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bit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2초

저공해차량의 최적구매행태 분석모형: 게임이론적 접근 (A Model to Analyze the Optimal Purchase of the Cleaner Vehicles: A Game Theoretic Approach)

  • 조인성
    • 산학경영연구
    • /
    • 제21권1호
    • /
    • pp.1-17
    • /
    • 2008
  • 저공해차량의 최적구매행태를 분석하는 게임이론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분석한다. 현실적으로 적용가능한 게임이론 모형을 설정하기 위해 게임의 결과(outcome)에 대한 의사결정자의 서수적 선호관계를 현실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수치로 나타내는 문제를 고찰하고, 각 시나리오별 게임의 분석에는 게임분석도구인 GAMBIT을 이용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 PDF

Parametric Optimization of Vortex Shedder based on Combination of Gambit, Fluent and iSIGHT

  • Nyein, Su Myat;Xu, He;YU, Hongpeng
    • International Journal of Fluid Machinery and Systems
    • /
    • 제9권2호
    • /
    • pp.150-158
    • /
    • 2016
  • In this paper, a new framework that works the automatic execution with less design cycle time and human intervention bottlenecks is introduced to optimize the vortex shedder design by numerical integration method. This framework is based on iSIGHT combined with the pre-processor GAMBIT, and flow analysis software FLUENT. Two vortex shedders, circular with slit and triangular- semi circular cylinder, are employed as the designed models to be optimized, and DOE driver is used for optimization. According to the essential properties of a vortex shedder, it has found that the best diameters are 30mm for circular cylinder with slit and 30 to 35 mm for tri-semi cylinder. For slit ratio, 0.1 and 0.15 are the optimized values for circular with slit and tri-semi cylinder respectively. And it is found that these optimal results generated by DOE automated design cycle are in well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

Numerical Study of Important Factors for a Vortex Shedder using Automated Design Cycle

  • Nyein, Su Myat;Xu, He
    • International Journal of Fluid Machinery and Systems
    • /
    • 제8권3호
    • /
    • pp.124-131
    • /
    • 2015
  • The good performance of a vortex shedder is defined by strong and stable vortex generated under the condition of most linearity in Strouhal number and low power loss. In this paper, the flow past a bluff body of circular cylinder with a slit normal to the flow has been analyzed focusing on drag coefficient, linearity of Strouhal number and flow resistance (K-factor). The ANSYS/FLUENT package is used for flow simulation and the integration method of computational code to iSIGHT platform is employed for automated design cycle. This study results the design with (0.20~0.267) blockage ratio and 0.10 slit ratio as the best shedder for vortex flowmeter and this results are in well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 As the combination of GAMBIT, FLUENT, and iSIGHT substitutes the design parameters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input data, this method designs effectively the vortex shedder with less design cycle time and low manufacturing cost eliminating the human intervention bottleneck.

High Performance Active Matrix TOLED

  • Wood, Richard;Cheuk, Roger;Kim, Woo-Young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6년도 6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17-118
    • /
    • 2006
  • Top Emission Active Matrix OLED is of particular interest to high performance display consumers. OLEDs offers excellent viewing angle, contrast, and color gambit. The present work centers on the development of a crystalline silicon active matrix OLED for high performance applications.

  • PDF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무기체계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ing & Simulation of Weapon Systems Application using the Computation Fluid Dynamics)

  • 이영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4-20
    • /
    • 2014
  • 본 연구는 무기체계 획득의 신뢰성과 연구개발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한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방법을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시험 평가가 무기체계의 획득에 신뢰성을 줄 수 있고, 시험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의 절감, 사전에 예측하고 사후에 검증이 가능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무기체계 획득에서는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고 있으며 검증을 위한 소프트웨어 사용도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위해 GAMBIT과 FLUENT를 이용하여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연구보다 더 좋은 결과 확인하였고 향후 무기체계의 획득과 연구개발에 많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evelopment of Galerkin Finite Element Method Three-dimensional Computational Code for the Multigroup Neutron Diffusion Equation with Unstructured Tetrahedron Elements

  • Hosseini, Seyed Abolfaz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43-54
    • /
    • 2016
  • In the present paper, development of the three-dimensional (3D) computational code based on Galerkin finite element method (GFEM) for solving the multigroup forward/adjoint diffusion equation in both rectangular and hexagonal geometries is reported. Linear approximation of shape functions in the GFEM with unstructured tetrahedron elements is used in the calculation. Both criticality and fixed source calculations may be performed using the developed GFEM-3D computational code. An acceptable level of accuracy at a low computational cost is the main advantage of applying the unstructured tetrahedron elements. The unstructured tetrahedron elements generated with Gambit software are used in the GFEM-3D computational code through a developed interface. The forward/adjoint multiplication factor, forward/adjoint flux distribution, and power distribution in the reactor core are calculated using the power iteration method. Criticality calculations are benchmarked against the valid solution of the neutron diffusion equation for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3D and Water-Water Energetic Reactor (VVER)-1000 reactor cores. In addition, validation of the calculations against the $P_1$ approximation of the transport theory is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liquid metal fast breeder reactor benchmark problem. The neutron fixed source calculations are benchmarked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similar computational codes. Finally, an analysis of the sensitivity of calculations to the number of elements is performed.

수직형 지중 열교환기의 현장 열응답 시험과 CFD 해석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In-Situ Thermal Response Tests and CFD Analysis of Vertical-type Geothermal Heat Exchanger)

  • 심용섭;이희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164-316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직형 지중 열교환기의 3차원 CFD 해석 기법을 제안하여 2개소의 현장 열응답 시험과 비교하였다. CFD 해석 비교를 위해 GAMBIT을 이용하여 지중과 지중 열교환기 형상을 모델링하였으며, 상용코드인 FLUENT를 사용하여 3차원 열전달 유동 해석을 수행하였다. 2개소의 현장 열응답 시험에서 도출된 지중 유효 열전도도와 지중 초기온도를 경계조건으로 사용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지중 열교환기의 입구온도 변화는 profile을 사용하여 실제 조건을 모사하였다. CFD 해석 결과 2개소의 지중 열교환기 출구온도는 $0.5^{\circ}C$ 범위 내에서 예측하였고, 기울기는 1.6% 이내에서 적절히 예측하였다. 향후 CFD 해석 기법을 활용하여 지중 열교환기 깊이, 형상 및 배열 변화 등에 따른 성능예측에 활용하고자 한다.

파라메트릭 스터디를 통한 조류발전용 다리우스 터빈의 설계연구 (Study on Design of Darrieus-type Tidal Stream Turbine Using Parametric Study)

  • 한준선;현범수;최다혜;모장오;김문찬;이신형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1-248
    • /
    • 2010
  • 본 논문은 조류발전을 위하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수직축 조류발전 터빈의 하나인 다리우스 터빈의 효율에 미치는 다양한 설계변수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날개 수, 코드 길이, 피치 및 캠버를 설계변수로 채택하였으며, 2차원 및 3차원 비정상 난류유동해석을 위하여 FLUENT의 RANS방정식과 k-e 난류모델을, 격자계 모델링을 위하여 GAMBIT을 이용하였다. 기본적인 수치해석방법은 정현주 등(2009)을 참조하였다. 설계변수 변경에 따른 방대한 계산 량을 감안하여 수치해석의 신뢰도가 허락하는 범위에서 대부분 2차원 해석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설계변수의 최적화를 통하여 기준모형보다 월등한 성능을 보이는 고효율 수직축 터빈 모델을 제시할 수 있었다.

가로세로비가 큰 항공기 날개의 다분야 통합 최적설계를 위한 자동화 공력-구조 연계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Automated Aero-Structure Interaction System for Multidisciplinary Design Optimization for the Large AR Aircraft Wing)

  • 조대식;유재훈;조창열;박찬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716-72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공기역학과 비선형 구조해석을 통합한 다분야 최적설계 최적화(MDO)프레임웍을 사용하여 항공기 날개의 설계를 수행하였다. MDO 문제 중 해결해야할 가장 큰 문제인 자동화를 해결하여 전 과정이 자동화되게 하였다. 공력해석은 FLUENT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위한 격자는 CATIA의 파라미터 모델과 Gambit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하였다. 전산구조해석을 위한 격자는 CATIA의 파라미터 모델과 NASTRAN- FX의 비주얼 베이직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하였다. 구조해석은 비선형성을 고려하여 ABAQUS를 사용하였다. 최적화 방법은 전역해를 구하기 유리한 반응표면법을 사용하였다. 목적함수는 날개 무게의 최소화이고 제약 조건은 양항비, 날개의 변위 그리고 구조응력량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설계변수는 가로세로비, 테이퍼비, 후퇴각 그리고 상하스킨의 두께로 정의하였다. 최적화 설계결과는 본 자동화 MDO프레임웍이 성공적으로 구성되었음을 보여주었다.

고양력장치 설계 최적화 및 풍동시험 (High Lift Device Design Optimization and Wind Tunnel Tests)

  • 이융교;김철완;조태환
    • 항공우주기술
    • /
    • 제9권1호
    • /
    • pp.78-8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높은 양력을 얻기 위하여 플랩 형상 최적 설계를 시도하였다. 플랩 형태는 플랩 중에서 가장 효율이 좋은 파울러 플랩(fowler flap)이다. 플랩 설계는 최적화 기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고 최적화의 초기 형상은 general aviation airfoil과 Wentz 등이 개발한 플랩이다. 최적화 방법으로는 반응면 기법 (Response Surface Method)이 사용되었으며, Hicks-Henne 형상함수가 사용되었고, GA(W)-1 익형과 fowler flap이 조합된 형상의 유동장에 대하여 Navier-Stokes 해석을 수행하였다. 상용 최적화 프로그램인 Visual-Doc, 격자 생성 프로그램인 Gambit/Tgrid, 그리고 유동해석에는 Fluent를 이용하였다. 플랩의 윗면 형상과 gap에 대한 최적화를 수행하여 착륙조건에서의 양력이 증가하였다. 초기 형상과 최적화된 형상의 공력특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항우연의 1m 풍동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최적화된 형상은 대체로 예측치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나, 이른 실속이 관찰되었다. 또한, 날개와 플랩 간의 간격을 설계치보다 좁혀 줌으로써 양력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설계시 사용된 난류 모델의 영향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