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T1b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초

어선의 수중소음에 관한 연구 (The Underwater Noise of Fishing Boat)

  • 윤갑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60-264
    • /
    • 1981
  • 어선에서 발생되는 수중소음을 측정하기 위하여 선미식 트롤어선인 새바다호가 수심 100m인 제주도남쪽 해역에서 운항중일 때의 구중소음을 녹음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새바다호가 운항중일 때 주된 주파수대는 $100\sim500Hz$이며 최대음압은 121dB였다. 2) 항주중의 수중소음은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음압준위가 높아진다. 3) 후진할 때의 소음은 전진할 매와 소음 spectrum도 다르고 음경준위도 높았다. 4) 기관만을 운전할 때보다 항주중일 때의 수중소음이 10dB이상 높았다. 5) 어이에서 발생되는 수중소음의 주음원은 기사소음과 프로펠라의 회전 및 선체의 진동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6) 거리에 따른 음압의 감쇠는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커지고 주파수 제곱에 비례하여 감쇠하였다.

  • PDF

생간건비탕가감을 투여한 알콜성 간경변증 환자 치험 1례 (Saenggangeonbi-tang's Effect on Alcoholic Liver Cirrhosis - 1 Case)

  • 이은;고흥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3-219
    • /
    • 2000
  • We treated a 53 year-old male patient. He had alcoholic liver cirrhosis and diabetes. The main symptoms were fatigue, ascites, edema, anorexia, indigestion, constipation, and abdominal pain. We diagnosed him as 'the retention of pathogenic damp-heat in the liver and gall bladder’ and adminstered Saenggangeonbi-tang three times a day. We observed clinical symptoms, liver function test(AST, ALT, ${\gamma}-GT$, ALP, total bilirubin), nutritional state(total protein, albumin) and capillary blood glucose. After treatment, all the main symptoms disappeared and the patient's nutritional state has improved. Child's grade using the improvement index in liver cirrhosis has changed from B to A. Although the very mechanism of Saenggangeonbi-tang was not proven, we could suggest that Saenggangeonbi-tang is not toxic to the liver and has a good effect on alcoholic liver cirrhosis with diabetes mellitus.

  • PDF

Guillain-Barré syndrome associated with hyper-IgE-emia

  • Choi, Jongsuk;Rho, Jeong Hwa;Kim, Byung-Jo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9권2호
    • /
    • pp.148-150
    • /
    • 2017
  • Peripheral neuropathy associated with hyper-IgE-emia have been rarely reported. Here we present a 72-year-old man with acute motor axonal neuropathy who had relatively poor prognosis. The serum was weakly positive for IgG GQ1b and GT1a, and serum IgE was significantly elevated. He was transferred to a rehabilitation center with Medical Research Council grade 3 lower extremity weakness on admission day 65. We would suggest that hyper-IgE-emia may increase the magnitude and rate of neural damage in this case.

Differential Expression of Gangliosides in the Ovary and Uterus of Streptozotocin-Induced and db/db Diabetic Mice

  • Kim, Sung-Min;Kwak, Dong-Hoon;Kim, Sun-Mi;Jung, Ji-Ung;Lee, Dae-Hoon;Lee, Seoul;Jung, Kyu-Yong;Do, Su-Il;Choo, Young-Ku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8호
    • /
    • pp.666-676
    • /
    • 2006
  • Gangliosides are widely distributed in mammalian cells and play important roles in various functions such as cell differentiation and growth control. In addition, diabetes and obesity cause abnormal development of reproductive processes in a variety of species. However,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se effects, and how they are related, are not fully understoo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gangliosides is implicated in the abnormal follicular development and uterine architecture of streptozotocin (STZ)-induced and db/db diabetic mice. Based upon the mobility on high-performance thin-layer chromatography, mouse ovary consisted of at least five different ganglioside components, mainly gangliosides GM3, GM1, GD1a and GT1b, and diabetic ovary exhibi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ganglioside expression with apparent changes in the major gangliosides. A prominent immunofluorescence microscopy showed a dramatic loss of ganglioside GD1a expression in the primary, secondary and Graafian follicles of STZ-induced and db/db diabetic mice. A significant decrease in ganglioside GD3 expression was also observed in the ovary of db/db mice. In the uterus of STZ-induced diabetic mice, expression of gangliosides GD1a and GT1b was obviously reduced, but gangliosides GM1, GM2 and GD3 expression was increased. In contrast, the uterus of db/db mic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gangliosides GM1, GD1a and GD3 expression. Taken together, a complex pattern of ganglioside expression was seen in the ovary and uterus of normoglycemic ICR and $db/^+$ mice, and the correspoding tissues in diabetic mice are characterized by appreciable changes of the major ganglioside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erations in ganglioside expression caused by diabetes mellitus may be implicated in abnormal ovarian development and uterine structure.

오미자농축액이 급성주정중독량 및 장기간 주정을 투여한 흰쥐의 혈중 알코올 분해율과 간 기능 보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Concentrate on Blood Alcohol Clearance and Hepatoprotective Function in Rats Induced by Acute Ethanol Intoxication and Chronic Ethanol Treatment)

  • 한찬규;성기승;이경원;박성선;정지윤;김성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139-1147
    • /
    • 2014
  • 본 연구는 알코올성 간 손상을 일으킨 흰쥐에게 오미자추출물이 혈중 알코올 분해율과 간 기능 보호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단회성 급성주정중독시험과 장기 주정투여시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급성주정중독시험은 흰쥐에게 급성주정중독량과 오미자추출물을 투여한 후 60분, 90분, 150분, 240분, 300분, 360분의 혈중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여 경시적인 알코올 분해율을 측정하였다. 장기 주정투여시험은 전반기(4주)는 급성주정중독량(22,23)을 참고하여 1/2용량의 시험주정(Chivas Regal, 40%)을 투여하였고, 후반기(4주)는 시험주정과 함께 물과 오미자추출물(150 mg, 1.0 mL)을 각각 투여하였다. 급성주정중독량시험에서 주정투여 후 90분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가장 높았고, 주정투여 후 알코올의 기준 농도 대비 360분의 혈중 알코올 분해율은 주정단독투여군(A) 81.4%, 오미자투여군(B) 96.1%, 주정+물투여군(C) 85.3%로 오미자투여군이 다른 두 주정투여군보다 평균 13% 더 높았다. 장기 주정투여시험에서 간장무게는 두 주정투여군(A, B)이 일반대조군(C)보다 통계적으로 무거웠다(P<0.05). 혈청과 간 조직의 중성지방(TG) 함량은 일반대조군이 두 주정투여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간 조직의 TG 함량은 오미자투여군(B)이 주정대조군(A)에 비해 26.5% 낮았다.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TC) 함량은 실험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간 조직의 TC 함량은 B군이 A군보다 18.8% 낮았다. 주정과 오미자추출물을 투여한 후 측정한 ${\gamma}$-GT, AST 및 ALT 활성은 오미자추출물군(B)이 주정대조군(A)보다 각각 26%, 12%, 19% 감소하였다. 혈액학치(CBC)는 혈소판을 제외하고는 실험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간세포 조직의 Steatosis score는 주정대조군이 3점인 반면 오미자추출물군과 일반대조군에서는 각각 1점이었고, 붉게 염색된 지방미세과립이 주정대조군에서는 고도 내지 중등도로 세포질내에 침윤(infiltration)된 반면 오미자추출물군에서는 경도로 침윤되었다. 본 연구에서 오미자추출물은 경시적으로 혈중 알코올 분해율을 높여주고, 간 조직의 중성지방량과 간기능치(${\gamma}$-GT, ALT)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알코올성 지방변성을 완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오미자 가공식품의 개발과 관련한 기초 및 홍보자료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한편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알코올성 간 기능 보효 효과와 관련된 보다 정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harmacokinetic Characteristics of Levosulpiride in Relation to the Genetic Polymorphism of MDR1: From Knockout Mouse to Human

  • Cho, Hea-Young;Lee, Yong-Bok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7권5호
    • /
    • pp.297-303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rify the involvement of P-glycoprotein (P-gp) in the efflux of levosulpiride in knockout mice that lack the mdr1a1b gene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tic polymorphisms in MDR1 gene (exon 21) and levosulpiride disposition in healthy Korean subjects. After oral administration ($10\;{\mu}g/g$) of levosulpiride to mdr1a/1b(-/-) and wild-type mice, plasma and brain samples were obtained at 45 min. We also investigated the genotype for MDR1 (exon 21) gene in humans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method. A single oral dose of 25 mg levosulpiride was administered to 58 healthy subjects, who were based on the MDR1 genotype for the G2677T SNP. Blood samples were taken up to 36 hr after dosing. The concentrations of levosulpiride in mouse plasma and brai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animal groups (P<0.05). In addition, the average brain-to-plasma concentration ratio (Kp) of levosulpiride was 3.4-fold (P<0.01) higher in the mdr1a/1b(-/-) mice compared with the wild-type mice. We also found that the values of $AUC_{0-{\infty}$, partial AUC ($AUC_{0-4h}$) and $C_{max}$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omozygous 2677TT subjects and the subjects with at least one wild-type allele (GG and GT subjects, P=0.012 for $AUC_{0-{\infty}$; P=0.008 for $AUC_{0-4h}$; P=0.038 for $C_{max}$). The results confirm that levosulpiride is a P-gp substrate in vivo, and clearly demonstrate the effect of SNP 2677G>T in exon 21 of the MDR1 gene on levosulpiride disposition.

오존처리가 인삼분말에 오염시킨 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zone Treatment on Growth of Microorganisms Contaminated Ginseng Powders)

  • 곽이성;노길봉;장진규;최강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5-51
    • /
    • 1995
  • Ozone treatment was applied to ginseng powder for the improving hygienic quality of ginseng powder. A bacterial strain was isolated form ginseng powder contaminated. The strain designated as GT4, was identified as Escherichia coli species by IMVIC test method. Ozone inhibited strongly total bacteria and coliforms in ginseng powder(initial concentration 103/g) at 0.35 ppm. High ozone concentration reduced death time of the total bacteria in ginseng powder. However, ozone treatment caused significant degradation in saponins of ginseng powder. Ozone treatment also caused a increase in Hunter's color L value and decrease in a and b values of ginseng powder.

  • PDF

Use of .lambda.gt 11 and antibody probes to isolate genes encoding RNA polymerase subunits from bacillus subtilis

  • Suh, Joo-Won;Price, Chester
    • 미생물과산업
    • /
    • 제14권1호
    • /
    • pp.17-20
    • /
    • 1988
  • A genetic analysis of the complex Bacillus subtilis transcriptional apparatus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function, regulation, and interaction of the transcriptase components during growth and sporulation. This approach in Escherichia coli has uncovered fundamental mechanisms regulating gene expression Cole and Nomura, 1986; Lindahl and Zengel, 1986) and an analysis of the B. subtilis transcriptase will allow comoparison of the E.coli system to another bacterium that has evolved under different selective pressures. To this end we used antibody probes to isolate the alpha, beta, and beta' core subunit genes from a .lambda.gtill expression vector library. To address the question of function ans regulation of the minor sigma factors that confer promoter specifity on the polymerase core (Losick et al., 1986), we used the same approach to isolate the gene for the 37,000 dalton sigma factor, sigma-37.

  • PDF

식이유황 MSM(Methyl Sulfonyl Methane) 급여가 돼지의 성장 및 질소와 칼슘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SM (Methyl Sulfonyl Methan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Digestibility of Ca and N in Pigs)

  • 조진호;민병준;권오석;손경승;진영걸;김해진;김인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61-365
    • /
    • 2005
  • 본 연구는 식용유황으로 사용되고 있는 MSM(methyl sulfonyl methane)을 돼지 식이에 첨가하였을 때 성장 능력과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 험 1에서 는 3원 교잡종(Landrace × Yorkshire × Duroc) 육성돈 6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의 체중은 48.15±0.15㎏이었고 35일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식이로서 처리한 대조구(Cotrol: 대조구), 대조구 식이 내 MSM 0.01%(T1: 대조구+0.01% MSM), 0.02%(T2: 대조구+0.02% MSM)로 3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5마리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일당증체량과 일당식이섭취량은 T1 처리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gt;0.05). 식이효율과 영양소 소화율 역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gt;0.05). 시험 2에서는 3원 교잡종 육성돈 10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 개시시 체중은 38.85±0.15㎏이었다. 시험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기초식이 대조구(CON), 대조구 식이에 황산네오마이신 0.05%, OTC(oxytetracycline) 0.05% 첨가구(T1), 대조구 식이에 MSM 0.01% 첨가구(T2) 및 대조구 식이에 황산네오마이신 0.05%, OTC 0.05%와 MSM 0.01% 첨가구(T3)로 4개 처리로 하였다. 일당증체량은 MSM 0.01% 첨가한 T2구와 항생제와 MSM 0.01% 첨가한 T3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lt;0.05). 일당식이섭취 량에서 는 T2 처리구와 T3 처리구에서 증가함을 보였다(p&lt;0.05). 식이효율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p&lt;0.05). 결론적으로, 실험 1과 2에서 알 수 있듯이 돼지에 있어 사료내 MSM의 첨가는 성장율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항생제와의 혼합 첨가는 성장율과 영양소 소화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디자인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DPMS)의 구성 (Construction for the Design Project Management System(DPMS))

  • 우흥룡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227-234
    • /
    • 1999
  • 본 논문은 디자인 프로젝트 관리의 리엔지니어링으로서 프로젝트의 기획, 조직, 일정, 그리고 제어하는 통합적인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개발의 기초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의 연구/개발을 목표로 삼고 있다. 프로젝트의 성과, 소요기간, 소요예산, 그리고 소요자원 등을 관리하는 과정이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기술의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 디자인 프로젝트 상의 수많은 정보를 적시에 효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끌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자인프로젝트의 관리를 집단의사결정에 의해 처리함으로써 신뢰도와 합리성의 제고는 물론, 이를 통한 사기앙양이 기대된다. 따라서, 여기에서 야기되는 의사집합의 곤란, 시간손실, 구성원의 갈등 등의 프로젝트 관리에서 비롯되는 부수적인 문제도 전자의 기본적인 관리요소와 함께 통합하여 디자인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DPMS)을 연구/개발하였다. DPMS 시스템은 디자인 프로젝트의 선정과 디자인 프로젝트의 기획/실행관리/ 평가로 주요 모듈을 설정함으로써 프로젝트 매니저는 해당 프로젝트 과업(Task)과 활동(Activity)에 대한 팀의 운용을 융통성 있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프로젝트 관리를 On-Line DBMS 시스템 환경 상에 운용되도록 하여 정보의 재생산성, 운용의 동시성, 그리고 보안성 등을 도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