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e design

검색결과 1,500건 처리시간 0.03초

교육용 게임디자인 방법들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Design Methods for Educational Games)

  • 장희동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25-35
    • /
    • 2010
  • 성장기에 게임을 경험하면서 살아온 세대를 게임세대라 부른다. 이들 게임세대는 이전 세대와 달리 사고방식과 행동방식이 전혀 다르다. 그러나 현재 게임세대를 위한 교육방법은 이전 세대의 교육방법과 기본적으로 차이가 없다. Prensky는 게임세대를 위해, 정보시대의 필요사항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소수의 방법들 중 하나로 디지털 게임을 통한 교육이라고 주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수집된 4개의 교육용게임 디자인 방법들의 적합성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적합성 분석은 전체적인 설계방법, 게임부문 설계방법, 교육부문 설계방법, 설계방법의 명시성 그리고 설계방법의 장단점에 대해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교육용 게임 디자인 방법에 대한 연구 토픽들을 제안하였다.

사용성(Heuristics) 평가 항목을 통한 온라인 게임성 평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On-line Game Characteristic Evaluation System by a Heuristic Evaluation Item)

  • 강기호;최환언;정출곤;홍수봉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63-74
    • /
    • 2009
  • 본 논문은 게임성 평가 모델 설계를 기반으로 온라인 게임성 평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온라인 게임성 평가 시스템이란 평가 요소를 정의한 모델 설계를 통하여 온라인상에서 게임을 실시간으로 평가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게임성 평가 시스템은 사용성 평가(Heuristic Evaluation) 기법을 활용하여 기술적 요소, 관리적 요소, 사회적 요소, 경쟁력 요소의 4부분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게임성 평가의 객관성과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초급자, 중급자, 전문가 세 분류를 통하여 평가를 실시하여 신뢰도를 높였으며, 게임성 평가 포럼을 개최하여 다양한 계층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 PDF

게임 프로토타입의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A Syudy on Evaluation Method of The Game Prototype)

  • 고병희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71-78
    • /
    • 2003
  • The ultimate purpose of game design is to lay out a design which provides more convenient, more exciting, and more satisfying game to the users. It is needed to adopt the demands and the evaluations of the users, so that to develop user-centered games, yet easier and simpler, to increase their popularity and to improve their productivity. On this basis, the study presents the methods of improving game designs by repeating application of the assessment of the game,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ototype in the Int stage of game project.

  • PDF

사용자 상호작용에 광고를 적용한 게이미피케이션 콘텐츠 설계 (Content design for Gamification applied to advertising in user interaction)

  • 정원조;이창조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1-78
    • /
    • 2017
  • 본 논문은 게임 내 광고의 사용자 접근 방식을 연구하였다. 게임 내 사용자 조작 영역은 효과적인 광고 전달 영역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를 통하여 게임 내 사용자 상호작용에 광고가 적용된 이론을 도출 하였다. 이후 도출된 이론을 바탕으로 게이미피케이션 콘텐츠 설계 및 제작을 진행하였다. 게임 콘텐츠는 대조군인 온라인 배너 형식의 노출형 광고와 비교군인 상호작용형 광고로 제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 포커스테스트 진행하여 게임 상호작용에 적용한 게이미피케이션 광고 설계의 검증을 진행하였다. 사용자 상호작용 광고 게이미피케이션 설계의 가설의 타당성은 평균 이상의 척도로 인정되었다. 그러나 제작 검증은 평균 이하의 부족으로 판명되었다.

게임 캐릭터 성격 모형의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AHP 분석기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Game Character Personality Model: Focused on AHP methods)

  • 남기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77-88
    • /
    • 2020
  • 게임 캐릭터는 표현과 제작 방식에 따라 성격 디자인의 방향이 달라지므로 요소별 중요도를 반영하여 성격 디자인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게임 캐릭터의 성격 디자인 과정에서 효율적인 의사 결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AHP를 통해 디자인요소 13개와 성격요인 13개로 구성된 게임 캐릭터 성격 모형에 대한 중요도를 도출하고, 중요도를 반영하여 게임 캐릭터 성격 디자인 체크툴을 제시했다. 디자인요소에서는 3D 실사풍, 3D 애니메이션풍, 2D 애니메이션풍 모두에서 외양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격요인에서는 3D 실사풍에서 행동, 3D 애니메이션풍에서 외양, 2D 애니메이션풍에서 말이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UML을 사용한 온라인 게임 엔진 프로젝트 설계 연구 (Study On the Object Oriented Design Project of Online Game Engine Using UML)

  • 최성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33-40
    • /
    • 2005
  • 게임개발 프로젝트의 설계는 프로세스 구성과 게임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산출물과 태스크의 관리는 개발자간에 연계하여 구성해야 한다. 기존 개임개발 프로젝트 설계는 프로젝트 활동의 정의 및 변경을 지원하고, 형상관리 도구는 버전제어, 작업공간 관리, 빌드 관리 등을 지원한다. 본 논문의 설계도구는 UML을 사용하여 게임 컴포넌트 기반 개발 프로세스 모델을 설계하고, 프로세스의 진행 상태 기록, 변경 요청에 따른 처리, 태스크별 작업 진행 보고서 작성, 산출물 등록과 변경, 버전 기록, 산출물 또는 서식 검색 등의 기능을 연구하였다. 또한 시스템 설계를 사용함으로써 게임 공학 활동에 참여하는 개발자들이 분산 개발 환경에서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정보와 산출물 관리를 생산성 있게 할 수 있다. 이 시스템 구성에 따라 정보를 공유하면서 설계의 체계화 및 표준화를 수행 할 수 있다.

  • PDF

UML을 사용한 온라인 게임 엔진 프로젝트 설계 연구 (Study On the Object Oriented Design Project of Online Game Engine Using UML)

  • 최성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21-28
    • /
    • 2004
  • 게임개발 프로젝트의 설계는 프로세스 구성과 게임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산출물과 태스크의 관리는 개발자간에 연계하여 구성해야 한다. 기존 개임개발 프로젝트 설계는 프로젝트 활동의 정의 및 변경을 지원하고, 형상관리 도구는 버전제어, 작업공간 관리, 빌드 관리 등을 지원한다. 본 논문의 설계도구는 UML을 사용하여 게임 컴포넌트 기반 개발 프로세스 모델을 설계하고, 프로세스의 진행 상태 기록, 변경 요청에 따른 처리, 태스크별 작업 진행 보고서 작성, 산출물 등록과 변경, 버전 기록, 산출물 또는 서식 검색 등의 기능을 연구하였다. 또한 시스템 설계를 사용함으로써 게임 공학 활동에 참여하는 개발자들이 분산 개발 환경에서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정보와 산출물 관리를 생산성 있게 할 수 있다. 이 시스템 구성에 따라 정보를 공유하면서 설계의 체계화 및 표준화를 수행 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Game Environment System based on Spatial Augmented Reality using a Real Creature

  • Yun, Chang-Ok;Kim, Jung-Hoon;Jo, Jae-Ik;Yun, Tae-Soo;Lee, Dong-Hoo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856-866
    • /
    • 2009
  • Recent development in game technologies has offered various game environments, but the existing games have not provided realistically felt game environments because the element of the game is virtually generated in most of the games. Therefore, we propose a mixed game environment based on spatial augmented reality by using a creature that really exists. In the proposed game environment, tracking based on camera images created in real-time enables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about the real creature that is both still and moving. The game environment is presented with virtual object by using the coordinate of a real creature. Then, spatial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applied for mixing a real creature and virtual game elements. Thus, the game scene is displayed by the spatial augmented reality technique based on the real-time coordinate of real creatures. Moreover, by providing the realistic game environment based on the spatial augmented reality, our system can be applied to various game contents that are actually felt as real. Most importantly, our system arouses the players' interest in a new kind of game environment.

  • PDF

체감형 콘솔에 대한 국내 게임유저들의 선호도 분석_닌텐도 위(Wii)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Preference for Physical Interactive Game Console by Domestic Game Users_focus on Nintendo Wii)

  • 장희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1-27
    • /
    • 2010
  • 본 논문은 체험형 게임기인 닌텐도 위(Wii)의 출시로 인해 온라인 게임 중심의 게임시장에 새로운 콘솔에 대한 국내 게임 유저들 중에서 주요 계층인 2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토론방식을 통하여 어떠한 선호도를 나타내고 있는지에 대한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새로운 게임 콘솔를 통해 체험형 게임에 대한 우리나라 게임유저들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새로운 게임 형태의 게임 개발에 기초연구로서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인지심리학 요소를 이용한 게임플레이 설계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ame Play Design Using Elements of Cognitive Psychology)

  • 김정현;장희동;김경식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64-70
    • /
    • 2003
  • Game play is a procedure of playing the game following the results of choices existing in the game. Such games are generally implemented not by certain rules and techniques like other designs but by abilities and experiences of game design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sign method of game play through possibility reasoning and distributions using elements of cognitive psychology which are 'a theory about problem solving' and 'a theory about reasoning and decision'. These two theories are very closely related to game play which has the procedure of solving problem of continuous choices and their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