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SR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7초

생리신호 측정에 의한 감성평가

  • 황민철;박재희;박수찬;김철중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5-39
    • /
    • 1995
  • 인간의 감성평가 기술은 제품설계에 필요한 중요한 기술로 인식되고있다. 정량적이고 객 관적인 감성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생리신호가 인간감성에 따라 변화한 다는 가정아래 인간 오감(청각, 시각, 후각, 미각, 촉각)에 대한 생리신호 (EEG, ECG, GSR, FEMG)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감각종류로 긍정적 감성과 부정적 감성을 유발할 4개의 자극이 피실험자에게 제시되었고, 모든 생리신호를 동기화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신호는 통계처리하여 주관적으로 평가한 감성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고 긍정적인 감성과 부정적인 감성에 따른 신호변화의 특성을 파악하여 감 성평가를 위한 상관성을 관찰했다.

  • PDF

가상현실환경에서 멀미 측정을 위한 생리신호 분석 (Practical BioSignal analysis for Nausea detection in VR environment)

  • Park, M.J.;Kim, H.T.;Park, K.S.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7-268
    • /
    • 2002
  • We developed nausea, caused by disorder of autonomic nervous system, detection system using bio-signal analysi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in virtual reality enironment. We used 16 bio-signals, 9 EEGs, EOG, ECG, SKT, PPG, GSR, RSP, EGC, which has own analysis methods. We estimated nausea level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 PDF

자율신경계 반응 패턴 분석을 통한 2차원 감성 분류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Classification of 2 dimension Emotion by Pattern analysis of Autonomic response)

  • 황민철;임평규;김혜진;김세영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9-282
    • /
    • 2002
  • 자율신경계 반응은 인간의 각성을 측정하는 변수가 될 수 있다(황민철 외, 2001). 본 연구에서는 자율신경계 반응만으로 인간의 2차원 감성 분류를 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5명의 피험자에게 대중가요나 효과음 등과 같은 다양한 청각자극을 제시하여 감성을 유발한 후,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3가지 생리신호(GSR, SKT, PPG)를 통해 측정하여 반응 패턴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자율신경계 반응 패턴은 각성/이완뿐만 아니라 쾌/불쾌간 감성 구분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IAPS 사진을 이용한 이차원 공간의 감성 변화 평가 (Evaluation of Two-Dimensional Space of Human Sensibility Mutation by IAPS)

  • 민병찬;정순철;강인형;최지연;김철중
    • 감성과학
    • /
    • 제6권2호
    • /
    • pp.21-28
    • /
    • 2003
  • 본 연구는 국제정서사진체계(IAPS) 사진 중 이차원 감성을 잘 표현한다고 판단되는 9장의 사진을 선정하고, 이 사진 자극으로 유발된 감성의 변화를 심리ㆍ생리적으로 측정한 후 이차원 감성의 한 축인 각성/이완의 감성변화를 심리ㆍ생리적으로 변별 가능한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각성/이완의 감성변화를 대변하는 Eelectrocardiogram (ECG), Galvanic Skin Response (GSR), Skin Temperature, Respiration 등의 자율신경계 반응을 측정하였다. 자극 제시 후에 주관적 평가를 실시한 바, 각성 〉 불쾌/각성 및 쾌/각성 〉 중립 〉 이완 순서의 4단계로 각성도 감성을 구분할 수 있었다 자율신경계 반응은 각성, 불쾌/각성, 쾌/각성 〉 중립 〉 이완 순서의 3단계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이차원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9장의 사진을 IAPS로부터 선정하였으며, 이차원 감성의 한 축인 각성/이완의 감성 변화를 심리ㆍ생리적평가로부터 변별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관객의 생체신호 분석을 통한 감성 변화 (Measurement of Emotional Transition Using Physiological Signals of Audiences)

  • 김완석;함준석;손충연;윤재선;임찬;고일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68-176
    • /
    • 2010
  • 영상을 주의 깊게 시청하는 관객은 보이는 영상의 성격에 따라 여러 심적 변화를 경험한다. 기쁨, 슬픔, 놀람 등 관객이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감정 상태는 심리학에서 많이 활용되는 제임스 러셀(James Russell)이 정의한 감정 원형모형을 통해 정리된다. 관객이 느낄 수 있는 감정들 중에서도 특히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가 언급한 언캐니(uncanny)는 기존의 명료한 정서적 개념들의 틈새에 존재하는 첨예한 중간자로 대변된다. 언캐니 현상은 비윤리적으로 인식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관객이 보편적으로 느끼는 불쾌한 부분이 쾌로 수용되는 상태, 즉 사회적 금기에 대해 긍정적인 상태이기 때문에 이는 사회윤리적인 해석과 더불어 명확한 수리적 분석이 후행될 때 비로소 첨예한 심리상태로서 분석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감정 원형모형과 언캐니 상태를 분석하고, 관객의 언캐니 상태에 관한 가설을 설립하여 ECG(Electronic Cardiogram)와 GSR(Galvanic Skin Response) 신호 측청과 같은 생체신호 실험을 수치화한 결과를 러셀의 감정 원형모형을 기반으로 분포, 거리, 시간 등을 분석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선천성 치조점막 유착에 대한 문헌고찰 및 증례보고 -증례보고- (Isolated Congenital Alveolar Synechiae: Review of Literature and Case Report -A Case Report-)

  • 김성민;;김지혁;박영욱;권광준;이종호;이석근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2-26
    • /
    • 2007
  • 상악과 하악이 선천적으로 붙어서 태어나는 선천성 유합증은 드문 선천성 기형으로 단순히 점막이 붙은 점막유합증에서 악골이 붙은 골유합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중 상악골과 하악골의 골자체가 붙는 골유합증은 아주 드물어서 현재까지 26증례만 보고되고 있는데, 보고된 대부분의 증례는 편측에만 발생하는 불완전형으로 알려져 있다. 7세 된 여아환자가 인디아의 GSR 병원에 입이 벌어지지 않는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는데 환아의 턱은 완전히 움직이지 않았으며, 2-3 mm 정도 벌어지는 앞니부위에서는 2.5 cm 폭경의 3.0 mm 두께의 단단한 치조점막이 관찰되었다. 전기메스로 전방부의 부착성 섬유밴드를 잘라준 후 즉각적인 개구정도는 16 mm 정도까지 가능하여 구강으로의 기관삽관이 가능하였다. 삽관후 양쪽 후방부 협측점막의 두꺼운 밴드들을 모두 제거하여 개구량을 33 mm까지 증진시킨 후 수술을 종결하였다. 환아의 보호자에게 거즈 블록과 설압자를 이용하여 개구 연습을 능동적으로 시키도록 강조하여 교육하였으며 술후 16개월 경과시까지 특별한 합병증이나 개구량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독립적으로 발생한 선천성 치조점막 유합증 환자에서 비정상적으로 커져있는 과두와 설골이 관찰되었는데, 설-하악 구조의 비정상적인 발육에 기인하여 지속적인 비정상적 운동으로 인한 이차적인 치은과 협점막의 섬유성 부착이 생긴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마취과와의 효율적인 협진으로 기관절개술 등의 부가적인 마취방법 없이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었다.

  • PDF

연령증가에 따른 향의 평가 (Evaluation of the Odor with Aging)

  • 강인형;민병찬;전광진;김철중
    • 감성과학
    • /
    • 제5권2호
    • /
    • pp.1-9
    • /
    • 2002
  • 향-냄새에 대한 감수성은 종족, 성에 따라 상이하며 냄새에 대한 인지력과 식별력은 가령화에 따라 쇠퇴한다고 한다. 가령화에 따른 향의 평가에 관한 선행보고들은 그 대상이 유아에서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제시 향에 단순 알코올이나 단순 초산염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냄새 인지력이나 식별력 둥 지성적인 측면에서의 평가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후각기능이 정상인 19~68세 50명을 대상으로 6종의 천연향에 대해 안정/폐안 상태에서 ECG, 피부저항, 그리고 주관평가를 실시하여 서로 다른 연령층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20대, 40대의 청\ulcorner중년층은 lemon을, 60대는 Lavender를 긍정적으로 반응\ulcorner평가하였다. 특히 40대 그룹은 평균 RR 간격, 심박수, 피부저항, 주관평가의 결과에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여 후각기능이 가장 성숙한 연령대임이 확인되었다. 제시 향에 대해 연령별로 상이하게 반응/평가한 본 연구결과는 연령별로 차별화된 향장품 개발뿐만 아니라 인공냄새 그리고 맛의 개발에도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온열 환경 반응에 대한 사상체질간 차이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Individual Difference in Reaction to Mild Environment in Adult Males - On the Perspective of Sasang Constitution)

  • 김선호;이은선;김지은;박경모;이주연;최호선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3-133
    • /
    • 2005
  • Objective : We investigated the sasang constitutional difference of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 in various thermal environmental conditions. Methods: Among 210 volunteers, 30 healthy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the QSCC II (a questionnaire for constitutional discrimination) and the manual examination of a specialist in sasang constitution. Subjects consisted of 10 each Soyang(少陽), Soeum(少陰), and Taeum(太陽). Experimental environments were set by six different conditions to be $23^{\circ}C,\;50\%\;RH,\;0.lm/s;\;25^{\circ}C,\;25\%\;RH,\;0.lm/s;\;25^{\circ}C,\;50\%\;RH,\;0.lm/s;\;25^{\circ}C,\;50\%\;RH,\;0.4m/s;\;25^{\circ}C,\;75\%\;RH,\;0.1m/s;\;and\;27^{\circ}C,\;50\%\;RH,\;0.1m\s$ (respectively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wind velocity). Skin temperature, core temperature,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galvanic skin response (GSR) were measured for each subject Additionally, subjects were asked about comfort through the questionnaire. Results: From the viewpoint of external temperature sensibility, in all experimental environments, generally the Taeum type feels hotter and the Soeum feels colder than other types. In relative comfort, Soeum types were most sensitive to wind velocity change. From the viewpoint of body temperature, Taeum type was lower and Soyang was higher than other types. The measurements of HRV and GSR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Conclusion : The four sasang constitution types showed different responses to various thermal environmental conditions. Accordingly, our research could provide basic data for building the optimal thermal conditions for individuals based on sasang constitution. Consequently, it will help to build a healthy environment for everyday life.

  • PDF

공포영상 및 소음자극에 의한 스트레스의 전기피부반응, 심박변이도 및 뇌파 해석 (GSR, HRV and EEG Analysis of Stress caused by Horror Image and Noise Stimulation)

  • 김민수;조영창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81-387
    • /
    • 2017
  •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는 많은 직업, 생활환경 및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는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스트레스 관리는 스트레스가 질병을 일으키기 시작하기 훨씬 전에 시작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 및 소음 자극 시 발생하는 전기피부반응도, 심전도 및 뇌파를 측정하여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GRS 진폭은 스트레스 상황이 안정 상태(baseline)보다 27.9%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극 후 baseline의 응답시간은 스트레스 상황보다 71.6% 이상 시간이 더 길었다. 심박변이도에서 스트레스 응답 특성은 RMSSD의 변화율이 16.4% 차이가 났으며, HF power의 변화율은 29.7% 차이를 보였다. 뇌파는 스트레스 자극 시 주파수 대역이 ${\theta}$파 대역으로 점점 변함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영상자극 및 소음자극이 스트레스와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객관적지표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로봇활용 공동 주의 훈련자극에 대한 사용자 반응상태를 추정하는 프로세스 (The process of estimating user response to training stimuli of joint attention using a robot)

  • 김다영;윤상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427-1434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성 상호작용 훈련자극에 반응하는 아동의 행동 및 정서적 긴장상태를 연산하는 심리반응 상태 추정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행동 중재에 필요한 훈련자극으로는 공동 주의(Joint attention) 사회성 훈련을 채택하고, 훈련프로토콜은 불연속 개별시도 훈련(DTT: Discrete trial training)기법이 적용된다. 공동 주의 훈련에서 사용자의 집중과 긴장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3가지 훈련자극용 콘텐츠를 구성한 후, 캐릭터 형태의 탁상 로봇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훈련자극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 다음, 비전 기반 헤드 포즈 인식기와 기하학 연산모델로 사용자 응시반응을 추정하고, PPG와 GSR의 생체신호를 심박변이도와 히스토그램 기법으로 신경계 반응을 분석한다. 로봇을 활용한 실험에서 공동 주의에 대한 각 콘텐츠 별 훈련에 사용자의 심리반응을 정량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