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SH(glutathione)

검색결과 925건 처리시간 0.02초

유채에서 황 공급수준에 따른 글루타치온 함량의 변화가 황산염 흡수 및 동화관련 효소활력에 미치는 영향 (Glutathione Concentration as Affected by Sulfate Supply Level and its Relationship with Sulfate Uptake and Assimilatory Enzymes Activity in Rape Plants)

  • 이노신;김태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5-24
    • /
    • 2011
  • 유채 (Brassica napus L.)에서 황 공급수준에 따른 글루타치온 함량의 변화가 황 흡수 및 동화관련 효소 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SO_4^{2-}$ 농도를 4수준 (0, 0.1, 1.0 및 2.0 mM)으로 25시간 처리 한 후 식물조직 내 글루타치온 함량을 측정하고, $SO_4^{2-}$ 흡수, ATP sulfurylase (ATPS) 및 O-acteylserine (thiol) lyase (OASTL) 효소 활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SO_4^{2-}$ 흡수는 황 공급수준에 따라 평행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잎과 뿌리 조직의 단백질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ATPS 활력은 황 공급수준이 0 mM에서 2.0 mM로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 (p<0.05) 하였으며, OASTL 활력은 황 결핍수준인 0 및 0.1 mM에서만 유의적인 감소 (p<0.05)를 보였다. 어린잎, 중간잎 및 뿌리 조직에서는 황 결핍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글루타치온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 (p<0.05) 하였으나, 뿌리에서는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황 공급수준의 감소에 따른 글루타치온 함량과 $SO_4^{2-}$ 흡수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 (p<0.01)가 인정되었으며, 잎과 뿌리내의 ATPS 및 잎조직의 OASTL 효소활력 간에는 각각 부의 상관관계 (p<0.05)가 인정되었다.

(-)-Epigallocatechin-3-Gallate의 3T3-L1 세포에서 항산화 효소 활성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Epigallocatechin-3-Gallate in 3T3-L1 Cells)

  • 김영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293-1299
    • /
    • 2017
  • Epigallocatechin-3-gallate(EGCG)는 녹차에 함유된 flavonoid 계열 화합물로, 녹차의 대표적인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3T3-L1 세포에서 EGCG의 항비만 작용 및 항산화 효소 활성을 평가하였다. EGCG는 지방세포 분화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단백질인 $C/EBP{\alpha}$와 aP2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동시에 EGCG는 GSH의 활성을 유도하였으며, 항산화 효소인 SOD, CAT, GPx 및 GR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EGCG는 지방세포 분화 동안 활성산소종의 형성을 감소시켰다. 체내 phase II 효소인 HO-1과 GCLC는 EGCG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었다. 따라서 EGCG는 3T3-L1 세포에서 항산화 효소의 활성화를 유도하며 동시에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GCG는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EGCG의 항산화 작용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작용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EGCG에 의한 항비만 효과와 항산화 작용을 연구한 본 연구는 녹차를 활용한 체지방 감소 효능을 지닌 식품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헛개나무 잎 추출물의 벤조피렌 유발 간 독성에 대한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Hovenia dulcis Thumb Leaves Extract on Hepatic Injury Induced by Benzo(α)pyrene in Mice)

  • 박선희;장은영;장종선;윤경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69-573
    • /
    • 2009
  • 헛개나무 잎 추출물의 간 손상 억제 작용을 확인하고자, B($\alpha$)P 투여로 간 독성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과산화지질의 생성 및 관련 효소의 활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B($\alpha$)P 투여로 인해 혈청 ALT와 AST의 활성, 간 조직 중의 과산화지질 함량, cytochrome P450 함량, SOD, catalase 그리고 GSH-Px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GSH 함량과 GST 활성은 감소하였다. 반면 헛개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의 전 처리로 인해 ALT와 AST의 활성, 과산화지질 함량, cytochrome P450 함량 그리고 항산화 효소인 SOD, catalase 및 GSH-Px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GSH 함량과 GST 활성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헛개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은 생체 내에서 자유기로 인해 야기되는 간장의 산화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삼 추출물이 난소를 절제한 백서의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nax Ginseng Extract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in Ovariectomized Rats)

  • 하배진;황일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49-356
    • /
    • 2002
  • 노화과정에 산소라디칼이 관여할 가능성을 노화유도된 쥐를 동물모델로 하여 알아보았다. 난소를 절제한 rat와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정상의 rat에서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인삼 추출물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난소를 절제한 rat에 각각 GTS (Ovx+GTS 군)와 GW (Ovx+GW 군)를 투여하고, 이것과 비교하기 위해 난소를 절제한 대조군(Ovx군)과 마지막으로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정상군(Sham군)으로 하여 항산화효과에 관한 실험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노화유도된 쥐의 각 조직에서 lipid peroxidation이 증가되었고 free radical반응이 더 심하게 일어난 간 조직에서 노화진행이 그만큼 촉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간소라디칼반응이 항진된 원인을 규명코자 간 조직에서 미토콘드리아와 세포질분획에서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SOD와 glutathion reductase활성이 감소되었으며 노화나 지질과산화가 심하게 진행되었던 간 조직에서 이들 항산화효소의 활성감소가 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체는 free radical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항산화계가 존재하여 free radical을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항산화계에는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 (GSH) peroxidase, GSH reductase, GSH S-transferase, catalase등의 항산화효소가 있다. SOD는 반응성을 가진 산소species인 superoxide anion을 macrophage와 polymorphonuclear leucocyte의 항균작용같은 세포방어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원칙상 눈, 피부등의 byaus이 공기중의 산소에 노출되면 oxidative stress가 커짐으로서 조직이 훼손되나 SOD같은 효소에 의해 보호되고 손상이 방지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실제로 신체부위에 적용해 보면 쉽게 활성상실이 일어나므로 fatty arid와 공유결합시켜 효과적으로 superoxide radical을 제거할 수 있다. AST의 활성은 Ovx군이 Sham군에 비해 2.11배 높게 나타났으며, ALT 활성은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AST 활성에서는 각각의 물질을 투여한 군에서는 유의적인 감소 경향을 보였다. 과산화지질함량은 Ovx군이 Sham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각각의 인삼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62%∼72%의 저해률을 보였다. 항산화 효소들은 Sham군에 비해 Ovx군에서 낮게 나타났는데, 각 물질의 투여 군에서는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보듯이, 난소 절제로 생성된 많은 free radical은 항산화효소에 의해서 감소되었으며, 그리고 인삼 추출물이 항산화 효소 대신에 노화를 저해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스티렌이 흰쥐의 간 조직 중 항산화계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yrene on Hepatic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in Rats)

  • 이종렬;김동훈;이상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678-687
    • /
    • 2021
  • 스티렌은 플라스틱과 같은 생활용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건강에 위해를 야기시킬 수 있다. 스티렌이 간 조직 중 항산화계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50 mg/kg, 200 mg/kg 및 400 mg/kg 용량을 4일 동안 1일 2회 복강 투여하였다. 혈청 ALT 및 AST 활성 변동은 대조군에 비해 400 mg/kg 투여군에서 각각 약 1.2배 (p<0.05) 및 약 43.3% (p<0.05)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투여용량이 증가할수록 간손상이 심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MDA 함량 변동은 대조군에 비해 400 mg/kg 투여군에서 약 37.1% (p<0.05) 증가하였고, XO 활성도는 200 mg/kg 투여군에 비해 400 mg/kg 투여군에서 약 15.2% 증가하였고, CYPdAH 활성도는 약 40.4% (p<0.05)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생성된 과잉의 활성산소종을 제거하기 위한 항산화계 효소인 GPx, CAT, SOD 및 GST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400 mg/kg 투여군에서 각각 약 33.0% (p<0.05), 약 41.2% (p<0.05), 약 47.2% (p<0.05) 및 약 27.6% (p<0.05)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GSH 함량은 200 mg/kg 투여군에 비해 400 mg/kg 투여군에서 34.5% (p<0.05)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소모된 GSH 함량은 스티렌과 스티렌 중간대사산물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스티렌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된 과잉의 활성산소종과 독성 중간대사산물에 의해 간 손상이 유발되었고, 이는 해독에 관여하는 항산화 효소계와 불균형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흡연인들에서 증가된 혈장지질 농도가 비타민 E 영양상태와 글루타티온 과산화효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 of the Elevated Plasma Lipid Levels to Plasma Vitamin E Status and Activities of Erythrocyte Glutathione Perosicase in Smokers)

  • 윤군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8호
    • /
    • pp.1254-1262
    • /
    • 1998
  • This study has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creased lipid oncentration caused by smoking and plama levels of vitamin A and vitamin E, antiodative enzyme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 in 52 male smokers and 32 non-smokers, Dietary vitamin A and vitamin E intake was imilar in both smokers and non-smokers. Absolute plasma concentrations of vitamin A and vitamin 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whereas vitamin E/cholesterol ration in plasma was low or in smokers than in that of non-smokers(p<0.05). It was considered that this lowered effect was due to the elevated plasma lipid concentration rather than oxidant stress derived from smoking, in view of the fact that smokers had higher cholesterol (15.2%) adn LDL-C(26.6%) levels than non-smokers. In non-smokers, plasma thiobarbiturin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conrrelated positively with total cholesterol(r=0.63466, p<0.001), LDL-C level(r=0.57166, p<0.01) , and LDL-C/HDL-C ratio(r=0.45926, p<0.05) . Activities of glutathione perosidase(GSH-Px) , superoside dismutase(SOD), and catalse made no difference in both groups. However, it was observed in non-smokers that GSH-Px activity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otal cholesterol(r=-0.67293, p<0.001), LDL-C level(r=-0.62878, p<0.001), and LDL-C/HDL-C ratio (r=-0.58824, p<0.01), indicating that there was a 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lipid perosidation and plasma lipid level. The smokers also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for GSH-Px activity with total cholesterol (r=-0.29946, p<0.05) and LDL-c level (r=0.45914, p<0.001), and LDL-C/HDL-c ratio(r=-0.35438, p<0.05). It seemed that the lipid that the lipid level elevated by sustaines smoking resulted in reducing vitamin E/cholesterol ratio and proportion of antioxidant to oxidant load, and then GSH-Px activity, with insufficient removal of free radicals(TBARS 2.43$\pm$0.51 and 1.81$\pm$0.15nmol/ml in smokers and non-smokers,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gher plasma lipid levels may play a more important role in perturbing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cluding vitamin E status and GSH-Px activity, at least in circumstances that increase lipid concentration . In addition, in exposure to free radicals like those in cigarette smoke. In those cases the ratio of vitamin E/lipid in plasma can be a more indicator of vitamin E status than plasma levels of vitamin E alone.

  • PDF

털부처꽃 채취부위별 추출물이 만성 알코올 투여 흰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Part Extracts of Lythrum salicaria L. on Chronically Alcohol-Administrated Rat)

  • 이승은;김금숙;이정훈;강용구;이은숙;최재훈;이아름;박수진;노형준;김승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34-340
    • /
    • 2011
  • The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the different parts of Lythrum salicaria (LS) on liver protective activities in chronically alcohol-treated rats. SD male rats except normal animals were administrated with alcohol ($30m{\ell}$ of 30%~40% ethanol/kg/day) and the extracts (300 mg/kg/day) for 10 weeks. Chronic alcohol administration decreased body weight, high 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and the reduced form-glutathione (GSH), whereas increased the ethanol content,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GOT),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l, triglyceride in blood/serum and the ratio of the oxidized form of glutathione (GSSG) and total GSH (GSSG/total GSH) in liver tissue. Groups treated with the extracts of leaf, root and stem, showed decrease in GOT, total cholesterol and GSSG/total GSH and increase in hepatic aldehyde dehydrogenase (ALDH), total GSH and serum albumin. Administration with the root extract of LS decreased blood ethanol content compared with the other part extracts. But, serum triglyceride values in rats treated with root and stem extract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negative control animals. Flower extract-fed group showed decrease in body weight and serum triglyceride, but increase in the ratio of GOT and glutamic-pyruvic transaminase (GPT), and GSSG/total GSH. From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extracts of root and leaf among the plant parts of LS might be useful for the amelioration of the chronic alcohol-induced liver demage of rat.

녹차 건분이나 항산화 비타민 보충이 9개월령과 12개월령 흰쥐의 부위별 뇌조직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r Antioxidant Vitamin Supplementation on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9 Month- and 12 Month-old Rat Brain Regions)

  • 장남수;최지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4호
    • /
    • pp.431-43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녹차 건분 식이나 항산화 비타민 보충식이가 뇌 조직의 항산화능 증진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보고자, 생후 9개월령과 12개월령 Sprague-Dawley종 실험동물에게 3% 녹차 건분식이와 항산화 비타민 보충식이를 3주간 공급하였다 희생 후 뇌 조직을 대뇌, 소뇌, 선조체, 해마로 나누어 malondialdehyde (MDA)의 함량과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SOD) , glutathione peroxidase (GSH-Px)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3% 녹차 건분 식이의 공급은 선조체 내 SOD활성과 대뇌 내 GSH-Px활성을 12개월령에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녹차군과 항산화 비타민군의 항산화능에는 서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가령에 따라 부위별 뇌조직의 MDA 함량은 증가하였고, GSH-Px 활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3% 녹차 건분 식이의 항산화능 증진효과가 녹차 건분에 함유된 항산화 비타민에 기인한 것일 수 있으며 , 가령에 따라 항산화 효소 활성의 변화가 효소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Long-term Supplementation of Epimedium koreanum Nakai in Rats and Its Effects on In Vivo Antioxidant Status with Age

  • Lim, Heung-Bin;Lee, Dong-Wo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404-408
    • /
    • 2007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by age of long-tenn supplementation of Epimedium koreanum Nakai (EKN)-containing water on the in vivo antioxidant capacities of rats. All rats were reared in a conventional system, and none of the rats showed any signs of aversion to the EKN solution. Neither the mean nor maximum life spans of the rats were extended by long-tenn administration of the solution. The EKN extract caused decreases in the levels of serum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in the rats.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GSH) peroxidase within the liver cytosol decreased with age in both the control and EKN-supplemented groups. GSH peroxidase activity, however, was higher at old age in the EKN-supplemented group. The activities of GSH reductase and GSH-S-transferase, and the levels of free-sulfhydryl (SH) and total-SH group gradually decreased with age in both groups. However, there was some tendency for higher levels in the EKN supplemented group at a corresponding 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ong-tenn supplementation of EKN water extracts alone does not exhibit discernible adverse effects in rats, and has some enhancing effects on the antioxidant capacities of the blood and liver, but it does not have life-prolonging effects.

마우스 간의 황함유 아미노산 대사에 미치는 베타인의 용량의존성 영향 (Dose-dependent Effects of Betaine on Hepatic Metabolism of Sulfur Amino Acids in Mice)

  • 김상겸
    • 약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69-73
    • /
    • 2009
  • Acute betaine treatment induces time-dependent changes in the hepatic glutathione (GSH), cysteine and S-adenosylmethionine (SAM) levels. Our previous study demonstrated that betaine administered $1{\sim}4$ hours prior to sacrifice decreased hepatic GSH levels, but these levels were increased when measured 24 hours following the treatment.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dose-dependent effects of betaine on hepatic metabolism of sulfur amino acid in mice. Mice were sacrificed 2.5 or 24 hours after intraperitoneal treatment with betaine at different dose levels ranging from 50 to 1000 mg/kg. The concentrations of methionine and SAM were increased by a betaine dose of 100 mg/kg, and the concentrations of GSH and cysteine were decreased by a betaine dose of 200 mg/kg at 2.5 hours. These changes were augmented with increasing doses of betaine. At 24 hours following betaine treatment, increased GSH and decreased taurine levels were observed from dose levels of 400 mg/kg. Changes in hepatic activities of cystathionine beta-synthase, gammaglutamylcysteine ligase and cysteine dioxygenase were observed from dose levels of $200{\sim}400$ mg/kg of betaine administered 24 hours prior to sacrif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