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Ya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초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 만족도 및 감성지능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 김가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63-7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 만족도 및 감성지능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21년 11월 10일부터 11월 20일까지 간호학과 4학년 132명을 편의표집으로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감성지능(β=.46, p<.001), 임상수행능력(β=.18, p=.033), 임상실습 만족도(β=.18, p=.027)이었으며, 간호전문직관의 설명력은 52%이었다. 따라서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하여 간호학과 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가와 주거환경요소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수영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rrelativity Between Land Price and Residental Environment Elements - Focusing on the Haeundae-Gu and Suyoung-Gu in Busan City -)

  • 김가야;정창식;류재홍;김정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2-6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의 대표적인 주거지역이면서 워터프런트지역을 포함하고 발전해 온 수영구와 해운대구를 중심으로 지가와 주거환경요소의 상관성 및 주거환경요소가 지가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지가를 종속변수로 하고 주거환경요소를 설명변수로 하여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지가와 각 변수간의 상관성을 보면 모든 대상지역에서 토지이용과 간선도로와의 거리, 지하철역까지의 거리가 공통적으로 지가와 상관성이 높은 변수로 밝혀졌고, 회귀분석을 통해 각 변수별 설명력을 알아본 후 지가에 대한 변수의 설명력이 높은 순으로 누적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 7개의 변수로 수영구는 67%, 해운대구는 50.5%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특히 관심을 가지고 설정해 본 해안까지의 거리변수는 지가와 상관분석 결과 모든 대상지역에서 그다지 상관성이 높지 않았으며,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각 지역별로 6.4%~7.6%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밝혀져 지가를 설명하는 변수로서 중요도도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부산시 해안지역의 용도지역 변화패턴 연구 (Busan Use Area Change Pattern Research of Costal Area)

  • 김가야;김정호;김성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36-145
    • /
    • 2007
  • 도시의 성장에 따라 도시계획구역의 변화와 함께 도시 내의 그린벨트를 포함한 자연녹지와 노후화된 도시시설이 입지한 토지에 대한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도시의 형성이 오래되고 도시의 성격이 급속히 변화 할수록 그 속도가 빨라진다. 부산은 1970, 80년대 경제성장의 선봉에 있었던 산업시설이 도시의 외곽으로 이전하고 항만시설이 노후화, 쇠퇴화 되면서 도시의 산업형태가 2차 산업에서 3차 4차의 고차산업으로 변화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주거지역의 경우도 내륙지역의 오래된 주거지역이 주거환경의 악화와 도심으로의 교통의 편리성이 증대되면서 인근 지역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용도지역에 대한 변화를 분석한 결과 내륙지역보다 해안에 접해있는 지역이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의 확산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구 시가지의 공장 등이 강서구나 기장군의 대규모 공업단지로 이전하면서 공업지역의 면적이 뚜렷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침목재유물보존처리 폐액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very of waste fluids of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waterlogged wooden artifacts)

  • 양석진;김종화;송주영;이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8-115
    • /
    • 2012
  • 수침목재유물은 해저, 호저, 저습지등에서 발견되며 물속에서 외부로 아무런 조치 없이 나오게 되면 수축과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보존처리는 목재내부의 물을 화학약품과 치환하고 강도와 치수의 안정화를 이루는 것이다. 이중 EDTA와 PEG는 수침목재유물 보존처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품중 하나이다. EDTA는 발굴출토된 목재의 흑화현상의 원인인 타닌산제2철에서 Fe-EDTA의 형태로 흑화현상을 제거한다. 보존처리 후 발생하는 폐 EDTA 용액으로부터 HCl을 첨가하여 Fe-EDTA에서 $Fe^{3+}$를 분리해 내고 강산성에서 EDTA가 석출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EDTA의 침전물을 획득하여 재활용하였다. PEG는 수침목재유물의 강화처리에 사용되며 목재 내에서 추출되는 착색유기물에 의해 용액의 색이 검은색으로 변화하게 되며, 폐 PEG 용액을 $H_2O_2$를 이용한 산화작용으로 용액 내에 존재하는 착색유기물을 분해하고 색을 되돌려 재활용하였다.

Microemulsion-based Hydrogel Formulation of Itraconazole for Topical Delivery

  • Lee, Eun-A;Balakrishnan, Prabagar;Song, Chung-Kil;Choi, Joon-Ho;Noh, Ga-Ya;Park, Chun-Geon;Choi, Ae-Jin;Chung, Suk-Jae;Shim, Chang-Koo;Kim, Dae-Duk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40권5호
    • /
    • pp.305-311
    • /
    • 2010
  •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preparing microemulsion-based hydrogel (MBH) for the skin delivery of itraconazole. Microemulsion prepared with Transcutol as a surfactant, benzyl alcohol as an oil and the mixture of ethanol and phasphatidyl choline (3:2) as a cosurfactant were characterized by solubility, phase diagram, particle size. MBHs were prepared using 0.7 % of xanthan gum (F1-1) or carbopol 940 (F1-2) as gelling agents and characterized by viscosity studies. The in vitro permeation data obtained by using the Franz diffusion cells and hairless mouse skin showed that the optimized microemulsion (F1) consisting of itraconazole (1% w/w), benzyl alcohol (10% w/w), Transcutol (10% w/w) and the mixture of ethanol and phospahtidylcholine (3:2) (10% w/w) and water (49% w/w)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lux (${\sim}1{\mu}g/cm^2/h$) with their corresponding MBHs (0.25-0.64 ${\mu}g/cm^2/h$). However, the in vitro skin drug cont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1 and F1-1, while F1-2 showed significantly low skin drug content. The effect of the amount of drug loading (0.02, 1 and 1.5% w/w) on the optimized MBH (F1-2) showed that the permeation and skin drug content increased with higher drug loading (1.5%). The in vivo study of the optimized MBH (F1-2 with1.5% w/w drug loading) showed that this formulation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topical formulation for itraconazole.

재활용 PEG를 이용한 수침 고버드나무의 치수안정화 연구 (A Study on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Archaeological Waterlogged Salix koreensis Andersson Treated with Recycled PEG)

  • 양석진;이수;김종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35-641
    • /
    • 2014
  • 수침고목재는 보존을 위해 치수안정화의 공정이 필요하다. PEG는 목재의 치수안정화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PEG 40% 함침 후 동결건조 하는 방법은 간단하고 일반적인 방법중 하나이다. 그러나 PEG처리 후 폐액은 목재로부터 침출된 유기물에 의해서 검게 변하고 악취가 발생하기 때문에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었다. 폐액은 과산화수소의 산화작용에 의해 폐액의 검은색은 제거 가능하다. PEG는 보존처리 전, 후와 과산화수소의 산화작용 후에도 그 물성이 변하지 않아 재활용이 가능하다. 과산화수소에 의해 재활용된 PEG를 이용하여 수침고목재의 치수안정화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치수안정화에 사용된 용액의 PEG와 재활용 PEG의 비율을 10:0, 7:3, 5:5, 3:7, 0:10 (pure PEG : 재활용 PEG)으로 하였다. 그리고 수침고목재를 용액의 농도 10, 20, 30, 40%로 각각 5일간 함침하였다. 모든 시험편은 25%의 중량 증가율을 보였으며, SEM을 이용하여 목재 내부 세포를 관찰한 결과 PEG의 함침은 매우 잘된 것으로 판단된다. 치수변화율은 4%이하로 모든 시료 동일하게 안정된 수치를 나타내어 재활용 PEG를 사용하여 보존처리하는 것은 새 PEG를 사용하는 것과 다르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영상을 이용한 교량 신축이음부의 신축량 추출 (Extraction of Expansion Length for Expansion Jiont Bridge using Imagery)

  • 서동주;김가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39-149
    • /
    • 2008
  • 도로를 통과하는 차량하중 및 통행량의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하중효과는 교량에 급격한 손상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교량의 유지관리차원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중 신축이음부는 차량의 주행을 원활하게 해주면서 주형에 유해한 응력이나 부가 하중이 최소화되도록 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신축이음부는 향시 차량이 지나감으로 신축량을 측정하기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신축이음부를 영상을 이용하여 신축량을 추출하면 정량적이고, 정성적인 유지관리를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상을 이용하여 량신축이음부에 대한 3차원 좌표를 취득할 수 있었으며, A지역 32개소과 B지역 28개소에 있어서 검사점(Check Point)의 잔차에 대한 RMSE를 산정한 결과 A,B지역 모두 RMSE는 0.829mm~1.680mm의 매우 양호한 결과가 나타났다. 영상에 의해서 추출한 신축량과 실측값과 비교분석한 결과, A지역 RMSE는 0.64mm, B지역 RMSE는 0.28mm로 분석하였으며, A지역 평균잔차는 0.60%, B지역평균잔차는 0.27%로 나타났다. 또한, 향후 교량의 유지관리시 신축량을 측정은 영상을 이용하여 측정하므로서 과거에 비해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