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PS Surveying

검색결과 740건 처리시간 0.033초

GPS측량을 이용한 연륙교 가설공사에 관한 연구 (On the Bridge Construction in Marine by GPS)

  • 오창수;최광희;임학량;조형식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1-116
    • /
    • 2004
  • This study is given that on the bridge construction in marine by GPS, specially, choice of station for footing construction of marine bridge. You can get positive datum in the checking of marine excavation, if you use together Total Station and GPS. In the result of comparision of upper surveying methods, Surveying datum is gotten error of less than 30mm(The depth of water 10~l5mm, station 7~10mm). This study show that hereafter if you use GPS in bridge construction in marine you can get accurateiy datum.

  • PDF

GPS Application for the Digital Map Construction of Irrigation Canal Networks

  • Choi, Jin-Yong;Yoon, Kwang-Sik;Kim, Jong-Ok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2권
    • /
    • pp.9-16
    • /
    • 2000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surveying is an effective method using satellite measurement system and can be applied to construction of digital map of irrigation canal networks. In this study, GPS surveying method for irrigation structures was developed. A selected main canal of an irrigation district were surveyed by GPS. The obtained surveying results were corrected by post-processed DGPS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imported to GIS for the digital map construction.

  • PDF

VRS GPS을 이용한 필계점의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Boundary corner point using VRS GPS)

  • 장상규;김진수;정공운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7-42
    • /
    • 2009
  • GPS를 이용한 RTK 측량은 기준국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궤도오차나 전리층, 대류권의 영향에 의해 거리가 제한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상기준점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장비와 시간이 요구되는 토탈스테이션과 RTK GPS 측량을 대신에 VRS GPS 측량으로 경계점의 좌표를 취득하여 지적세부측량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들 연구를 통하여 VRS RTK 측량의 위치오차가 0.144m, RTK GPS 측량의 위치오차가 0.146m로 관측되어 거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고 수치지적시행 지역에서 효율적인 측량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nhancement of Continuity and Accuracy by GPS/GLONASS Combination, and Software Development

  • Kang, Joon-Mook;Lee, Young-Wook;Park, Joung-Hyun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2권1호
    • /
    • pp.65-73
    • /
    • 2002
  • GPS in the United States and GLONASS of the old Soviet Union are used currently as satellite navigation systems. Plans are being made to use the Galileo satellite system in Europe, and these plans focus on a combined application of the satellite navigation system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effective application of a combination of GPS/GLONASS in urban areas, where 3-dimensional positioning is impossible with GPS alone. We analyzed the 3-D coordinate deviation of a GLONASS satellite by integration interval and compared it with GLONASS satellite coordinates in precise ephmerides by transforming it into WGS84. We also programmed GPS/GLONASS, analyzed 3-D positioning accuracy by static surveying and kinematic surveying with Ashtech Z18 receivers and Legacy receivers, and then compared the results to those of GPS surveying. As a result, we are able to decide the integration interval for producing GLONASS satellite coordinates in navigation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construct a GPS/GLONASS data processing system by developing a DGPS/DGLONASS positioning program. If more than four GLONASS satellites are observed, the accuracy of GPS/GLONASS is better than that of GPS positioning. As a result of kinematic surveying in a congested urban area with skyscrapers, we discovered that the GPS/LONASS combination is very effective.

  • PDF

GPS 상시관측에 연계한 기준점 측량의 오차특성 분석 (Error Feature Analysis of the Control Point Surveying in Connection with GPS Continuous Observation)

  • 윤희천;강기석;조성호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5-80
    • /
    • 2003
  • Most of the control point surveying use a triangulation point and a bench mark with Total Station and Level. nowadays, the research is being accomplished for practical use of GPS. but In this study the optimum time and the optimum occupation time are analyzed, so as to examine possibility of the control point surveying that use GPS continuous station data of National Geography Institute. Also, The efficient surveying methods that compare the result of data that processed using broadcast ephemeris with the result of data that processed using precise ephemeris. As a result of that, Error feature analysis of the control point surveying in connection with GPS continuous observation will provide us estimation of errors and efficient topography information acquisition

  • PDF

RTK-GPS에 의한 일필지 좌표 결정의 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Analysis of Parcel Coordinate by RTK-GPS)

  • 강태석;홍성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7-49
    • /
    • 2002
  • RTK-GPS 측량 방법은 실시간으로 cm 수준의 정확도로 3차원적인 위치정보의 획득이 가능하다. 그리고 수신자료의 처리 방식이 후처리로 이루어지지 않고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장에서 직접 일필지의 좌표를 산출해야 하는 지적세부측량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위치결정 측량시스템인 RTK-GPS(Real Time Kinematic GPS) 측량 방법을 활용하여 일필지 경계점의 위치정보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정확도를 기존의 TS(Total Station) 측량 성과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RTK-GPS 측량의 효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남극 GPS측량을 위한 최적방법 연구 (Precise GPS Surveying in Antarctica)

  • 손호웅;박준규;박은호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7-16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세종기지 주변의 지리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정확한 정밀좌표를 취득하고자 GPS 상대측위를 실시하였다. 한편, 이제까지 항공사진 및 영상분석에 의해서만 실시되었던 마리안 소만의 빙벽의 변위/후퇴양상을 GPS 측량에 의해 정량적 분석을 제시하여 향후 남극에서 이루어지는 지리정보시스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토탈스테이션과 RTK-GPS 측량을 이용한 수치지적측량의 작업효율성 비교 (Comparing Efficiency of Numerical Cadastral Surveying Using Total Station and RTK-GPS)

  • 홍성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87-96
    • /
    • 2007
  • 현재 수치지적 시행 지역에서의 지적측량은 전자측판 측량을 이용하는데, 이는 측량부분에 토탈스테이션과 이로 취득된 좌표정보를 기록 편집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탈스테이션을 대체하여 RTK-GPS 측량으로 경계점의 좌표를 취득하고 자료처리와 결선처리 등은 기존의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수치지적측량의 효율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RTK-GPS측량 성과를 기존 전자측판(토탈스테이션)성과와 비교한 결과 거의 차이가 없었고, 소요시간과 소요인력을 분석한 결과 현행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전자측판 측량보다 많이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전자측판 시스템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자료처리 및 결선작업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치지적시행 지역에서 효율적인 측량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GPS를 이용한 SPOT 영상의 GCP 및 DEM 정확도 평가 (A Study on the GCP and DEM Accuracy Evaluation of SPOT Image Using GPS)

  • 윤희천;이용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3-80
    • /
    • 2004
  • 본 연구는 GPS를 이용하여 위성 영상의 입체 해석으로 산출된 SPOT영상의 기준점 및 수치표고모델의 평가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삼각점 및 상시관측소를 고정으로 한 GPS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정지측량과 이동측량의 정확도를 비교함으로써 위성 영상의 기준점과 수치표고모델의 평가를 위한 측량 방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SPOT영상의 해상력을 고려할 때, SPOT 위성 영상의 입체 해석을 통하여 수치표고모델 제작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적세부측량에 있어서 RTK-GPS의 실용화 방안 (Direction for the Practical Use of RTK-GPS in Cadastral Detail Surveying)

  • 이우화;홍성언;오이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9-95
    • /
    • 2009
  • RTK-GPS 측량의 경우, 정확성과 효율성이 입증되고 있기는 하나 건물밀집 지역에서의 위성 수신장애로 인한 정확도의 저하, 실무 적용을 위한 세부지침의 불비 등의 여러 문제로 인하여 기초측량과는 달리 지적세부측량에서는 GPS 측량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실무에서 RTK-GPS 측량 적용의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실용화를 위한 세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실용화 방안으로서 규정 제정 방안, 실질적인 RTK-GPS 측량의 적용을 기존 세부측량 방법 등과의 연계활용 방안, 기준국 배점밀도 향상을 위한 가상기준점 방식의 도입, 정확도와 성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GPS, GLONASS, Galileo 위성의 통합 활용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