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it type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35초

보행장애를 호소하는 말기 다계통 위축증 환자 한의 치험 1례 (A Case of Korean Medical Treatment on Advanced-Stage Multiple System Atrophy with Gait Disturbance)

  • 황예채;이혜진;최정우;전규리;박성욱;박정미;고창남;조승연
    •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1-4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is to describe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gait disturbance in advanced stage multiple system atrophy-cerebellar type (MSA-C). This inpatient wa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acupuncture, pharmaco-acupuncture, moxibustion, cupping, and chuna therapy. The gait disturbance was assessed by Unified Multiple System Atrophy Rating Scale(UMSARS), Tinnetti test, and 16m walking spatial features. After treatment, UMSARS Part I score was enhanced, decreasing from 29 to 24, Part II score from 34 to 18. Tinetti test score increased from 7 to 20. Gait stride length increased and width decreased.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medical treatment could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delaying the progress of gait disturbance in advanced-stage MSA-C patients.

순환 신경망을 이용한 보행단계 분류기 (A Gait Phase Classifier using a Recurrent Neural Network)

  • 허원호;김은태;박현섭;정준영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518-523
    • /
    • 2015
  • This paper proposes a gait phase classifier using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Walking is a type of dynamic system, and as such it seems that the classifier made by using a general feed forward neural network structure is not appropriate. It is known that an RNN is suitable to model a dynamic system. Because the proposed RNN is simple, we use a back propagation algorithm to train the weights of the network. The input data of the RNN is the lower body's joint angles and angular velocities which are acquired by using the lower limb exoskeleton robot, ROBIN-H1. The classifier categorizes a gait cycle as two phases, swing and stance. In the experiment for performance verification, we compared the proposed method and general feed forward neural network based method and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종이 접기 구조를 활용한 단일 구동기 보행 로봇의 설계, 제작 및 분석 (Design, Fabrication and Analysis of Walking Robot Based on Origami Structure)

  • 김태연;이석훈;이기중;이대영;김지석;조규진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7-105
    • /
    • 2015
  •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about applications of origami to mechanical engineering, which realizes a 30 sturcture by folding a 20 plane material. With this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origami was even adopted by some roboticists as a way to build an entirely new robot with benefits in terms of cost, weight, and structural simplic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type of a walking robot based on origami structure. Because all the components of the robot that generate gait motion are mechanically connected, it can actually walk fotward with only a single actuator. We also showed the similarity of gait trajectories between a kinematic analysis and the actual gait motion measured by video tracking. This result proved the possibility of designing an origami-based robot with the identical gait trajectory as we plan.

국내 리듬청각자극(RAS) 기법 활용 연구 분석: 음악치료와 물리치료 비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Research Using the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Technique: A Comparison of Music Therapy and Physical Therapy Approaches)

  • 이지연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7권1호
    • /
    • pp.71-96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 및 물리치료 분야에서 리듬청각자극(RAS)을 적용하여 수행된 연구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9년부터 2018년 11월까지 발표된 학위 논문과 학술지 게재 연구 중 RAS 및 보행기능 관련 주제어를 검색하여 기준에 부합한 45개의 연구를 선정하였고, 세부중재방법과 리듬자극의 유형, 기술된 치료 원리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영역에서의 연구 모두 일정한 간격의 리듬을 핵심적인 치료 자극으로 사용하고 RAS의 기본 절차를 따른 점에서는 공통적이었지만, 목표기능이나 구체적인 리듬제공방법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다. 음악치료 연구에서는 모두 보행기능이 목표 변인이었던 데 비해, 물리치료 연구에서는 균형이나 근력, 고유수용성감각 등 관련 신체기능이 목표에 포함되었다. 또한 음악치료 연구에서는 다양한 요소를 포함한 '음악'이 리듬자극으로 활용된 반면, 물리치료 연구에서는 메트로놈을 리듬자극으로 활용한 연구가 음악을 활용한 연구보다 많았다. RAS 원리와 관련하여 단순한 기법 설명 외에 동조화와 같이 치료의 원리가 충분히 기술된 연구는 물리치료보다는 음악치료 분야에서 많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치료 연구에서는 리듬과 더불어 음악의 다양한 요소가 보행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이 고려되어 음악의 역할이 적극적으로 활용된 반면, 물리치료 연구에서는 보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신체기능에 대한 개입이 포함된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두 가지 측면 모두 재활에 있어 중요한 부분임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다학제간 연구를 기반으로 한 RAS 연구의 기법의 확장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팔 흔들기가 정상인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rm Swing on Gait in Healthy Adults)

  • 정화수;최수희;박선자;오혜진;조화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451-459
    • /
    • 2014
  • 본 연구는 정상 성인의 팔 흔들기 종류에 따른 보행 시 운동역학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정상 성인 대학생 45명을 대상으로 정상 팔 흔들기, 한 팔 흔들기, 두 팔 움직임 없음 보행, 인위적인 팔 흔들기의 4가지 팔 흔들기 종류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들의 운동역학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3차원적 관절 운동역학적 변화 검사인 6-camera Vicon MX motion analysis system을 통해 보행 변수를 측정하였다. 팔 흔들기에 따른 운동역학적인 매개 변수들인 각 관절에서 보행속도, 엉덩관절 일률, 말기 디딤기의 수직 지면반발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러한 연구결과는 팔 흔들기 종류에 따라서 정상인과 환자들의 치료와 평가를 위한 지침으로서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정상 성인의 운동 형상학적 보행 분석 (Analysis of Kinematic Parameters of Gait in Normal Subject)

  • 정화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989-2995
    • /
    • 2014
  • 본 연구는 정상 성인의 팔 움직임 종류에 따른 운동형상학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45명의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네 가지 팔 움직임 종류인, 정상 팔 움직임 보행, 한 팔 움직임 보행, 두 팔 움직임 억제 보행, 파워 보행의 순서대로 실시하였다. 실험 대상자가 10m의 보행거리를 자연스럽게 걷는 동안 3차원 보행분석기인 Vicon동작 분석기의 6MX3카메라를 이용해서 측정을 하였다. 이 실험의 자료는 2010년 6월부터 8월까지 수집되었다. 팔 움직임에 따른 운동 형상학적 보행변수의 변화는 정상과 비교해 시상면에서 오른쪽 골반, 엉덩관절의 관절 운동범위, 관상면에서 골반, 엉덩관절, 허리부위에 관절 운동범위, 횡단면에서는 골반, 가슴부위, 허리부위의 관절 운동범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p<.05). 본 연구의 결과 팔 움직임의 형태에 따라 보행을 하게 되면 운동 형상학적 변화를 나타내고,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임상에서 정상인과 환자들의 보행 비교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3축 가속도 센서와 족압 감지 시스템을 활용한 보행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Gait Monitoring System Based on 3-axis Accelerometer and Foot Pressure Sensors)

  • 유인환;이선우;정현기;변기훈;권장우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99-206
    • /
    • 2016
  • 대부분의 한국인은 오랜 좌식생활 때문에 팔자 걸음이나 안짱 걸음을 걷는 경우가 많고, 오늘날에는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하여 올바른 자세의 보행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 한국인의 걸음 실태를 쉽게 분석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간편한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보행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3축 가속도 센서와 족압 감지 시스템을 활용한 보행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걸을 때 발생하는 발의 압력(foot pressure)과, 상반신의 기울어진 정도를 각각 압력 센서(pressure sensor)와 3축 가속도계(3-axis accelerometer)를 통해 걷는 자세의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몇 가지 보행 유형과 센서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체 자세 판별에는 통계적 모수인 제곱평균제곱근과 표준편차가, 보행 유행 판별에는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이 적합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고안된 시스템은 저비용의 의학, 체육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경추 견인기 부착 여부에 따른 발 형태별 보행 시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eck Traction and Foot Type on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during Walking)

  • Hong, Miran;Yi, Kyoungock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21-335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eck traction and foot type on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during walking. Method: Total of 24 data were collected from women working with a computer for more than 6 hours every day. Three groups by foot type were divided: Pes Planus, normal foot, and Pes Cavus. Depending on the foot type and cervical traction, plantar pressure variables were measured; CA, MF, PP, and CT. Each variable was divided into 12 masks. MANOVA was performed for the difference of plantar pressure variables by foot type, and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for the cervical traction within groups. Results: The total CA decreased in the Pes Planus (p<.001) and Pes Cavus (p<.05) groups. MF increased in the big toe (p<.01) and 2nd toe (p<.05) of the normal foot, and MF-3rd metatarsal decreased (p<.01). The MF-2nd toe (p<.01) and 3rd toe (p<.05) of Pes Cavus decreased. The PP decreased in 2nd toe (p<.05), 3rd toe (p<.01), and 4th toe (p<.05) of the Pes Cavus. In normal foot, the PP-3rd metatarsal (p<.05) and PP-4th metatarsal (p<.01) reduced. In Pes Planus, PP decreased in the hindfoot (p<.05). In Pes Cavus group wearing a neck-tractor, the CT-hindfoot increased (p<.05).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plantar pressure change by foot type after neck traction. When walking with a neck-tractor, the heel impact was alleviated in the Pes Planus, and the Pes Cavus showed the smooth and effective propulsion in the push-off. Overall, weight acceptance was effectively performed when walking with neck-trac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neck-tractor corrects the alignment of the neck, thereby creating a more stable gait pattern.

편마비환자에게 플라스틱 단하지 보조기착용 전${\cdot}$후 선자세 균형과 동적 움직임에 미치는 효과 (The immediate effect standing balance and dynamic activity on barefoot, wearing SPAFO and wearing HPAFO in hemiplegic patients)

  • 임호용;박승규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7권1호
    • /
    • pp.96-107
    • /
    • 2005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standing balance, dynamic activity in hemiplegic patie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ankle-foot orthosis(AFO) and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type of AFO for gait training. Method: A p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for 16 patients with hemiplegia who was able to walk independently. Static balance and dynamic activity were compared in two condition : 1) barefoot and SPAFO, 2) barefoot and HPAFO. Static balance and dynamic activity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by Active Balance while they were standing with in two condition AFO and barefoo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nding balance between barefoot and wearing SPAFO and HPAFO(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dynamic activity balance between barefoot and wearing SPAFO and HPAFO(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gait speed between barefoot and wearing SPAFO and HPAFO(p<0.05).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wearing SPAFO and HPAFO gave fair amount of improvement to balance and gait ability of hemiplegic patients.

  • PDF

척수마비환자 재활훈련용 보행보조기의 인체진동을 고려한 무릎관절 시스템 진동제어(II) (Vibration Control of a Knee Joint System considering Human Vibration of the New R.G.O. for a Rehabilitation Trainning of Paraplegia (II))

  • 김명회;장대진;백윤수;박영필;박창일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46-452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 3-D design and a Vibration control of a new walking R.G.O.(Robotic Gait Orthosis) and would like to develop a simulation by this walking system. The vibration control and evaluation of the new knee joint mechanism on the biped walking R.G.O.(Robotic Gait Orthosis) was a very unique system and was to obtain by the 3-axis accelerometer with a low frequency vibration for the paraplegia It will be expect that the spinal cord injury patients are able to recover effectively by a biped walking R.G.O.. The new knee joint system of both legs were adopted with a good kinematic characteristics. It was designed attached a DC-srevo motor and controller, with a human wear type. It was able to accomodate itself to a environments of S.C.I. Patients. It will be expect that the spinal cord injury patients are able to recover effectively by a new walking R.G.O.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