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SI index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초

GSI 지수의 변형률 연화를 고려한 원형터널의 탄소성 해석 (Elasto-plastic Analysis of Circular Tunnel with Consideration of Strain-softening of GSI Index)

  • 이연규;박경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0권1호
    • /
    • pp.49-57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정수압 지압 조건의 암반에 굴착되는 원형 터널의 탄소성 거동 해석을 위해 GSI 지수의 변형률연화를 고려한 탄소성 해석법이 제안되었고, 그 적용성이 검토되었다. 제안된 수치해석법은 Lee & Pietruszczak(2008)의 탄소성 해석방법을 수정하여 개발되었다. 터널 주변 암반에서는 발파와 굴착에 의한 암반의 손상으로 GSI 지수의 저하가 야기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GSI 지수의 변형률연화 개념을 도입하였다. 일반화된 Hoek-Brown 식의 강도정수들은 GSI 값을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계산할 수 있으므로 GSI 지수의 변형률연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이 강도정수들의 변형률연화가 해석에 반영되도록 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적합성을 검토하기위하여 여러 해석조건에서 원형터널의 탄소성 해를 구하고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국내에서 채집된 뱀장어 Anguilla japonica (Anguillidae)의 Silvering index와 생식소 발달 단계가 서로 다른 Pseudo-silver eels의 출현 (The Occurrence of Pseudo-silver eels with Different Silvering Index and Gonadal Development Stages in Anguilla japonica (Anguillidae) from Korean waters)

  • 홍양기;송미영;박희원;강정하;이완옥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4-100
    • /
    • 2017
  • 2014년 9월부터 2015년 8월까지 국내 9개 지점에서 채집된 Anguilla japonica 454개체의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silvering index (SI) 구분과 GSI의 차이가 큰 pseudo-silver eel이 소양호에서 2개체(PS1~PS2)와 금강하구에서 1개체(PS3)가 확인되었다. Pseudo-silver eel은 외부형태 기준으로는 S2 단계였으나, GSI, 소화관지수 (Gut index) 및 안경지수 (Eye index)에서는 모두 yellow eel 단계인 Y1 및 Y2였고, 생식소발달단계와 난경에서도 Y2 단계였다.

한국산 버들치와 버들개의 생식 주기에 관한 연구 (Reproductive Cycles of Moroco oxycephalus and M. lagowskii in Korea)

  • 강영진;민미숙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7-125
    • /
    • 1999
  • 한국산 담수어류인 버들치와 버들개의 생식주기 연구를 위해 버들치 1개 지역, 버들개 2개 지역에서 1998년 4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채집된 암, 수 개체의 생식소중량지수 (GSI: gonado-somatic index)의 변화 주기와 각 발달 시기별 생식소의 조직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 종은 거의 생식소 발달 단계상의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이를 제 1단계 (방출기), 제 2단계 (미숙기), 제 3단계(초기 발달기), 제 4단계(후기 발달기), 그리고 제 5단계(완숙기)의 5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1998년 4월 중반부터 6월까지의 제 1단계 중, 두 종의 생식소는 현저한 무게감소를 보여 제 2단계인 7월 말에 이르러 최소값의 GSI를 기록하였다. 1998년 9월 이후 이후 두 종의 난소와 청소는 난자형성과정과 정자형성과정의 발달로 서서히 비대해져 GSI의 증가곡선을 보였으나 동절기인 12월 이후부터의 낮은 증가율로 인해 거의 일정한 상태의 GSI값이 1999년 2월까지 유지되었다(제 4단계). 1999년 3월 이후의 본격적인 난황축적과정과 정자형성파정으로 인해 GSI는 다시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4월 경 완전히 성숙된 난소와 정소가 되었다. 일년간 조사된 GSI값의 변화와 조직학적 결과로 확인된 버들치와 버들개의 산란기는 4월 중순~5월 중순이었다.

  • PDF

한국산개구리(Rana coreana) 정소주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sticular Cycle of Korean Brown Frog (Rana coreana))

  • 신정민;고선근
    • 환경생물
    • /
    • 제32권2호
    • /
    • pp.153-158
    • /
    • 2014
  • 한국산개구리 (Rana coreana)의 정소주기를 파악하기 위해 수컷 성체를 대상으로 gonadosomatic index (GSI)와 정소 내 생식세포의 변화를 연중 조사하였다. 정소의 세정관내 정자형성은 8월부터 시작되어져 9월의 정소에서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이 시기에 GSI의 값이 가장 컸고 세정관의 단면적도 가장 넓게 나타났다. 2월의 정소에서는 정자배출 후 단계의 세정관들이 출현하였으며 이후 3월~7월까지 일정기간동안 정자형성이 정지되었고 GSI와 세정관의 단면적도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본 결과들로 보아 한국산개구리 수컷의 GSI는 7월에서 8월 사이에 유의하게 변화했고 정자형성과정이 불연속적으로 진행되는 정소주기를 나타내며 번식기는 2월로 확인되었다.

두꺼비(Bufo gargarizans) 정소주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sticular Cycle of Asian Toad (Bufo gargarizans))

  • 박세화;고선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25-532
    • /
    • 2015
  • 두꺼비(Bufo gargarizans)의 정소주기를 파악하기 위해 2012년 3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전라북도 정읍시 일대에서 채집한 수컷 성체를 대상으로 gonadosomatic index(GSI) 및 정소 내 생식세포의 변화를 연중 조사하였다. 세정관 내 정자형성은 4월부터 시작되어져 7월에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이 시기에 GSI 값이 가장 컸고 세정관 단면적도 가장 넓게 나타났다. 2월부터는 정자배출 후 단계의 세정관이 출현하기 시작하여 3월에 가장 많이 존재하였고 이 시기에 제1 정원세포가 나타났으며 GSI와 세정관 단면적도 최저치를 나타내어 정자형성은 GSI 및 세정관 변화와 일치하는 잠재적 연속형으로 진행되었다. 본 결과들로 보아 두꺼비 수컷의 정소주기 중 정자형성은 4월부터 7월에 활발하게 진행되며 번식기는 2월에서 3월로 확인되었다.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의 생식생물학적 연구 (Reproductive Biology of the Slimy, Leiognathus nuchalis(Teleostei: Leiognathidae))

  • 이정식;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2-202
    • /
    • 2000
  • 주둥치의 암 수 성비는 1.81 : 1로 암컷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난모세포 발달양식은 난군동기발달형에 속하며, 정소 조직상은 정원세포 국재형에 속한다. 암 수 모두 첫 번째 군 성숙에 도달하는 크기는 전장 7.5 cm로 조사되었다. 암컷의 생식소중량지수(GSI)는 7월에 12.83으로 가장 높았고, 9월에는 1.08로 가장 낮았다. 수컷의 GSI는 6월에 19.0으로 가장 높았고, 10월에 0.24로 가장 낮았다. 암컷의 간중량지수(HSI)는 GSI와 같은 경향의 변화를 보였다. 가슴반점지수(TSI)는 생식소의 성숙 및 완숙시기인 5월부터 7월 사이에는 낮은 값을 보였다. 암컷의 생식주기는 성장기 (3~5월), 성숙기(5~6월), 완숙 및 산란기 (6~8월), 회복기 (8~11월) 그리고 휴지기 (11~3월)로 구분할 수 있었다. 수컷의 생식주기는 분열증식 및 성장기 (1~4월), 성숙기 (4~5월), 완숙 및 방정기(6~8월), 회복기 (8~10월) 그리고 휴지기(10~12월)로 구분할 수 있었다.

  • PDF

왜몰개, Aphyocypris chinensis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Venus Fish, Aphycypris chinensis)

  • 이성규;최신석;염동혁
    • 생태와환경
    • /
    • 제33권4호통권92호
    • /
    • pp.395-404
    • /
    • 2000
  • 1997년 3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모세올 지역의 농수로에서 채집한 왜몰개, Aphyocypris chinensis를 대상으로 생식생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연간 생식소숙도지수(GSI), 간숙도지수(HSI), 난경조성과 생식소 발달과정 및 다른 번식특성들을 조사하였다. GSI 변화, 생식소의 발달과정 및 난경조성에 대한 분석결과, 1${\sim}$2월은 정체기, 3${\sim}$5월은 2차 성장기 및 성숙기, 6월에서 7월 사이는 완숙 및 산란기, 8${\sim}$9월은 퇴화 및 휴지기, 10${\sim}$12월은 1차 성장기로 나타낼 수 있었다. HSI는 연간 2개의 피크를 나타냈으며 GSI의 변화와는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조사지점에서의 왜몰개 암컷의 포란수는 체중과 1차 함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r$^{2}$ =0.91, n = 347), 성비는 1.4 : 1 (암컷 : 수컷) 이었다. 생식가능한 최소 체장(fork length) 범위는 암컷에서는 38 mm, 수컷에서는 33mm로 조사되었다.

  • PDF

붉은쏨뱅이(Sebastiscus tertius)의 생식 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Red Marbled Rockfish Sebastiscus tertius)

  • 임상구;김광수;김철원;김정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01-708
    • /
    • 2011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reductive cycle of the red marbled rockfish Sebastiscus tertius. The analysis was based on annual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GSI), the hepatosomatic index (HSI), histology of the gonadal structure, and plasma sex steroid hormone levels of adult fish from April 1997 to April 1998. GSI of females began to increase in February and peaked ($10.8{\pm}2.72$) in May. HIS levels ($3.41{\pm}0.49$) peaked in February and elevated plasma steroid hormones ($1.47{\pm}0.75$ ng/mL for estradiol-$17{\beta}$ ($E_2$) and $230.7{\pm}27.6$ pg/mL for testosterone (T)) were observed in April. However, in male fish, GSI levels started to increase in August and remained high until November ($0.21{\pm}0.05$). T levels were was also elevated in August and peaked in October ($188.1{\pm}43.5$ pg/mL) and November ($186.8{\pm}28.0$ pg/mL), but started to decline 1 month than the GSI.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male ovoviviparious periods span from April to June and amle mating periods occur from November to February.

Temporal Variation in the Reproductive Effort and Tissue Biochemical Composition in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a Sand Flat on the East Coast of Jeju Island Korea

  • Ngo, Thao T.T.;Yang, Hyun-Sung;Choi, Kwang-Sik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0권1호
    • /
    • pp.15-22
    • /
    • 2018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emporal variation in the reproductive effort and biochemical contents in adult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at Shi-Heung-Ri beach on the east coast of Jeju Island. Gonad-somatic index (GSI), a ratio of the egg mass to the total biomass determined using ELISA increased dramatically from late May to June (7.1% to 19.5%). In mid-July, GSI dropped to 15.1%, indicating spawning on a small scale during this period. GSI also declined dramatically from late August (15.5%) to September (4.3%), suggesting that massive spawning occurred during this period.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lam size and potential fecundity, while potential fecundity ranged between 1.19-8.40 million eggs/clam. Total proteins and lipids in the tissue increased from late spring to mid-summer, coinciding with an increase in GSI. Protein, lipid and carbohydrate contents in the tissue were lowest in January, indicating that clams were suffering from poor nutritional circumstances, which may be associated with poor food supply from the environment. Monthly increase and/or decrease in the body weight were closely related to gonad maturation and subsequent spawning, which was also linked to temporal changes in the contents of protein, lipid and carbohydrates in the tissue.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의 생식년주기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Bande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 임상구;한창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23-833
    • /
    • 1997
  •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의 명확한 생식년주기를 밝히기 위하여, 본 종을 1992년 5월부터 1993년 6월까지 전라남도 영산강 상류로부터 채집하여 암수의 GSI, HSI, 비만도, 난모세포 발달 단계의 분포빈도, 그리고 생식소와 간의 조직학적인 주년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하여 생식년주기를 다음과 같은 5단계로 구분 할 수 있었다. 1) 성장기 (4월$\~$5월초): 암컷의 GSI값이 증가하고 주변인기 난모세포들이 점진적으로 성장하였으며, 수컷의 세정관 상피에서는 정원세포들이 활발히 분화되기 시작하였다. 2) 성숙기 (5월$\~$6월초): 암수 모두 GSI가 빠르게 증가하고 여러 단계의 난모세포들이 관찰되었으며, 정소 내에는 정자 형성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3) 성숙 및 산란기 (6월$\~$8월): 암컷의 GSI는 높은 값을 유지하였고, 난모세포들은 많은 양의 난황을 축적하였으며, 수컷의 세정관에는 대부분 정자로 채워져 있었다. 4) 퇴화기 (9월$\~$11월): 암수 GSI는 감소되고, 난소 내에는 대부분 주변인기 세포들로 채워져 있고, 간세포에는 지방구들이 많이 축적되었다. 5) 휴지기 (12월$\~$다음해 3월): 암수 GSI는 낮은 값을 유지하며, 난소 내의 주변인기 세포의 증가와 정자 형성은 보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