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SH

검색결과 1,273건 처리시간 0.038초

랫드 간세포 일차배양에서 양파 추출물이 수은에 의해 유도된 독성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nion Extracts on Mercury-Induced Toxicity and Lipid Peroxidation in Rat Hepatocyte Primary Culture)

  • 임태진;임상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6-15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랫드 간세포 일차배양에서 양파추출물이 수은에 의해 유발된 세포독성,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수은 농도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0, 1, 5, 10, 30 및 50 ppm의 다양한 농도의 $HgCl_2$로 6시간 동안 간세포를 일차배양하였다. 간세포 독성과 생존율은 배양액의 GOT와 LDH 활성 및 MTT 값으로 결정하였고, 지질과산화는 TBARS 농도로 측정하였다. 항산화에 미치는 효과는 catalase, GSH-Px, GSH-Rd 활성 및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으로 결정하였다. 10 ppm 이상의 $HgCl_2$ 농도는 GOT 활성을 증가시켰고 %MTT 감소를 현저히 억제시켰으며 TBARS 농도를 증가시켰다. 또한 30 ppm 이상의 $HgCl_2$ 농도는 LDH 활성을 증가시켜 수은이 농도 의존적으로 간세포 손상과 지질과산화를 촉진시켰다. 6시간 동안 30 ppm 농도의 $HgCl_2$, 처리는 간세포의 catalase, GSH-Px 및 GSH-Rd 활성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수은 독성에 대한 양파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30 ppm의 수은 존재하에 0, 0.01, 0.05, 0.1 및 0.3 mg/ml의 다양한 농도의 양파추출물로 6시간 동안 간세포를 일차배양하였다. 0.05 mg/ml이상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30 ppm 농도의 수은에 의해 증가된 GOT 활성을 감소시켰으며 MTT 감소를 증가시켰다. 또한 0.01 mg/ml 이상 농도의 양파추출물은 수은에 의해 증가된 LDH 활성과 TBARS 농도를 감소시켜 양파추출물이 수은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과 지질과산화를 억제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0.05 mg/ml와 0.01 mg/ml 이상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수은에 의해 각각 억제된 catalase와 GSH-Px 활성을 증가시켰으나 GSH-Rd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양파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증가하여 5 mg/ml 농도의 양파추출물은 pyrogallol 용액의 흡광도 감소를 100%로 기준하였을 때 93% 이상의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간세포 일차배양에서 수은은 간독성 증가, 간세포 생존율 감소, 지질과산화 촉진 및 catalase, GSH-Px, GSH-Rd 등의 항산화효소 활성 감소를 유발시켰으며, 양파추출물은 catalase와 GSH-Px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free radical을 소거시켜 수은에 의해 유발된 독성 및 지질과산화를 억제함으로써 항산화 및 간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식이 Selenium 함량이 납중독 흰쥐 간조직의 항산화계와 세포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elenium Levels on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and Oxidative Damage of Liver Tissue in Lead Administered Rats)

  • 임정교;이순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59-267
    • /
    • 2001
  • 납중독에 따른 식이내 Se 함량이 간조직의 산화적 손상을 방어할 수 있는 가를 관찰하기 위해 140g 내외의 흰쥐 Sprague-Dawley종 수컷을 정상군과 식이 내에 납 함량을 2,000 ppm 투여한 납투여 실험군으로 나누고 다시 식이내 Se 수준에 따라 0 ppm(Pb0군), 0.5 ppm(PbS군), 1.0 ppm(PbSS군) 식이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한 후 간장 중 SOD. GSH-Px, GST 등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측정하고, GSH 및 비타민 E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간세포의 소기관을 관찰하였다. 1. 간장 중 SOD는 Pb0군이 다른 군에 비해 다소 높았다. GSH-Px 활성은 Pb0군은 정상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나 PbS군과 PbSS군간은 Pb0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GST활성은 Pb0군만 정상군에 비해 감소되었고 PbS, PbSS,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2. GSH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Pb0군에서 낮았으나 정상군과 PbS. PbSS군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GSSG는 GSH와 반대로 Pb0군에서 증가되었으며 GSH/GSSG는 GSH함량과 같은 경향이었다. 또한 간조직 중의 비타민 E함량은 Pb0군은 정상군에 비해 약 50% 정도의 수준이었고 PbSS군과 PbS군은 Pb0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3.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는 RER의 감소, 라이소솜의 증가, 미토콘드리아의 종창 등을 나타내었는데 그 정도는 PbSS, PbS, Pb0군 순으로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식이 중 Se의 다량 첨가는 납중독으로 인한 간조직의 항산화계를 강화시키고 세포 소기관들의 산화적 손상을 현저하게 완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Reduced Glutathione 이 X-선전신조사(線全身照射)를 입은 마우스 십이지장(十二指腸)의 NP-SH, NP-SS 및 산소소비량(酸素消費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Reduced Glutathione on Non-Protein Sulfhydryl, Non-Protein Disulfide and Oxygen Consumption Rate of Mouse Duodenum Following Whole Body X-Irradiation)

  • 이중길;주영은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5권2호
    • /
    • pp.55-62
    • /
    • 1971
  • In an attempt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s of whole body X-irradiation on the levels of non-protein sulfhydryl (NP-SH), non-protein disulfide (NP-SS) and oxygen consumption rate $(QO_2)$ of the mouse duodenum, and to clarify the possible radioprotective action of reduced glutathione (GSH), a whole body X-irradiation of 1,000r was given to albino mouse either singularly or immediately after injecting GSH intraperitoneally to mouse 1 mg per gm of body weight. NP-SH was measured by Ellman's method, NP-SS was measured by the electrolytic reduction method described by Dohan and Woodward, and $(QO_2)$ by the Warburg's standard manometric metho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t 1, 6, 12 and 24 hours post-irradiation, and the comparison was made with the control. The results thu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omparing with the intrinsic NP-SH level of $3.31{\pm}0.27{\mu}\;mol/gm$ wet weight in the duodenum of the normal mouse, either whale body X-irradiation or injection of GSH alone produced no significant change in NP-SH from the normal. However, when GSH was injected prior to X-irradiation, markedly elevated NP-SH levels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entire experiment with the highest value of $4.70{\pm}0.10$ at 6 experimental hours. 2) The normal value of NP-SS in the mouse duodenum was $1.57{\pm}0.17{\mu}\;mol/gm$ wet weight, while in the group where injection of GSH and X-irradiation were combined, NP-SS increased to $2.36{\pm}0.33$ at 12 hours and $2.15{\pm}0.53$ at 24 hours, showing the intermediate value between the GSH injection group and X·irradiation group. 3) The normal value of $(QO_2)$ was $4.16{\pm}0.73{\mu}l\;O_2/hr./gm$ D.W., and no noticeable change was observed comparing with the GSH injection group. However, in the group where X·irradiation alone was given, $(QO_2)$ of the duodenum increased significantly throughout the entire experiment with the highest value of $6.35{\pm}1.07$ at 6 experimental hours. When GSH was injected before X-irradiation was given, the levels of $(QO_2)$ were in the middle of the GSH injection group and X-irradiation group. 4)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GSH may be effective as a radioprotector in terms of NP-SH, NP-SS and $(QO_2)$ of the mouse duodenum.

  • PDF

치주질환 환자의 말초혈액내 glutathione peroxidase와 catalase의 활성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LTERATION OF GLUTATHIONE PEROXIDASE & CATALASE ACTIVITY IN PERIPHERAL BLOOD OF PERIODONTAL DISEASE PATIENTS)

  • 김병옥;김찬진;한경윤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529-538
    • /
    • 1995
  • It has been believed that the increased release of free oxygen radicals ($O_2^-,H_2O_2$, and $OH^-$) might be a factor in the pathogenesis of periodontal diseases. Antioxidant enzymes such as glutathione peroxidase(GSH-PX) and catalase can protect the tissue damage from the $H_2O_2$.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SH-PX and catalase activity in the blood plasma and red blood cells(RBCs) of the patients with periodontitis, 19 patients who had good general health, attachment loss more than 6 mm and bone loss were selected as periodontitis group, 7 patients who had severely inflamed gingiva were selected as gingivitis group, and 15 volunteers with good general and periodontal health were selected as normal group. 17 of 26 patients were performed scaling and root planing to reduce the gingival inflammation for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groups, and were selected as posttreatment group. After blood plasma and RBCs were collected and separated 1 ml of peripheral blood from each subject, GSH-PX activity in blood plasma and RBCs was measured by the same method that Stefan et al. did, and catalase activity in RBCs was measured by the same method that Beers et al. did. The difference of GSH-PX and catalase activity between normal,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groups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ANOVA with SPSS/PC+ program, and the difference betwee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groups was analyzed by Student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GSH-PX activity in blood plasma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ingivitis group($0.8683{\pm}0.0658$), periodontitis group($0.7130{\pm}0.1333$) than in the normal group($1.0241{\pm}0.0801$)(p<0.05), and GSH-PX activity in RBC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ingivitis groupt. $0.8156{\pm}0.1167$), periodontitis group($0.7533{\pm}0.1185$) than in the normal group($l.1963{\pm}0.2044$)(P<0.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 of GSH-PX activity in RBCs between the gingivitis group and periodontitis group(p>0.05). 2. Catalase activity in RBCs was siginficantly lower in the periodontitis group($117.34{\pm}35.01$) than in the normal group($l52.38{\pm}32.09$)(p<0.05). 3. GSH-PX activity in blood plasm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osttreatment groupe $1.0376{\pm}0.2820$) compared to the pretreatment group(0.7608 0.1600) (p<0.05), and GSH-PX activity in RB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osttreatment group($1.0421{\pm}0.2330$) compared to the pretreatment group($0.7728{\pm}0.1210$)(p<0.05). 4.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 of catalase activity in RBCs between the pretreatment group($112.04{\pm}43.65$) and posttreatment group($l33.41{\pm}39.16$)(p>0.05).The results, within the limits of the present experiment, suggest that the lowered activity of GSH-PX and catalase in blood plasma and RBCs may be related with periodontopathogenesis.

  • PDF

체외 배양시 생쥐난자의 성숙과 생존에 미치는 Selenium의 영향 (Effect of Selenium on Oocyte Maturation and Viability in vitro in Mouse)

  • 최은진;홍순갑;김해권;윤용달;이준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2호
    • /
    • pp.115-125
    • /
    • 2006
  • 본 실험은 생쥐 난자의 성숙과 생존에 미치는 selenium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난자의 성숙은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으며, 핵막 붕괴(germinal vesicle breakdown, GVBD)와 극체 형성(polar body formation, PB)은 체외 배양 시작 후 각각 2.5, 13시간에 확인하였다. 난자의 생존은 72 시간동안 체외 배양하면서 형태학적 차이로 정상 난자와 비정상 난자를 판별하였다. 또한 각 단계별로 수집된 난자의 glutathione(GSH) 함량은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glutathione assay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농도의 selenium($0.005\;{\mu}g/mL{\sim}0.5\;{\mu}g/mL$)은 핵막 붕괴율과 극체 형성률을 증가시켰지만, 고농도의 selenium($5\;{\mu}g/mL$)은 감소시켰다. 저농도의 selenium은 극체 형성 시기 난자의 생존율을 증가시켰지만, 고농도의 selenium은 대조군과 별 차이가 없었다. 저농도의 selenium은 난자내 GSH 함량을 높게 유지시켰지만, 고농도의 selenium은 GSH 함량을 감소시켰다. 또한 극체 형성 시기 난자내 GSH 함량은 핵막 붕괴 시기 난자에 비해 높았다. 본 실험으로 볼 때, 저농도의 selenium은 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oxidative stress에 의한 손상을 감소시킴으로써 난자의 질적 향상을 도우며, 성숙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저농도의 selenium은 난자내 GSH 함량을 증가시켜 극체 형성 난자의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십전대보탕의 항산화작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Antioxidant Aaction of Sibjeondaebo-tang)

  • 허준영;김병수;강정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56-362
    • /
    • 2003
  • In order to examin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JDBT(Sibjeondaebo-tang), the study was done through measurement of parameters such as LPO(lipidperoxidation), GSH(glutathione), SOD(superoxidation dismutase), catalase, GOT, GPT, ALP.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For the weight changes, the kidney and testis of group given SJDBT showed decrease in the weigh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left cerebrum, right cerebrum, cerebellum and liver of group given SJDBT showed increase. But the changes were not significant. The left cerebrum and right cerebrum of group given SJDB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ntent of LPO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in the activity of SOD and catalas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The cerebellum of group given SJDB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ntent of LPO and GSH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in the activity of SOD and catalas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For the changes of LPO, GSH in the liver, the group given SJDB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ntent of LPO and GSH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in the activity of catalas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For the changes of LPO in the kidney, the group given SJDB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ntent of LPO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the changes of LPO, GSH and the activity of SOD, catalase in the testis, the group given SJDB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ntent of LPO and GSH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in the activity of SOD and catalas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From above results, the antioxidant action of SJDBT is effective. And it is expected to be necessary to the study of the mechanism in the antioxidant of SJDBT.

양배추 유래의 글루타티온 전달효소의 기질 특이성 및 저해 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substrate specificity and inhibition effect of Brassica oleracea glutathione S-Transferase)

  • 박희중;이희진;공광훈
    • 분석과학
    • /
    • 제22권3호
    • /
    • pp.228-23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식물의 제초제 해독 기구를 알아보기 위해, 양배추 (Brassica oleracea)로 부터 글루타티온 전달효소를 정제하고 외래성 이물질에 대한 기질 특이성과 저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양배추로부터 DEAE-Sephacel 컬럼과 GSH-Sepharose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약 10%의 수율로 글루타티온 전달효소를 정제하였다. 정제된 효소에 대해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SDS-polyacrylamide 겔 전기영동으로 측정한 분자량은 23,000Da을 나타내었으며,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분자량은 48,000Da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정제된 양배추 글루타티온 전달효소는 소단위체의 분자량이 약 23,000Da의 동종이량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 효소의 저해제에 대한 효과를 조사한 결과, S-hexyl-GSH와 S-(2,4-dinitrophenyl)GSH에 의해 활성이 저해되었다. 양배추 글루타티온 전달효소의 기질특이성은 CDNB와 ETA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cumene hydroperoxide에 대한 GSH peroxidase 활성도 나타내었다.

고지방식이 비만마우스 모델에서 강지환(降脂丸)과 강지환(降脂丸)+가미소체환(加味消滯丸)의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개선효과 비교 (Comparison of Gangjihwan and Combination of Gangjihwan and Gamisochehwan in the Improvement Effect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a High Fat Diet-Fed NAFLD Mouse Model)

  • 장두현;정양삼;김종훈;김병출;석화준;유재상;구자룡;윤기현;조주흠;이혜림;노종성;윤호영;윤미정;신순식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67-176
    • /
    • 2014
  •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rovement effects of Gangjihwan (DF) and combination of Gangjihwan and Gamisochehwan (GSH)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a high fat diet-induced obese mouse model. Methods : Eight-week-old C57BL/6N mice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 normal lean group given a standard diet, an obese control group given a high fat diet, and atorvastatin, DF, and DF+GSH groups given a high fat diet with atorvastatin (10 mg/kg), DF (40 mg/kg), and DF+GSH (80 mg/kg), respectively. After 8 weeks of treatment, body weight gain, blood lipid markers, ALT concentrations, liver weight and histology were examined. Results : 1. Body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DF, DF+GSH and atorvastatin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The extent of decreases was eminent in DF+GSH group. 2. Circulating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were decreased in DF, DF+GSH and atorvastatin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The decreases were significant in DF+GSH and atorvastatin groups. 3. Liver weights were decreased in DF, DF+GSH and atorvastatin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In particular, liver weight was significantly reduced only in DF+GSH group. 4. Hepatic lipid accumul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DF, DF+GSH and atorvastatin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and the magnitude of which was more effective in DF+GSH group than in DF-only group. 5. Circulating ALT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in DF, DF+GSH and atorvastatin compared with control, but ALS leve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only in DF+GSH group. Conclusions :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F decreases body weight gain, improves blood lipid metabolism, and reduces liver weight and hepatic lipid accumulation,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addition, these effects were more effective in DF+GSH combination group than in DF-only group.

부추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지질과산화와 항산화방어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uchu (Allium tuberosum) on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송영선;정현실;노경희;조혜연;박지영;최춘연;권태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33-342
    • /
    • 2003
  • STZ(50mg/kg BW)을 대퇴부 근육에 주사하여 당뇨를 유발시킨 당뇨 흰쥐(Sprague Dawley, 수컷)에서 10% 부추 첨가식이가 혈액과 적혈구, 간조직의 지질과산화 정도와 항산화 효소계 활성 및 GSH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정상군, 당뇨대조군, 당뇨부추군의 3군 (n=10)으로 나누었으며 4주간 사육한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STZ로 유발된 당뇨대조군의 적혈구, 간과 LDL의 TBARS와 conjugated dienes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당뇨부추군에서는 적혈구의 conjugated dienes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간과 LDL의 TBARS 수준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다소 감소하여 정상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에서의 항산화 효소계 중 SOD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당뇨대조군에서 증가하였고, catalase 활성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부추를 섭취한 당뇨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GSH-px와 GSH-red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당뇨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당뇨부추군에서는 다소 증가하였다. 간의 GSH 함량은 대조군과 당뇨대조군에 비해 당뇨부추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1), 혈장의 GSH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당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GOT와 GPT 활성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당뇨대조군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당뇨부추군에서는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부추는 간의 항산화효소계를 활성화시키고 간조직의 GSH수준을 높게 유지하여 고혈당과 STZ로부터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지질과산화)를 해소함으로써 당뇨로 인한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식품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도 및 동맥경화지수를 낮추는 효과가 있고, HDL- 콜레스테롤 농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각된다. 7) 발병부위는 대부분 막성유리연의 중간부 및 전방부 1/3에서 발생하였고 수술 결과는 저류낭종 82례 중 25례(30.5%)에서만 낭종의 파열 없이 완전제거가 가능하였으며 유표피낭종 30례 중에서는 21례(70.0%)에서 완전제거가 가능했던 것으로 나타나 저류낭종이 유표피낭종에 비해 낭종을 파열시키지 않고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더욱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저류낭종의 경우 낭종의 절제가 어려운 경우 수술방법으로 조대술(marsupialization)을 시행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8) 수술 전 후의 음성만족도를 비교한 조사 결과 조사가 가능했던 82례 중 49례(52.0%)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고 답하여 성대 폴립수술 후의 만족도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14%, V. mimicus 10%, V. parahaemolyticus 4%, E. coli O157:H7 48%에서 증식되지 않았지만 S. typhimurium은 50%에서도 집락이 검출되었다. 젖산의 경우 V. vulnificus 2%, V. cholerae non-O1 3%, V. mimicus 4%, V. parahaemolyticus 3%, S. typhimurium 14%, E. coli O157:H7 17%에서 증식되지 않았다. 식초와 젖산은 낮은 농도에서 생선회 식중독 유발에 주 원인균이 되는 Vibrio 속의 생육을 억제하였고, S. typhimurium과 E. coli O157:H7의 생육은 비교적 약하게 나타났다.은 고농도로 갈수록 심한 영향을 미쳤으며 저 농도 에서도 폭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나타나는 SO$_2$의영향이

임상가를 위한 특집 3 - 치아우식증의 새로운 생체지표: nitric oxide와 glutathione (New biomarkers of dental caries: nitric oxide and glutathione)

  • 한동헌;김민지;전은주;김진범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0권9호
    • /
    • pp.558-565
    • /
    • 2012
  • Dental caries is multifactorial local disease which involves destruction of the hard tissues of the teeth by metabolities produces by microorganisms. Recently,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role of nitric oxide (NO) and glutathione (GSH) in caries incidenc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survey the studies reported the association among salivary NO, GSH and dental careis. Three studies reported the association between NO and dental caries. However, the results were contradictory. Only one study showed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GSH and dental caries. In Korea, NO showed negative association with Lactobacilli and GSH showed positive association with dental caries.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NO and GSH could be new biomarkers for dental caries. However, further study should b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