inhibitor also inhibited significantly LPS and SNP-induced expression of $NF-{\kappa}B$ dependent luciferase activity compared with control. 6. The 0.5, 1 and $5{\mu}g/mL$ of bee venom and the 5 and $10{\mu}g/mL$ of melittin solution inhibited significantly LPS + IFN-${\gamma}$, TNF-${\alpha}$ and LPS + TNF-${\alpha}$-induced expression of $NF-{\kappa}B$ dependent luciferase activity compared with control, respectively. The $NF-{\kappa}B$ inhibitor also inhibited significantly LPS and SNP-induced expression of $NF-{\kappa}B$ dependent luciferase activity compared with control.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e inhibitory action of bee venom and melittin solution on the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PEG_2$, COX-2 and $NF-{\kappa}B$.

  • PDF

중첩중력에너지가 방사선 조사된 밀과 대두의 판별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Identification of Irradiated Wheat and Soybean by the Full-overlapped Gravitational Field Energy(FGFE) Treatment)

  • 오상룡;안재준;권중호;김학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94-301
    • /
    • 2011
  • 중첩에너지(FGFE)가 방사선조사식품의 판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밀과 대두를 시료로 0-5 kGy의 감마선을 조사한 다음 FGFE 처리된 시료의 발광특성(광자극발광, 열발광)과 발아율의 변화를 처리직후와 6개월 저장 후 비교하였다. 조사식품의 스크리닝 방법으로서 두 시료에 대한 광자극발광(PSL) 분석 결과, 비 조사 시료(0 kGy)는 모두 700 photon counts/min 이하의 음성(negative)을 나타내었고, 1 kGy 이상 조사시료는 5,000 photon counts/min 이상의 양성(positive)을 나타내엇다. 그러나 FGFE 처리된 조사시료는 모두 700-5,000 사이의 중간값(intermediate)을 나타내어 FGFE 처리는 조사시료의 광자극 발광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6개월 저장 후에도 유사한 결과가 유지되었다. 조사식품의 판별확증방법으로서 두 시료에 대한 열발광(TL) 분석 결과, 조사시료와 조사 후 FGFE 처리시료 모두 $150-250^{\circ}C$ 사이에서 발광곡선이 나타났고, TL ratio ($TL_1/TL_2$) 또한 0.1 이상을 보여 조사여부 판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발광곡선의 온도범위는 FGFE 처리에 따라 $150-200^{\circ}C$에서 $180-230^{\circ}C$로 shift 현상이 나타났으며, 조사시료의 TL 강도 또한 FGFE 처리로써 37-60%의 감소를 보였다. 저장 6개월 후에는 모든 시료구에서 TL 강도가 다소 감소하였으나 조사여부의 판별은 가능하였다. 밀과 대두의 발아율에서 조사시료(5 kGy)는 비 조사 시료 대비 72%를 나타내었으나 FGFE 처리로써 85%로 증가되었다. 저장 6개월 후 조사시료(5 kGy)의 발아율은 63%로 감소하였으나, 조사 후 FGFE 처리시료는 91%의 발아율 증가를 나타내어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