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 24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35초

서로 다른 지역에서 채집된 Sulfonylurea계 제초제 저항성 물달개비의 제초제 반응 차이 (Differential herbicide response of sulfonylurea-resistant Monochoria vagnalis accessions to sulfonylurea herbicides)

  • 박태선;이인용;박재읍;오세문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69-275
    • /
    • 2007
  • 4개의 서로 지역 계통별 sulfonylurea(SU)계 제초제 저항성 물달개비의 저항성 정도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SU계 제초제들에 대한 식물체 및 acetolactate synthase(ALS) 반응 차이를 감수성 계통과 비교 분석하였다. 나주, 논산, 김제 지역에서 채집된 저항성 물달개비들은 SU계 제초제들의 기준량에서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사용된 SU계 제초제들의 기준량에 대한 나주, 논산, 김제 지역계통의 건물 중 50% 억제 제초제 농도인 $GR_{50}$은 감수성계통(청도) 보다 각각 $8{\sim}33$배, $8{\sim}30$배, $7{\sim}32$배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김해 채집계통의 $GR_{50}$은 감수성 채집계통에 비해 $4{\sim}13$배 높게 나타나 중간정도의 저항성을 보였다. 나주, 논산, 김제에 대한 ALS 50% 억제 제초제 농도인 $I_{50}$은 감수성 채집계통에 비해 각각 $25{\sim}66$배, $9{\sim}26$배, $10{\sim}24$배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김해 채집계통의 91%은 감수성 채집계통에 비해 $4{\sim}9$배 높게 나타났다.

후춧가루의 위생화를 위한 감마선, 전자선 및 X-선 조사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gamma ray, electron beam, and X-ray irradiation to improve safety of black pepper powder)

  • 박재남;정구;윤영민;최수정;김재훈;이주운;송범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15-3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후춧가루의 위생화를 위해 감마선, 전자선 및 X-선을 조사한 후 이에 따른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변화를 평가하였다. 후춧가루에 감마선, 전자선 및 X-선을 2, 4, 6, 8 및 10 kGy로 각각 조사한 후 미생물 변화와 관능품질 변화를 평가한 결과, 미생물의 경우 선종에 관계없이 흡수선량이 증가할수록 미생물 제어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종별 D10값의 경우 2.24-2.75 kGy범위를 보였으며 방사선 선종에 따른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 모두 방사선 선종에 따른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관능적 품질 역시 방사선 선종에 관계없이 흡수선량에 따라 품질저하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방사선 선종에 따른 후춧가루의 품질변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이상의 결과는 X-선의 상업적 이용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한국 재래종 옥수수 이삭에 관한 형태적 고찰 (Morphological Studies on the Ear Characters of Korean Indigenous Corn Lines)

  • 이인섭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215-228
    • /
    • 1977
  • 양질 옥수수 육성을 위한 우량한 유전자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국적으로 수집한 총 948개의 재래종 옥수수 이삭에 대하여 주요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몇가지 결과를 얻었다. 1) 이삭형태 : 한국 재래종 옥수수의 이삭형태는 IV형 II형 III형 I형의 순으로 구성되었으며, 옥수수의 주산지인 북동부 산악지대에서는 원통형 내지는 원통형에 가까운 형태의 이삭이 많았고, 옥수수가 소규모로 재배되고 있는 남부 평야지대에서는 원추형 내지는 원추형에 가까운 형태의 이삭이 많았다. 2) 입색 : 전국 10개 지역에서 수집된 모든 재래종 옥수수 이삭 가운데서 단색립을 가진 이삭이 54.4%, 가지 색갈의 입색이 혼합된 이삭이 39.0%이없고 세가지 이상의 입색을 가진 이삭이 6.6%이었다. 북부산간지대에서는 이삭의 색갈은 백색혹은 백색과 다른 색갈이 혼합된 것이 많았고, 그 밖의 다른 지역에서는 이삭이 색갈이 노란색 혹은 노란색과 다른 색갈이 혼합된 것이 많았다. 3) 마치성 : 수집된 재래종 옥수수 가운데 불과 4.3%만이 마치종 이었고 나머지는 경립종이었다. 마치종은 외국 옥수수 품종이 도입된 북부 지방에서 수집되었다. 4) 이삭열수 : 수집된 재래종 옥수수의 이삭열수는 12열 내지 16열이 대부분이었고, 수집된 지역에 따라 분류된 이삭열수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여하튼, 이삭열수는 입의 크기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면, 이삭열수가 24개나 되는 이삭의 입은 그 크기가 매우 작았다. 5) 입질 : 수집된 재래종 옥수수의 70.9%가 경질립이었고, 연질립은 26.0% 그리고 중간형이 3.1%이었다. 옥수수의 주산지인 A지역과 I지역에서 경질 옥수수가 더 많이 수집 되었다. 6) 폭열종과 찰옥수수 : 수집된 재래종 옥수수를 보면 폭열종 옥수수는 I지역(울릉도)를 제외하고는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고, 찰옥수수는 북부 산간지방에서 많았다. 7) 이삭길이 : 수집된 재래종 옥수수의 평균 이삭길이는 13cm이었고, A지역과 I지역에서 수집된 옥수수의 길이가 다른 지방의 것보다 길었다. 8) 이삭직경 : 수집된 재래종 옥수수의 평균 이삭직경은 3.3cm이었고, A지역과 I지역에서 수집된 옥수수의 이삭직경이 다른 지방의 것보다 컸다. 9) 입길이, 입폭, 입깊이 : 수집된 재래종 옥수수의 평균 입길이, 입폭, 입깊이는 각각 0.82cm, 0.42cm 그리고 0.78cm 이었다. A 지역과 I 지역에서 수집된 옥수수의 입의 다른 지역에서 수집된 옥수수의 입보다 컷다. 10) 이삭 무게 : 수집된 재래종 옥수수의 평균 이삭무게는 평균 58.04gr 이었으며 A 지역과 I 지역에서 수집된 것이 현저히 무거웠다. 가장 무거운 이삭의 무게는 330gr 이었고 가장 가벼운 이삭의 무게는 5gr 이었다. 11) 이삭당 입중 및 100입중 : 수집된 재래종 옥수수의 이삭당 입중은 평균 47.07gr 이었고 100입중은 평균 15.07gr 이었다. 이삭당 입중 및 100입중은 A 지역과 I 지역에서 수집된 것이 더 무거웠다.

  • PDF

Effect of light, ultrasonication and liquid smoke on germination of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seeds

  • Kim, Min Geun;Kim, Young Ae;Jung, Ki-Yeul;Kim, Du Hy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13-213
    • /
    • 2017
  • High quality seed of proso millet that has high germination percentage, germination speed, and uniformity demanded to increases rates of mechanization in cereal crop cultivation. In order to improv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proso millet seeds were treated with red light, ultrasonication and liquid smoke (LS) solution that generated from hickory wood. All treatments were performed in seed priming solution with 100mM $NH_4NO_3$ at $15^{\circ}C$ for 24hrs under aeration condition. Seeds were exposed under light intensity of 2000 lux for 15m, 30m, 60m, and 120m in priming solution. Ultrasonic treatment was performed at 60%, 80%, and 100% intensity of 21.6 KHz for 5m, 10m, and 20m in priming solution. For LS treatment seed were soaked in 0%, 0.5%, 1.0%, 5.0% and 10.0% of diluted solution with $dH_2O$ or 100mM $NH_4NO_3$ solution. The effect of seed treatment was evaluated with germination percentage (GP), mean germination time (MGT), germination index (GI), germination rate (GR), Germination uniformity (GU) and heath seed percentage (H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red light (15min) or ultrasonication (21.6kHz, 5min) treatment improved MGT, GI, GR, and GU comparing to untreated control. Importantly, we show that LS treatments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health seedling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Proso millet seeds that treated with 5% LS solution for 24hrs improves HS up to 97% that similar results obtained in 100mM $NH_4NO_3$ priming for 24hrs. The combined treatment with LS solution and 100mM $NH_4NO_3$ priming were not effective in all treatment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reating seeds with LS or 100mM $NH_4NO_3$ priming or ultrasonication improves germination characteristics. The methods described here will help advance research using this species by increasing the germination performance at which successive seed pellet process.

  • PDF

도로 하부 통과 배관의 주행 하중 속도에 따른 진동 특성 (Dynamic Characteristics of Buried Pipeline under Vibration Velocity of Vehicle Loads)

  • 원종화;선진선;유한규;김문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18
    • /
    • 2008
  • 지진 및 외부 진동에 의하여 구조물에 발생하게 되는 진동량은 진동 속도와 피해규모가 비례하는 관계에 있음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진동속도로 나타내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진동 속도 기반의 구조물 진동기준을 검토하고, 이를 고려하여 도로 하부 매설 가스 강관의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가스공사 주사용 배관인 762 mm API 5L Gr. X65 강관을 해석 대상 배관으로 선정하였으며 도로설계기준에 의하여 지반 매설 조건 및 DB-24 하중을 다양한 속도에 대한 시간 함수로 고려하여 재하하였다. 진동속도는 차량 진행 속도 80 km/h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차량 진행 속도 80 km/h에서 0.034 cm/s의 진동 속도를 보임으로서 진동 기준 대비 매우 작은 값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쇄법칙을 적용하여 진행파의 속도를 분석한 결과, 차량 진행 속도 80 km/h에서 가장 작은 속도를 나타내었다.

  • PDF

사백산(瀉白散)이 Compound 48/80에 의하여 유도(誘導)된 Anaphylatic shock와 피하반응(皮下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abaiksan on the Compound 48/80 Induced Anaphylatic Shock and Cutaneous Reaction)

  • 김민호;한상환;전병득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2-42
    • /
    • 1990
  • Sabaiksan has been prescribed to treat various allergic diseases in herbal medicine which were induced by various vasoactive amine released from the mast cells. The constituents of Sabaiksan are Mori Cortex Radices(MCR), Lycii Cortex Radicis(LCR) and Glycyrrhizae Radix(GR). Recently, simple models of compound 48/80 induced anaphylactic shock and cutaneous reaction in vivo were developed to test various agents employed in the field of allergy and toxicology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abaiksan on compound 48/80 induced anaphylactic stock, cutaneous reaction and mesenteric mast cell degranulation rate in ICR mice, and on compound 48/80 induced peritoneal mast cell degranulation and histamine release in vitro. Groups of ICR mice were intraperitoneally pretreated with $100{\mu}{\ell}$ of saline, $MCR(2g/m{\ell}),\;LCR(2g/m{\ell}),\;GR(g/m{\ell})$ or Sabaiksan itself(MCR+LCR+GR) at 24, 12 and 1 hour before compound 48/80 solution ($10{\mu}{\ell}/gm$ B. W) were peritoneally given into them, and then mortality within 72 hours after the compound 48/80 injection, and mesenteric mast cell degranulation rate at 15 minutes after compound 48/80 injection were calculated. In vitro experiment, $400{\mu}{\ell}$ of rat peritoneal mast cell suspension$(10^6cell/m{\ell})$ were pretreated with $50{\mu}{\ell}$ of saline, $MCR(2g/m{\ell}),\;LCR(2g/m{\ell}),\;GR(g/m{\ell})$ or Sabaiksan itself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and then $50{\mu}{\ell}$ of compound 48/80 solution $(100{\mu}g/m{\ell})$ were added into it. 30 minutes after the addition of compound 48/80 solution, histamine release assay in the supernatant of peritoneal mast cell suspension were performed employing radioisotope enzymatic assay and morphologic changes of mast cells in each regular time point were photographed. Compared with controls, compound 48/80 induced anaphylactic shock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MCR and GR pretreatment into the ICR mice. Significant inhibition of compound 48/80 induced cutaneous reaction, mesenteric mast cell degranulation rate in vivo and histamine release from the rat peritoneal mast cells in vitro was observed only in MCR pretreated group.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MCR component of Sabaiksan may playa key role to suppress mast cell function since it has been applied to various allergic diseases.

  • PDF

구봉광산(九峯鑛山)의 지질(地質)과 광상(鑛床) (Geology and Ore Deposits of Kubong Gold Mine)

  • 전찬규;오민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3권3호
    • /
    • pp.169-176
    • /
    • 1970
  • Kubong Gold Mine is located in Kuryongri, Sayang-myun, Chungyang-gun, Choongchung-Namdo.(latitude $36^{\circ}24^{\prime}N$. longitude $126^{\circ}45^{\prime}30^{{\prime}{\prime}}E$) The mine was begun to work soon after the inhabitants of this village had accidently discovered the outcrops in April 1908. It is one of the largest gold mines in Korea which produces 4,500 tons of crude ore a month. The geology in the area consists of granitic gneiss, banded gneiss, augen-gneiss, mica schist, limesilicate of Pre-Cambrian series and sedimentary rocks(sandstones & conglomerates) of Daedong series. Basic dikes intrude the former formations. The country rock of the ore deposit is a group of the metamorphic rocks mentioned above. Gold-silver bearing quartz vein contains small amounts of pyrite, chalcopyrite, arsenopyrite, galena and sphalerite in which gold and silver occur as native state. The vein strikes $N30^{\circ}{\sim}60^{\circ}E$ and dips $20^{\circ}{\sim}50^{\circ}S$ and the average width of the vein is estimated 1 to 1.5m. Average grade of ore is Au:6~8gr/t and Ag:5~6gr/t. The ore shoot continues from the outcrop to the depth of -1760ML with dip of $20{\sim}25^{\circ}$ and strike extension reaches to 400m at the depth of -1440 ML and to more or less 200m at below. Highgrade of ore vein was found at the lowest level of the ore shoot at the time of recent field survey at the end of August 1970. Its average grade was estimated as Au:20gr/t and its width 1~2.5M in average. A series of futher prospecting for other new ore shoot or parallel veins are urgent and crosscut prospecting along the horizontal level is strongly recommended.

  • PDF

한국산 일시 수확형 고추를 이용한 고추장의 품질 및 저장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Korean Single-Harvested Pepper (Capsicum annuum L.))

  • 김경선;박재복;김선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59-765
    • /
    • 2007
  • 본 연구는 한국산 일시 수확형 고추의 화학적 품질을 분석하여 매운맛과 색상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의 제품화를 위해 고추장에 응용함으로써 고추장의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YW213은 ASTA 색상값이 $212.71{\pm}2.38$, YW211은 매운맛 함량이 $271.67{\pm}25.10mg/100g$으로 매우 높은 특성을 보였다. YW211과 YW213을 첨가하여 매운맛과 색상을 조절한 고춧가루로 제조한 고추장의 발효에 따른 품질 변화를 분석한 결과, YY는 색상이 우수하나 매운 맛 함량이 $3.98{\pm}0.24mg/100g$으로 매우 낮은 특성으로 YW211을 비율별로 혼합하여 제조한 결과, YY+30% YW211 는 매운맛 $52.61{\pm}8.62mg/100g$으로 매운맛 함량이 증가함을 보여줬다. ASTA 색상값은 YY+20% YW211부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색상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GR 시료는 매운맛 함량이 높고 색택 또한 우수한 시료로 고추장 제조에 적합한 화학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YW213을 첨가하여 성분특성을 분석한 결과, ASTA 색상값은 GR에 YW213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GR+30% YW213 첨가구에서 $130.01{\pm}1.31$로 높은 색소함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운맛 함량은 GR에 YW213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YW211, YW213 첨가 고추장의 pH는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낮아지는 반면, 적정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YW211, YW213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pH는 높았으며 90일 경과후의 pH는 $4.7{\sim}4.9$로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YW211, YW213 첨가 고추장 모두 숙성 60일까지는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90일에는 소량 감소하였다. 환원당은 숙성이 진행되면서 숙성초기에 YY에 YW211을 첨가한 고추장이 급격히 증가하여 30일경까지 최고수준에 달하나 이후 서서히 감소하였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환원당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충남지역(忠南地域)에서 재배(栽培)하는 메밀종자(種子)의 몇가지 특성(特性)과 그 분포(分布)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Studies on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Grown in Chungnam Province)

  • 최창열;최관삼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47-54
    • /
    • 1985
  • 본(本) 조사연구(調査硏究)는 충남도내(忠南道內) 36개지역(個地域)에서 수집(蒐集)한 1984년도산(年度産) 메밀종자(種子)에 대(對)하여 몇가지 기초적(基礎的)인 특성(特性)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하고 그들의 지역적분포(地域的分布)를 밝히고자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연 다음과 같다. 1. 종자(種子)의 입형(粒型)은 유시형(有翅型), 중간형(中間型) 및 보통형(普通型)등 3개형(個型)이었고 어느 지성(地城)에서 수집(蒐集)한 종자(種子)이든 이들 3개형(個型)의 종자(種子)가 섞여 있었는데 그 혼합비율(混合比率)은 전체(全體) 평균(平均)으로 볼 때 보통형(普通型)이 50.1%, 중간형(中間型)이 26.8% 그러고 유시형(有翅型)은 23.1%이었으나 이러한 혼합비율(混合比率)은 지역간(地域間)에 큰 차이(差異)가 있었다. 2. 1000 입중(粒重)은 전체평균(全體平均) 24.9gr이었으나 지역간(地域間)에 큰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어서 서산군(瑞山郡)((No.30)에서의 수집종자(蒐集種子)가 17.4gr로 가장 가벼웠고 서천군(舒川郡)(No.16)에서의 수집종자(蒐集種子)는 31.9gr로 가장 무거웠는데 입형별(粒型別) 혼합비율(混合比率)과 1000입중(粒重)과는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이 나타나지 않았다. 3. $5^{\circ}C$로부터 $30^{\circ}C$사이에서는 온도(溫度)가 높아짐에 따라서 일반적(一般的)으로 발아(發芽)가 촉진(促進)되었는데 서천군(舒川郡)(No.16), 홍성군(洪城郡)(No.23), 천원군(天原郡)(No.35) 및 예산군(禮山郡)(No.27)에서의 수집종(蒐集種)은 $15^{\circ}C$ 그리고 서산군(瑞山郡)(No.29), 당진군(唐津郡)(No.32) 및 청양군(靑陽郡)(No.21)에서의 수집종(蒐集種)은 $25^{\circ}C$에서 발아율(發芽率)이 낮았다가 그 이상(以上)의 온도(溫度)에서 다시 상승(上昇)하였으며 $5^{\circ}C$의 저온(低溫)에서는 대부분(大部分)의 수집종자(蒐集種子)들이 10%미만(未滿)의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으나 아산군(牙山郡)(No.33)과 대덕군(大德郡)(No.3)에서의 수집종(蒐集種)은 각각(各各) 20%와 30%의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다. 4. 종피(種皮)의 색(色)은 흑색(黑色)과 암갈색(暗褐色)으로 구분(區分)되었으며 입형(粒型)과 종피색(種皮色)을 조합(組合)한 종자형(種子型)은 유시흑색(有翅黑色), 중간흑색(中間黑色), 보통흑색(普通黑色), 유시암갈색(有翅暗褐色), 중간암갈색(中間暗褐色) 그리고 보통암갈색종(普通暗褐色種) 등 6개형(個型)으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고 종피색(種皮色)의 차이(差異)에 따른 광(光)Energy의 흡수(吸收) Spectrum의 차이는 190~390nm범위 이었다.

  • PDF

인간 HepG2 Cell에서 항산화 효소의 mRNA 발현에 대한 잔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효과 (Effects of Adenophora triphylla Ethylacetate Extract on mRNA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in Human HepG2 Cells)

  • 최현진;김수현;오현택;정미자;최승필;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238-1243
    • /
    • 2008
  • 잔대 뿌리는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민간약으로 이용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간세포인 HepG2에 잔대 뿌리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sodium nitroprusside(SNP)에 의해 유도된 세포 독성 및 항산화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먼저, 잔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NO에 의해 유도된 세포 사멸을 저해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HepG2 세포에 잔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각각 50과 100 $\mu$g/mL)을 24시간 먼저 처리한 후 세포내에서 NO을 생성시킬 수 있는 0.5 mM SNP를 처리하였다. NO에 의한 세포독성이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 의해 저해되었다는 것을 mitochondrial dehydrogenase 활성을 알아보는 MTT assay를 실시하여 알아보았다. 더하여 우리는 잔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세포내 항산화 방어 시스템인 Cu,Zn superoxide dismutase(SOD 1), Mn SOD(SOD 2), glutathione peroxidase(GPx), catalase와 glutathione metabolism과 관련되어져 있는 glutathione reductase(GR), $\gamma$-glutamyl-cystein synthetase(GCS), glutathione-S-transferase(GST), $\gamma$-glutamyltranspeptidase($\gamma$-GT),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G6PD)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RT-PCR로 알아보았다. CAT, GCS 그리고 G6PD mRNA 수준이 잔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처리 후 증가하였으나, SOD 1, SOD 2, GPx, GST 그리고 $\gamma$-GT mRNA 수준은 변화지 않았다. 따라서 잔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간접적 항산화 효과가 있고, 이들 효과는 아마 CAT, GCS, GR 그리고 G6PD 유전자 발현 증가에 의한 것이라고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