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ame Data Analysis

Search Result 49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실시간 온라인 네트워크 게임 환경에서의 게임 트래픽 특성 분석 (Analysis of Game Traffic Characteristics of Realtime Online Network Games)

  • 정종민;이문규;이구연
    • 산업기술연구
    • /
    • 제20권B호
    • /
    • pp.233-238
    • /
    • 2000
  • The study of game traffic has neglected by scientists, but as Internet gaming becomes more popular, multiplayer online games have become a significant element of Internet traffic. In this paper we analyze Internet traffic generated by sessions of multiplayer online games and study source models of multiplayer online game traffic. Our analysis shows that the empirical game traffic can be characterized by certain analytical model. We describe how our empirical traffic data set can be modeled and discuss how game server type influences interarrival distribution.

  • PDF

로그 데이터의 유형분석 및 인지심리적 속성 추출을 이용한 모바일 게이머 유형화 연구 (Mobile Gamer Categorization with Archetypal Analysis and Cognitive-Psychological Features from Log Data)

  • 전지훈;윤두밈;양성일;김경중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5권3호
    • /
    • pp.234-241
    • /
    • 2018
  • 데이터 분석 영역에 있어 게이머의 유형을 분류하거나 게이머의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는 데이터 분석 연구자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는 분야 중 하나이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게이머 유형화나 게이머 분석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설문조사나 생체신호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는 많은 데이터를 얻기 힘들어 실용적이지 못한다. 또는 게임로그를 이용하더라도 단순히 통계적인 수치만을 추출하여 게이머를 유형화하고 분석하고 있어 게이머의 심리분석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기본적인 게임 로그로부터 게이머의 인지심리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면, 게이머 분석을 보다 직관적이고 손쉽게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Role Playing Game(RPG) 게임인 크레이지 드래곤의 게임로그를 이용하여 게이머의 행동과 심리정보를 나타내는 8개의 인지심리속성을 추출하였다. 그 후, 이를 기반으로 게이머의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각 유형별 특징을 추출한 인지심리속성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게이머가 1~2가지 유형과 높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훈련용 워게임 모델의 부대 DB를 분석용 워게임 모델에 재사용하기 위한 변환방법 연구 : 창조21모델과 비전21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 for Converting the Unit Database from Training-model into Analysis-model : Focused on the 'Chang-Jo21' and 'Vision21' model)

  • 이용복;박민형;김익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159-167
    • /
    • 2019
  • 국방 M&S(Modeling&Simulation) 분야에서는 다양한 전투 환경을 동시에 모의하기 위해 다수의 워게임 모델을 연동하는 연구를 활발하게 추진하여 성과를 달성하고 있으나, 워게임 모델을 운용하기 위한 부대 DB(DataBase)는 동일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의 속성(메타데이터)에 대한 표현 방법이 달라서 상호참조가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로 인해 워게임 모델을 운용하는 기관에서 같은 부대 DB를 각각 구축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의 중복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도와 모의 논리는 유사하지만 도메인이 다른 훈련용 워게임 모델의 부대 DB를 분석용 워게임 모델에서 재사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실제 분야에 적용했다. 이를 위해 군단 및 사단 전투지휘훈련용 모델인 '창조21 모델'과 군단 및 사단 작전계획 모의분석용 모델인 '비전21 모델'의 부대 DB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부대 DB를 전환하는 절차를 정의하고, 부대 DB의 서로 다른 메타데이터를 매핑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방 M&S 분야에서 워게임 모델 간 부대 DB의 재사용을 위해 이질적인 메타데이터를 의미상으로 통합하여 매핑을 시도한 최초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또한, 국방 M&S 분야에서 워게임 모델 간 부대 DB의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패러다임 전환과, 부대 DB 메타데이터의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Petri Net 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한 게임플레이 분석방법 (A Method of Gameplay Analysis by Petri Net Model Simulation)

  • 장희동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49-56
    • /
    • 2015
  • 캐주얼게임이 대중화되면서 게임개발과정에서 다양한 유저들의 게임플레이의 성향과 요구사항들을 만족시켜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게임개발과정의 테스트단계에서 다양한 유저의 게임플레이 패턴을 분석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저의 게임플레이 측정데이터를 사용하는 Petri net 모델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액션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유저의 게임플레이 측정데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환경은 실제적이고 또한 Petri net 모델을 사용한 분석이기 때문에 액션 패턴의 reachability, coverbility, liveness 등과 같은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다. 제안하는 방법의 적용사례로 Petri net 모델링 도구인 GPenSIM v4.0 도구를 사용하여 팩맨(Pacman) 게임의 게임플레이 패턴을 분석하는 Petri net 모델을 구현하고 시뮬레이션을 결과들을 제시하였다. 적용사례의 제시 결과들은 제안하는 방법이 Petri net 분석 기능을 이용하여 유저의 게임플레이의 액션패턴을 다양하게 분석가능 함을 보여주었다.

개인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이 아동의 게임중독경향에 미치는 영향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Affect Children’s Game Addiction Tendency)

  • 이경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99-118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different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children's game addiction tendency. As individual variables, game user' motivation, self-control, and self-esteem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s family variables, communications with mothers, parental control of children's computer use and parental internet use were examined, as school variables, school adjustment and teacher's supervision of children's computer use, and as peer variables, peer group's attitude toward computer games were used. The sample consisted of 994 fifth and sixth grade children. Statistics and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Cronbach's alpha, frequency, percentage, two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Several major results were found from the analysis. First, boys were addicted more than girls.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ddiction tendency between the 5th graders and the 6th graders. Second, game users' motivation, that is, their interest-amusement motive, avoidance motive and aggressive motiv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game addiction tendency. However, self-control and self-esteem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game addiction tendency. Third, problematic communications with mothers and parental control of children's computer us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game addiction tendency. Open communications with mother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game addiction tendency. Fourth, school adjusa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game addiction tendency. And peer group's attitude towards computer gam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game addiction tendency. Fifth, low self-control, peer group's attitude towards computer games, children's interest-amusement motive, avoidance motive, aggressive motive, school lesson adjustment, parental control of children's computer use and school nile adjustment were important predicting variables of boy's game addiction tendency. Avoidance motive, low self-control, interest-amusement motive, peer group's attitude towards computer games, and parental control of children's computer use were important predicting variables of girl's game addiction tendency.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남녀 유아의 게임몰입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eschooler's Self-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Preschooler's Game Immersion)

  • 김경회;정지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9-22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schooler's self-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preschooler's game immersion. Subjects were 253 4- to 5-year-old preschoolers(118 boys, 135 girls) and their mother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reschooler's game immersion differed from preschooler's gender. Boy preschooler had higher score than girl preschooler in game immersion. (2) Both boy and girl preschooler's game immer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er's behavioral 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maternal rational guidance, limit-setting and affection. (3)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boy preschooler's game immersion was behavioral regulation. On the other h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girl preschooler's game immersion was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next influential factor was maternal affection.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elf-regulation enhancement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mothers should be more affective with their preschoolers in order to prevent preschoolers' game immersion.

Access Record를 활용한 게임 봇과 유저 이탈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ame Bots and Churn using Access Record)

  • 김영환;양성일;김휘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7-58
    • /
    • 2018
  • 게임 봇은 게임에서 사용되는 재화 또는 아이템 등을 대량으로 유통시키며 게임 재화 및 아이템의 가치를 하락시키는 한편 아이템을 획득하기 위해 봇끼리 몰려다니면서 몬스터를 사냥하고 아이템을 채집하므로 일반 유저들이 정상적으로 콘텐츠를 즐기는 활동을 방해해 왔다. 그러나 봇의 증가가 구체적으로 어떤 유형의 유저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떤 활동 유형을 감소시키는지에 대한 연구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게임 유저들의 접속 데이터를 토대로 유형을 분류하고 봇의 증가에 따른 유저 이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유저들의 게임 이용을 유도하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중학생 게임 과몰입의 원인과 이용동기의 매개효과 연구 (Causes of Adolescent Game Addi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Game Motives)

  • 김형지;오로지;허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5-22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기 게임 과몰입의 원인을 개인적 속성과 환경, 게임 이용동기로 파악하고, 구체적으로는 고독감, 자기통제 결여,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또래 집단의 정서적 지지와 게임 이용동기(몰두, 사회관계, 성취감)의 영향력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3년 동안 패널조사 한 결과를 2차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초기 청소년기 고독감과 자기통제 결여는 게임 과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의 영향 관계에서 게임의 성취감 동기가 매개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또래 집단의 정서적 지지는 게임 과몰입과 관련이 없었다. 시간이 지나도 과몰입의 원인과 결과의 영향 관계 구조는 대부분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어드벤처 게임공간에서 시각적 환경요소와 플레이어 반응의 패턴화 (Patterning of Visual Environmental Elements and Player Reactions in Game Space of Adventure Games)

  • 최규혁;김미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39-148
    • /
    • 2021
  • 게임의 시각적 환경요소는 개발자의 의도를 표현하는 수단이며, 플레이어가 상호작용을 통해 플레이 경험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이다. 본 논문은 어드벤처 게임의 시각적 환경요소에 대한 플레이어의 반응을 실증적 실험을 통해 수집 및 분석과정을 거쳐 패턴화 하였다. 실험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는 약 1만여 개이며, 분석결과 총 24종의 플레이어 반응 패턴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시각적 환경요소의 속성과 게임플레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플레이어의 반응을 매칭시켜 플레이 경험을 살펴볼 수 있어 게임공간 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

악성코드의 이미지 시각화 탐지 기법을 적용한 온라인 게임상에서의 이탈 유저 탐지 모델 (Using Image Visualization Based Malware Detection Techniques for Customer Churn Prediction in Online Games)

  • 임하빈;김휘강;김승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1431-1439
    • /
    • 2017
  • 보안 분야에서 악성코드나 이상 행위를 탐지하기 위한 보안 로그의 분석은 매우 중요하며, 악성코드를 탐지하기 위한 이미지 시각화 분석 기술은 많은 선행 연구를 통해 논의되어져 왔다. 이러한 분석 기술은 온라인 게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최근 온라인 게임에서 악성코드나 게임 봇, 매크로 도구 등의 악용 사례가 증가하므로 인해 정상적으로 게임을 이용하려는 유저들의 이탈이 늘어나는 추세로 서비스의 운영자가 제시간에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않을 경우 게임 산업 자체가 무너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로그 파일을 PNG 이미지로 변환하는 방식을 사용한 새로운 이탈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이미지 변환을 통해 기존의 로그 크기에 비해 52,849배 경량화된 분석이 가능하며 특성 분석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은 방식으로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켰다. 모델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서 엔씨소프트의 블레이드 앤 소울 게임의 실제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분석 결과 97%의 높은 정확도로 잠재적인 이탈 유저를 예측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