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SD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2초

감성공간디자인의 실증적 연구 - 몸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Emotional Space Design Focused on human body movement -)

  • 오영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83-90
    • /
    • 2010
  • Emotional interest in the 1970s, Japan started from the technical and engineering beyond the scope, period late structuralist entering the world has been the subject of interest, as well as in academic research is becoming the main theory. In addition,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disciplines such as humanities through the study of consilience and fusion, the human life to continue as a subject, its importance has risen. So this study are to design for the study of emotion through the human heart in space and how the expression of emotions and can be validated in a study. GSD to evaluate the action (verb) and emotional words (adjective) related to two variables to measure the degree of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n experiment to find out. Picasso painting,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special', 'interesting', 'not interested', 'confused', 'fun', 'anxious', 'dark', 'cool', 'hard' to have relevance, such as the distribution of emotional words, and as a result of the move was a lot of work. This resul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arcane resistance of the cubist paintings that make a lot of body movements. In Renoir painting 'stable', 'warm', 'soft', 'easy to understand', 'bright', 'boring', 'curious', such as emotional words ranged to have a relationship with this behavior is less motion in space. This resul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Impressionist paintings that are less body movements. As a result, space design, emotional design in the evaluation (GS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at evaluated the feasibility and future of the emotional space of the design could be based in the area is considered.

식이내의 타우린 또는 글라이신 보강이 흰쥐의 혈장과 간의 유리아미노산 농도 및 패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Taurine or Glycine Supplementation on Plasma and Liver Free Amino Acid Concentrations in Rats)

  • 박정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2호
    • /
    • pp.126-134
    • /
    • 1998
  • Our previous study demonstrated that dietary taurine or glycine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lowered plasma and hepatic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in rats fed a cholesterol-free diet.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long term dietary taurine or glycine supplementation,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and/or treating of hyperlipidemia and other known biological functions, on plasma and hepatic free amino acid concentrations and profiles were evaluated in rats. Three groups of male rats(110-130g) were fed a control diet(CD), taurine-supplemented diets(TSD ; CD+ 1.5% taurine) or glycine-supplemented diet(GSD ; CD+1.5% glycine) for 5 weeks. Plasma and hepatic free amino acid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by an automated amino acid analyzer based on ion-exchange chormatography. The feeding of TSD for 5 weeks yielded a 444% higher plasma taurine concentration , and the feeding GSD for the same period resulted in a 143% higher plasma glycine level in rats compared to those fed DB. Hepatic taurin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ats fed TSD(145%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rats. However, hepatic glycine concentration was not influenced by dietary glycine supplementation , which implies that the massive dose of glycine entering the body was more rapidly metabolized or excreted than taurein. Dietary taurine or glycine supplementation resulted in similar changes in plasma free amino acid concentrations, except in levels of taurine and glycine. Plasma levels of histidine, lysine, phenylalanine , alanine, proline, hydroxypoline, $\alpha$-aminogutyric acid, cystathionine and ethanolamin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ats fed TSD or GSD than those fed GD. Glycine supplementation did not change hepatic free amino acid concentrations as compared to CD. Concentrations of most hepatic free amino acids were not influenced by dietary taurine supplementation with the exception of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asparate and tyrosine(56-63% increase) and lower levels of histidine and glutamate(33-34%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rats. These results suggest long-term dietary taurine or glycine supplementation resulted in increases in most plasma free amino acid levels, but did not cause a characteristic change in plasma aminogram pattern compared to rats fed CD.

  • PDF

몸 움직임이 공간구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감성공간디자인(GSD)를 중심으로 - (Research for the influence of body movement on the space occupation - Focusing on the GSD -)

  • 김연종;오영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24-132
    • /
    • 2009
  • Recently, 'Emotion' has attracted public attention socially and continuously in the fields such as construction, environment, design and products. Also, phenomenological concept of space through the physique in the viewpoint of the human-oriented aspect, namely, body, has been managed as a planned measure suitable for a new era and space. In this study, the author examined and analyzed the verbs and emotional vocabulary about the human body's behavior. The phenomenological space conception through body, i.e, flesh in this human centered point of view is being treated as the suitable planning measure on the new era and space. Though the epochal issue for Emotion is being attempted in many ways in various field such as product and marketing, the approach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Therefore, we would like to see how the Emotion related to the movement that occurs in the space by analyzing the human body movement which is the subject of experiencing the space experimentally and research the characteristic of Emotion and space movement. SPSS 12.0 was used for the analysis to perform the analysis of basic statistics and Factor Analysis, and then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and emotional attribute for the experimental analysis. Comparing the activity for the 2 groups' behavior through the analyzed result with the test, active behavior was found to be higher than inactive behavior in the emotional value, and their bodies' motion showed averagely positive value in the emotional aspect; their bodies' motion was pres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ttributes and amount of the people who would experience a specific space. However, the author found that affirmative and active behavior showed emotional aspect more than inactive behavior.

위성 설계.제작 및 운용 정보를 반영한 영상 품질 시뮬레이션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Simulation Method of Satellite Image Quality Considered Design, Manufacturing and Operation)

  • 조현기;김기현;최세철;이승근;김종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91-603
    • /
    • 2008
  • 위성의 성능은 위성의 최종생산물인 위성 영상 품질에 의해 평가된다. 위성 영상의 품질을 평가하는 요소로는 광학적요소인 변조 전달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 MTF),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 SNR), 기하학적 요소인 해상도(Ground Sample Distance : GSD) 등이 있으며, 위성의 설계 단계에서 위성의 설계 및 제작, 관측 및 운영 환경을 반영하여 위성 영상의 품질을 예측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의 설계 단계에서 위성 설계 및 운용 조건을 반영한 영상 품질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위성의 설계 시 영상 품질 예측에 활용 될 수 있으며, 수신된 영상의 화질 개선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항공 영상의 품질 시뮬레이션에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Effect Analysis of Compression Method on KOMPSAT Image Chain

  • Yong, Sang-Soon;Ra, Sung-Woong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31-437
    • /
    • 2007
  • Multi-Spectral Camera(MSC) on the KOMPSAT-2 satellite was developed and launched as a main payload to provide 1m of GSD(Ground Sampling Distance) for one(1) channel panchromatic imaging and 4m of GSD for four(4) channel multi-spectral imaging at 685km altitude covering l5km of swath width. Since the compression on MSC image chain was required to overcome the mismatch between input data rate and output date rate JPEG-like method was selected and analyzed to check the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In normal operation the MSC data is being acquired and transmitted with lossy compression ratio to cover whole image channel and full swath width in real-time. In the other hand the MSC performance have carefully been handled to avoid or minimize any degradation so that it was analyzed and restored in KGS(KOMPSAT Ground Station) during LEOP(Launch and Early Operation Phase). While KOMPSAT-2 had been developed, new compression method based upon wavelet for space application was introduced and available for next satellite. The study on improvement of image chain including new compression method is asked for next KOMPSAT which requires better GSD and larger swath width In this paper, satellite image chain which consists of on-board image chain and on-ground image chain including general MSC description is briefly described. The performance influences on the image chain between two on-board compression methods which are or will be used for KOMPSAT are analyzed. The differences on performance between two methods are compared and the better solution fo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image chain on KOMPSAT is suggested.

개별요소법을 이용한 쇄석재료의 직접전단시험 모델링 (Modeling Direct Shear Test of Crushed Stone Using DEM)

  • 조남각;유충식;이대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5-2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개별요소법에 근거한 상용 수치해석 프로그램인 PFC2D를 이용하여 조립재인 쇄석의 전단특성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연속체 해석에서 고려하기 힘든 조립질 재료의 입도분포 및 공극, 불규칙한 형상을 모델링 할 수 있었다. 또한, 대형직접전단시험을 수행한 실험결과와 비교를 통해 입자특성과 관련한 조립질 재료의 고유 특성을 본 연구에서 모델링한 불연속체 모델링으로 모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모델링 기법은 향후 다양한 입도 및 공극특성을 갖는 조립질 재료의 현장 강도 특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엑솜 시퀀싱으로 진단된 가족성 당원병 IXa 형 증례 (Familial 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IXa Diagnosed by Targeted Exome Sequencing)

  • 손영배;장주영;이다근;장자현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96-102
    • /
    • 2017
  • 당원병 IX형은 phosphorylase kinase 효소 결핍으로 분해되지 않은 당원이 간 또는 근육에 축적되는 유전성대사이상질환이다. 당원병 IXa형은 당원병 IX형 중 가장 흔한 형태로 PHKA2 유전자 변이로 발생한다. 당원병 IXa형의 임상증상은 간 비대, 간 효소 수치 상승, 성장 지연, 저혈당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임상 증상은 다른 타입의 당원병의 증상과 비슷하거나 겹쳐서 임상적으로는 구분하기가 어렵다. 저자들은 표적 엑솜 시퀀싱으로 진단된 가족성 당원병 IXa형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4세 남아가 간 비대와 간 효소 수치 상승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간 조직검사결과 간세포에 당원이 축적되어 있어 당원병을 의심하였으나 G6PC 유전자 검사는 음성이었다. 이에 당원병 타입을 감별진단 하기 위해 표적 엑솜시퀀싱을 시행하였으며, PHKA2 유전자에서 질환과의 연관성이 이미 보고된 바 있는 c.3632C>T (p.Thr121Met) 변이가 반접합체(hemizygote)로 발견되어 당원병 IXa로 진단하였다. 가족 유전자 검사를 통해 어머니가 이형접합체 보인자임을 확인하였으며, 남동생이 같은 변이를 가진 반접합체임을 확인하였다. 28개월 된 환자의 남동생 역시 신체 검진 상 간 비대가 있었으며, 혈액검사상 간 효소 수치가 상승되어 있어 같은 질환으로 확진하였다. 이환된 형제 모두 생 옥수수 전분 섭취와 복합 탄수화물을 섭취하도록 식이 조절을 하였으며 2년 추적관찰 동안 정상 성장 발달을 보이고 있다. 당원병과 같이 임상적으로 구분이 어려우며 유전학적으로 다양한 유전자 변이를 보이는 당원병과 같은 질환의 분자 유전학적 감별진단에 표적 엑솜 시퀀싱이 유용한 진단법이 될 수 있다. 신속하고 정확한 분자 유전학적 감별진단을 통해 환자와 보호자에게 질병의 적절한 치료법, 질병의 예후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절한 유전상담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당원병 제1형의 장기 추적 관찰; 간선종 발생의 위험 요인에 대한 연구 (Long-term Outcome of 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1;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Hepatic Adenoma)

  • 양혜란;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6권2호
    • /
    • pp.129-139
    • /
    • 2003
  • 목 적: 당원병 제1형은 어린 소아연령에서 발현하는 가장 심한 형태의 당원병이다. 장기간 관찰시 일부 환자에서 간선종이 발생하고 드물게 간암이 합병되어 예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당원병 제1형 환자들의 추적관찰을 통해 간선종과 간암 발생의 측면에서 당원병 제1형의 장기적인 예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82년 3월에서 2003년 2월까지 서울대병원 소아과에서 간 조직 검사 및 효소검사를 통해 당원병 제1형으로 진단된 43명의 환자(제1a형 40명, 제1b형 3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복부 초음파, 전산화단층촬영 또는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여 간선종의 발생여부를 관찰하였으며, 간의 종괴가 확인된 경우 가능하면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간선종 및 간암을 확진하였다. 간선종 발생에 관여하는 위험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간선종이 발생한 환자를 연령에 대해 짝짓기를 시행하여 선종군과 비선종군에서 여러 임상 지표를 비교하였다. 결 과: 1) 전체 43명 중 16명(37.2%)에서 간선종이 발생하였는데, 간선종이 처음 발견된 나이는 평균 $14.2{\pm}4.1$세(범위: 7.9~25.7세)였다. 처음 발견시 다발성 선종인 경우는 14례(87.5%)였다. 2) 간선종이 발생하였던 선종군(n=16)과 비선종군(n=16)을 비교하였을 때, 신장질환이 선종군에서는 7명(43.8%)에서 동반되고, 비선종군에서는 1명(6.3%)에서 병발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7; 교차비 11.667, 95% 신뢰구간=1.227~110.953). 저신장은 선종군 6명(37.5%)과 비선종군의 10명(62.5%)에서 관찰되어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57). 당원병 제1형 환자의 대부분에서 생옥수수 전분 치료를 시행하였는데, 생옥수수 전분 치료를 시작한 연령은 선종군이 $9.1{\pm}5.2$세인 반면, 비선종군은 $3.0{\pm}1.8$세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선종군의 치료 시작 연령이 늦었다(p=0.003). 문맥하공정맥 문합술 시행 당시의 연령 차이가 없는 상태에서(p=0.170), 선종군의 11명(68.8%)과 비선종군의 3명(18.8%)에서 단락수술을 시행 받아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4; 교차비 9.533, 95% 신뢰구간=1.847~49.204). 고콜레스테롤혈증, 저혈당, 고요산혈증 등의 여부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833, p=0.273, p=0.550). 3) 25.7세에 간선종이 발견되었던 1명은 26.5세에 간암으로 진단되어 간동맥 항암 화학 색전술을 시행 받았다. 결 론: 간선종은 당원병 제1형 환자들을 장기간 추적관찰 하였을 때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으로서, 일부에서 악성화 될 가능성이 있어 중요성이 매우 크다. 당원병 제1형 환자들의 장기적 예후를 위해서는 생옥수수 전분 치료의 조기 도입과 규칙적인 추적관찰을 통한 간선종의 조기 발견이 필요하다.

  • PDF

기관지확장증 환자에서 면역글로불린 G 아강 결핍증의 빈도 및 특성 (Incidence of Immunoglobulin G Subclass Deficiencies in Patients with Bronchiectasis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Immunoglobulin G Subclass Deficiency and Bronchiectasis)

  • 김창환;김동규;박성훈;최정희;이창률;황용일;신태림;박상면;박용범;이재영;장승훈;김철홍;모은경;이명구;현인규;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4호
    • /
    • pp.295-299
    • /
    • 2009
  • 연구배경: 기관지확장증의 원인은 체액성 면역결핍증을 포함해 매우 다양하지만 원인이 불분명한 경우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면역글로불린 G 아강 결핍이 기관지확장증과 관련이 있는지는 불분명하며, 이에 대한 연구도 매우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원인이 불분명한 기관지확장증 환자에서 면역글로불린 G아강 결핍증을 포함한 면역글로불린 결핍증의 빈도를 측정하고, 이들 중 면역글로불린 G 아강 결핍을 보이는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한 대학병원 호흡기내과 외래 방문객 중 흉부 CT에서 기관지확장증이 확인된 환자들에 대해 문진과 검사를 시행하여 기관지확장증의 원인이 불분명한 것으로 판단되는 환자 31명을 선정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 31명 중 총면역글로불린 결핍증 환자는 2명이었고, 면역글로불린 G 아강 결핍은 14명(45%)으로 매우 빈도가 높았으며, 면역글로불린 G3 결핍을 보인 환자군과 정상인 환자군을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성, 연령, 부비동염과 천식의 빈도, 폐기능 이상의 빈도에 있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기관지확장증 환자에서 그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경우 면역글로불린 G 아강의 농도를 측정해 볼 필요가 있으며, 향후 병인과의 관련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GL gene mutation and clinical features in Korean patients with 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III

  • Ko, Jung-Min;Kim, Gu-Hwan;Yoo, Han-Wook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4권1호
    • /
    • pp.72-79
    • /
    • 2007
  • 목 적 : 제3형 당원병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드문 글리코겐 대사 질환이다. 글리코겐 debranching 효소는 두 가지 효소의 기능을 가지는데, amylo-1,6-glucosidase와 4-alpha-glucanotransferase가 그것이며, 제3형 당원병에서는 글리코겐 debranching 효소의 결핍으로 글리코겐의 불완전한 분해가 초래되며, 다양한 임상 및 생화학적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3명의 한국인 환자의 임상 및 생화학적 양상을 분석하고, AGL 유전자의 돌연변이 형태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 서로 혈연 관계가 없는 3명의 한국인 제3형 당원병 환자를 대상으로, 생화학적, 조직학적, 방사선학적 특징을 포함한 임상 양상을 의무 기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백혈구를 분리하여 추출한 genomic DNA를 사용하여 직접적 염기 서열 분석법으로 AGL 유전자의 35개 exon 및 exon과 intron의 경계 부분을 조사하여 돌연변이를 조사하였다. 결 과 : 간비대, 경련, 저신장, 고지혈증, 간효소 수치의 증가, creatine kinase 수치의 증가, 경도의 심근증 등 다양한 임상 양상이 관찰되었고, 한 명의 환자는 진행성 간섬유화로 인하여 간이식 수술을 시행 받았다. 생옥수수 전분가루의 복용은 모든 환자에서 정상 혈당을 유지시키고, 생화학적 검사 소견을 개선시키며 정상적인 성장 속도를 보이게 하였다. AGL 유전자 분석 결과 6개의 대립유전자 중 5개에서 돌연변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중에 p.R428K를 제외한 4개의 돌연변이는 이제까지 보고된 적이 없는 새로운 돌연변이(c.1306delA, c.1510-1511insT, c.3416 T>C, c.1735+1 G>T)였다. 결 론 : 제3형 당원병은 임상 증상 및 중등도가 다양한 질환으로, 제1형 당원병의 증상과 유사하여 초기에 감별이 쉽지 않으며, 한국인 환자에서의 AGL 유전자의 돌연변이 양상도 매우 이질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