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STARS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 Analysis of Streambed Changes Downstream of Daecheong Dam

  • Seo, Hyeong-Deok;Jeong, Sang-Man;Kim, Lee-Hyung;Choi, Kyu-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1
    • /
    • pp.103-108
    • /
    • 2008
  • Riverbed change is greatly influenced by artificial factors such as dam construction, gravel collection, and river improvement. This study simulated a long-term bed change based on the GSTARS3 model using actual data from the area downstream of the Geum River Daecheong Dam and compared the estimation with a section of the actual measurem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ection of the actual measurement was far lower than the result of the simulation in terms of long-term bed change. While the area downstream of Daecheong Dam displayed approximately an average of 2.29 m of streambed degradation on average while the upper stream area showed approximately 0.63 m of bed degradation over 24 years. In the simulation of the area downstream of Daecheong Dam based on the GSTARS3 model, similar bed degradation was observed. However, a great difference was detected between the result and the actual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cause analysis, the riverbed in the area downstream of Daecheong Dam has continuously degraded due to the dam construction and mass collection of gravel. The mass collection of gravel was the main cause of riverbed change. It was found that about 76% of all riverbed degradation was caused by the mass collection of gravel.

Long-term Riverbed Change Analysis of Climate Scenario in Nakdong River using GSTARS Model (GSTARS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에서의 기후시나리오에 대한 장기하상변동 분석)

  • Lee, Jong Mun;Ahn, Jungkyu;Kim, Young Do;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62-62
    • /
    • 2016
  • 대하천에서의 하도정비 및 보 신설 후 다양한 하천환경변화가 예상됨에 따라 각종 변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현상들을 예측하고 환경변화에 의한 재난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수립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천에서의 하상변동은 경우에 따라 홍수위 상승, 저수 기능 감퇴, 용수와 취수 방해, 유사에 의한 오염원 확산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패턴의 변화로 하천 내 수리적 요소가 변화되고 그로인해 발생하는 하상 변동의 예측이 필요하다. 만일 유역의 특성이 유지된다면 하천의 동적평형상태인 정비 이전의 하천으로 돌아가려고 할 것이다. 하천이 준설로 넓어지고 깊어진 상태로 이전의 동적인 평형상태로 돌아가려고 하도가 좁아지고 얕아질 것이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해 유역에서의 유량 및 유사량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하상변동모델과 기후변화를 연계하여 하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한 유량의 변화에 따른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장기간, 장구간에 걸친 하상변동 양상을 예측하였다. 준2차원 수치모형인 GSTARS를 이용하여 낙동강 상류에서 상주보 구간 사이의 기후변화 영향을 분석하고자 장기 기후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유사량 공식과 수류 튜브 개수에 따른 각각의 시나리오별 하상변동 양상을 예측하고 최심하상고, 횡방향에 따른 모의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Analysis of River Topography Change in Lower Watershed of Nam River Using GSTARS Model (GSTARS 모형을 이용한 남강하류의 하천지형변화 분석)

  • Cho, Bu Geon;Lee, Jong Mun;Jung, Woo Suk;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77-277
    • /
    • 2017
  • 하천은 하도상황의 변경, 토지이용의 변화, 골재채취, 댐과 저수지 건설 등에 의한 인위적인 요인과 대규모의 홍수, 홍수시에 발생되는 산사태와 같은 자연적인 요인에 의해 하천의 특성이 변화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기록적인 집중호우가 자주 발생하고, 탁수로 인한 피해가 심각해지면서 탁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및 적적한 관리, 저감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기후변화로 인해 하천 내 수리적인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침식으로 인한 제방파괴 및 시설물 파괴나 퇴사에 따른 하천의 유지관리비용 절감을 위한 최적의 하천 하상변동 예측 기술 개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강에 적합한 유사량 추정공식과 장, 단기 하상변동을 정량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국외에서 하도의 준 2차원적인 변화에 대한 적용성이 검증된 수치모형인 GSTARS를 이용하여 남강유역인 남강댐 하류 ~ 낙동강합류부 구간의 기후변화에 따른 유량의 변화에 따라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유사량 공식, 준 2차원 모형 활용시 사용하는 수류튜브의 개수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하천의 물리적 변화에 따른 흐름 및 하상변동을 예측하는 방법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n Analysis of Stream Bed Variation at the Down Stream Part of Ji-chun (지천 하류부의 하상변동 분석)

  • Choi Ho;Jung Jae Uk;Lim Chang Soo;Yoon Sei 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965-96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하상변동 예측모형 중에서 HEC-6와 GSTARS 모형을 선택하여 지천 하류부의 하상변동을 예측하고 실측치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구간은 지천하류부의 신지천교부터 상류쪽으로 1320m구간이다. 2003년 11월 7일에 하천측량을 실시하고 2004년 6월 24일과 2004년 9월 24일에 측량을 실시하였다. 하상재료의 구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2개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채가름 분석에 의해 입도분포 곡선을 작성하였다. 두 모형의 경계조건으로는 수위-유량자료와 유입 유사량 자료가 필요하므로 수위-유량 자료는 대상구간의 신지천교 구룡 수위표에서 얻었고, 유입 유사량은 Toffaleti공식, Meyer-Peter와 Muller공식, Ackers와 White공식 3가지 방법으로 산정하여 모형에 적용하였다. 모형의 적용결과 유입 유사량 산정공식 중에서 지천 하류부의 하상변동을 실측치와 가장 유사하게 예측한 공식은 Toffaleti 공식이었으며 최심부의 종방향 하상변동은 GSTARS 모형이 HEC-6 모형보다 실측치와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 PDF

Prediction of Change of River Change in Anyang Stream Associated with Dam Removal (안양천 보철거로 인한 하상변동 예측)

  • Kim, Ho-Jin;Jun, Kyung-Soo;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103-1107
    • /
    • 2005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3동에 위치한 안양대교보는 길이 40m, 높이 1.3m의 농업용수 취수를 위한 보였으나 도심화로 인하여 원기능을 상실하였다. 수차례에 걸친 개수와 러버보를 설치하는 등 개량하였으나 효능이 약화되어 철거계획이 수립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준 2차원 모형인 GSTARS 3.0 모형을 안양천에 적용하여 안양대교보 철거로 인한 하상변동을 모의하여 1차원 유사이동 모형인 HEC-6 모형과 비교하였다. 단면자료는 2000년에 측정된 자료로 구성하였고, 입력자료에 사용된 하상토 자료는 2005년 안양천에서 채취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유량자료는 2000년 6월부터 10월까지의 유량 관측치를 사용하였다. Meyer-peter와 Muller공식, Ackers 와 White 공식, 그리고 Yang공식의 세 가지 유사이송공식을 사용하여 각각의 공식을 사용하는 데 따른 계산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Sediment Properties and Long-term Bed Change of Munsancheon (문산천의 유사특성 및 장기하상변동 예측)

  • Lee, Jae-Geun;Ahn, Jae-Hy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3 no.2
    • /
    • pp.329-341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national river, Munsancheon, which is located in Paju-si, Gyeonggi-do. The sediment discharge of Munsancheon was directly measured to analyze the sediment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s were used in the numerical model to predict the long-term river bed variation. The flow-total sediment discharge relation was derived using the measured total sediment discharge,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total sediment discharge that was calculated using the existing prediction formula to derive a proper sediment discharge prediction method. In the actual measurements, the total annual sediment discharge was 5,478 ton/year, and the specific sediment discharge was 29.23 ton/$km^2$/year. The Ackers & White formula resulted in the values very close to the actual measurements. With the actual sediment discharge, geographical and hydrologic data as the input variables, HEC-6 and GSTARS model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HEC-6 model is suitable for the reliable prediction of the long-term river bed variation. Accordingly, the model was used for the long-term river bed variation prediction in this study. In the case of Munsancheon, deposition was continued in the downstream area and erosion occurred in the upstream area on the whole. It was expected that the stream would be stabilized in the river bed condition of 20 years later. The river bed variation was within 1 m, which was at the significance level. In the downstream area that is influenced by tide, however, the accumulation was continuously increasing within the section 2,000-7,000 m from the outlet. It seems that this should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the river management plans.

An Analysis of River-Bed Changes in the Daecheong Dam Downstream (대청댐 하류구간에 대한 하상변동 분석)

  • Jeong, Sang-Man;Choi, Kyu-Ho;Kim, Do-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96-1600
    • /
    • 2006
  • 자연적인 하천은 하도 상황의 변경, 유역 토지이용의 변화, 댐과 저수지, 하천 골재채취의 영향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하상변동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 대청댐 하류구간의 실측자료를 토대로 장기하상변동 모의를 하여 예측된 결과와 실측단면을 비교하였으며, 실측단면이 장기하상변동 모의결과보다 상당히 저하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금강의 측량자료를 수집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금강의 하상이 지속적으로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청댐 하류의 하상고는 대청댐 상류보다 저하폭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분석 결과 대청댐 건설로 인한 유사차단으로 인하여 대청댐 하류의 하상고는 지속적으로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주요원인으로 금강의 골재채취가 금강하류 하상변동에서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Long-term Riverbed Change Simulation and Analisys in the River (하천의 장기 지형변화 고찰 및 하상변동 모의)

  • Hwang, Soo Deok;Choi, Seon Ho;Lee, Sang Jin;Jang, Chang Lae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1 no.5
    • /
    • pp.1-6
    • /
    • 2013
  • Trying to estimate variations of the riverbed is basic and important for river management. When new dam constructed in upstream and a structure were planned, impact of the riverbed changes in downstream should be considered for stably maintained and sustained rivers in the future. In this study, long-term riverbed changes analyzed using aerial photographs in Naeseongcheon. Also applying one-dimensional numerical model, GSTARS analyzed the effects of bed deformation in critical points. Based on Changing Patterns of long-term riverbed, it is possible that after the dam was built, to explore how to manage Naeseongcheon.

Simulation of Riverbed Change for Runoff at Gumi Weir Downstream (구미보 하류에서의 유역유출량 변화에 따른 하상변동 연계모의)

  • Lee, Jong Mun;Jung, Woo Suk;Ahn, Jungkyu;Kim, Young Do;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8-48
    • /
    • 2018
  • 하천생태계가 호수나 습지생태계와 비교하여 갖는 가장 큰 특징은 '흐름'이 강하게 존재한다는 점이다. 댐과 보 등의 인공물은 하천 내 흐름을 변화시키고,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하류에서의 퇴적물 축적, 입자크기, 강의 경사 등의 환경적인 요인이 변화하게 된다. 낙동강 하류는 상류부에 설치되어 있는 안동, 임하, 합천, 밀양 및 남강댐 등 다목적댐과 그 사이에 설치된 보에 의해 지속적으로 하천 유량이 조절되고 있다. 댐/보와 하구둑이 연계된 정체성 조절하천 시스템인 낙동강의 경우, 기후변화와 그에 따른 강우패턴의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다기능보는 하천을 횡단하는 수공구조물로써 보의 수문운영 방식에 따라 유량이 변화하여 하상변동 및 유사이동 형태의 변화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른 유출량 변화와 하상변동을 연계하여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본 연구가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의 구미보 하류와 칠곡보 구간에서 미래기후시나리오를 예측하여 SWAT 모형에 적용하여 수문모의를 통한 유출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미래 유출량 분석결과를 하상변동 모델인 GSTARS의 입력자료로 적용하여 유출량 변화에 따른 하상변동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GSTARS 모델의 수류튜브와 유사량 공식을 적용하여 연구구간에서의 최심하상고 분석과 주요지점에서의 횡단면 사행분석을 수행하여 유출량 변화에 따른 하상의 변화와 그에 따른 수리계수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Physical Change in River by Small Dam Removal (보 철거에 의한 하천의 물리적 변화 연구)

  • Ko, Taek-Jo;Yoon, Byung-Man;Yu, Kwon-Kyu;Jun,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84-1088
    • /
    • 2007
  • 국내에서 농업용수 취수, 수위 유지 등의 목적으로 18,000 개의 크고 작은 보가 하천에 설치되어 있으나 농경지의 도시화, 비닐하우스 단지화 등 토지이용의 변화와 대형 저수지의 축조/양수장 설치 등에 따른 취수 시설물의 통합 및 보체의 노후화 등으로 매년 50-150개의 보가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여 용도 폐기되고 있다. 그러나 폐기된 보들이 철거 되지 않고 하천에 존치되어 하천생태통로의 단절, 수질 악화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야기되고 있다. 외국의 경우에는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기능을 상실한 보, 소형댐 등은 물론 일부 기능이 있는 하천횡단 시설물을 철거하여 하천환경복원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최근 들어 기능을 상실한 보나 소형 댐 등에 한하여 하천생태통로 및 생태환경 복원 차원에서 철거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실제 철거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체계적인 연구나 가이드라인 없이 지자체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보는 하천을 횡단하는 구조물로 보의 상류에 저류지가 형성되고 많은 양의 퇴적물이 쌓여 그에 따른 하상의 단차가 형성된다. 이런 보가 철거됨으로 인해 막대한 양의 유사가 이동하게 되고, 철거 형태에 따라 하상 침 퇴적이 발생하고 그 위치나 양에 따라 하천 형태가 변할 수 있다. 이런 변화를 예측하여 철거에 따른 문제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고, 철거에 대한 가이드라인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강 제 1지류인 곡릉천에 위치한 곡릉2보의 철거에 따른 하상 변동, 하천 형태 변화 등 물리적 영향을 조사하고, 보 철거 후 장 단기적인 하도 및 하상 변동 등을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 보인 곡릉2보의 철거에 따른 모니터링 결과, 하상의 종단 변화는 그리 크게 생기지 않았으며 보 상 하류 횡단면에서 변화가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상 재료의 부분적 변화도 발견되었으나, 전반적인 하천의 변화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