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PS Surveying

검색결과 740건 처리시간 0.021초

VRS-RTK GPS측량을 이용한 지적도근점 정확도 분석 - 거제시 사례를 중심으로 - (Accuracy Analysis of Cadastral Supplementary Control Points by Using Virtual Reference Station-Real Time Kinematic GPS Surveying - Focused on Geoje City -)

  • 최우석;유환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5-70
    • /
    • 2011
  • GPS상시관측망 자료를 이용하여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VRS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실시간적이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VRS-RTK 측량방법이 널리 사용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VRS-RTK GPS 측량에서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도근점측량 시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서 GPS 상시관측망의 안쪽과 바깥쪽에 존재하는 경남 거제시의 실험지역 두 곳을 선정하여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두 지역을 대상으로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위치오차에 대한 평균제곱근오차는 ${\pm}0.03m$로서 지적측량 규정내에 있었으며, 지적측량 시 VRS-RTK GPS 측량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지적측량을 위한 GPS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Global Positioning System for Cadastral Surveying)

  • 임현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1-50
    • /
    • 2007
  • 본 연구는 지적측량을 위한 GPS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보다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최근 세계적으로 그 효율성 및 효용성이 증대되고 있는 최신의 측량기법인 인공위성에 의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은 연구대상지역에 대하여 GPS 관측을 실시한 후 현행 Total Station과 GPS의 측량 성과에 대해 비교 분석한 결과 효율성 및 경제성에 대한 측면에서 현행 측량방법보다 GPS가 시간 비용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다 높은 효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GPS 측량의 산출성과가 현행 지적법에서 인정하고 있는 측량성과 인정범위에 모두 포함되어 GPS 측량방법의 높은 정확도를 입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적측량을 위한 GPS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RTK-GPS에 의한 노선측량에서 이동국의 속도에 따른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RTK-GPS Rover Speed in Route Surveying)

  • 최병길;이형수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139-144
    • /
    • 2004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curacy of rover speed change in route surveying using RTK-GPS. Route surveying methods using GPS contain Static, DGPS, and RTK-GPS. Much research of navigation system, positioning of vehicles by DGPS, and accuracy analysis by GPS surveying have already been done. From this study, it is firstly found that DGPS is suitable for car navigation and sea navigation with an error of meter scale but not good for detailed construction, designing maps and updating GIS databases. Secondly, RTK-GPS can be used for managing gas pipes, water supply and drain pipes and fiber-optic cable that are needed to be controlled in a real time basis. Thirdly, since the accuracies of route surveying by RTK-GPS and DGPS are not correctly matched with the change of rover speed, the choice of route surveying method from those two should follow the need of accuracy fidelity Further study should focus on Cycle Slip problem and coordinate change problem in tunnel and mountainous areas.

  • PDF

GPS 및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대학시설물 현황측량의 성과분석 (Evaluation of GPS and Totalstation Surveying for University Facilities Mapping)

  • 박병욱;이대근;서상일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3-48
    • /
    • 2003
  • This study presents the detailed methods for university facilities mapping using GPS and totalstation. In the control survey by GPS network adjustment, the level of significance for the height value of fourth order triangulation stations was estimated about loom. The accuracy analysis of height determination by totalstation for the traverse points showed that the RMSE came out 9mm to the basis of direct leveling, so it indicated that trigonometric leveling by totalstation was correct comparatively. For GPS/RTK method, the result of accuracy analysis about traverse points showed that the RMSE came out 33㎜ in horizontal location to the basis of totalstation's outcome and 15㎜ in height value to the basis of direct leveling. In the construction survey, GPS/RTK surveying is quicker and more economical than totalstation surveying in the feasible areas of GPS surveying, but there were many impossible areas lot GPS/RTK surveying by the obstacles like a building.

  • PDF

GPS에 의한 지적측량기준점의 위치해석 (Positioning of Cadastral Control Points Using GPS)

  • 강준묵;김홍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09-218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지적측량기준점의 위치결정에 GPS측량을 실용화하기 위한 방법 도출에 목적을 두고 국내의 일부지역 내 지적삼각점 및 도근점을 대상으로 GPS측량을 수행하고 좌표변환기법과 GPS기선벡터에 의한 2차원 위치해석, 그리고 GPS와 지상측량데이타의 조합에 의한 위치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존 지적측량기준망의 점검 에 GPS측량방법이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GPS기선벡터를 이용한 2차원 위치해석방법은 좌표계 변환을 하지 않고도 국내의 좌표체계에서 적용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지적도근점 위치결정과 같은 소규모 지역에서 행하는 측량에는 신속정지측량 또는 이동측량으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Network RTK-GPS/GLONASS에 의한 지적측량 활용성 평가 (Availability Analysis of Network RTK-GPS/GLONASS)

  • 이종민;이인수;차득기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7-180
    • /
    • 2010
  • In cadastral field GPS mainly applies to fundamental survey, while there are numerous research about cadastral detail survey using GPS application in order to increase surveying efficiency as survey technology improve.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analyze the accuracy of position and estimate the efficiency of GPS/GLONASS combination surveying with control points. As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Network RTK-GPS/GLONASS combination survey is superior to Newtork RTK-GPS with respect to position accuracy and work efficiency.

  • PDF

궤도력에 따른 장기선 GPS 이동측량의 정확도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A Base Study on the Accuracy Analysis of GPS Kinematic Surveying of the Long-Baseline According to the Ephmeris)

  • 강준묵;이용욱;박정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1-127
    • /
    • 2000
  • 단시간 관측으로 많은 3차원 지형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GPS 이동측량은 수 km 이하의 단기선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장기선에 대한 위치결정은 비교적 오랜 시간이 요구되는 정지 측량에 의존하고 있어 단시간으로 장기선 위치결정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장기선에 대한 GPS 이동측량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 십 km 이상의 기선에 대한 기선거리별, 궤도력별 그리고 관측시간대별로 GPS 이동측량의 기선해석 정확도를 정지측량 결과와 비교ㆍ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PDOP이 4이하로 매우 양호한 경우 기선길이 약 60 km이하에서 신속정밀궤도력을 이용하면 수 분의 GPS측량으로 3차원 지형정보 획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IGS의 최종 정밀궤도력을 적용한 경우와 유사한 정확도 획득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장기선 GPS 이동측량에 대한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국토개발을 비롯한 각종 건설분야에 필요한 지형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1주파 GPS의 실무측량 활용성 증대 방안 (The scheme for increment of applicability of Single frequency GPS receivers in Public surveying)

  • 임수봉;이봉희;박홍기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1-86
    • /
    • 2004
  • GPS surveying is being applied in earnest in public and construction surveying field recently. However only large enterprise surveying companies have GPS equipments but almost of small companies don't have them because of that their financial status is always too poor to purchase the expensive equipments such as Dual frequency GPS receiver. This is caused by some misunderstanding that only Dual frequency GPS receiver can be used for Public surveying.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of Single frequency GPS receiver to achieve competitive power of small companies in future, we need to verify the applicability and recommend surveyors to use it.

  • PDF

Development of Positioning System Based on Auto VRS-GPS Surveying

  • Choi, Hyun;Kim, Young-Jong;Park, Woo-Sik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3-259
    • /
    • 2014
  • There has been a need for replacing human labors with a robot in such dangerous and hard jobs of various construction sites. For that reason, many researches have been made about the high quality robot, which performs its duty instead of human labors. This study is about auto surveying system development based on VRS-GPS which enables autodriving in dangerous areas where it's difficult for humans to measure directly. This study is about the auto-surveying system development, based on VRS-GPS, which enables auto-drive in dangerous areas, whereas difficult for humans to measure directly. The GPS is made with GRXI and SHC250 controllers of the SOKKIA company. The auto surveying system is composed of DPS module, geomagnetism sensor, bluetooth, gimbals, IMU, etc to automatic drive via enter into a route of position. The developed auto surveying system has installed the carmeras for front and vertical axis as well as systems to grasp situation of surveying with smartphone in real time. The result from analysed RMSE of auto surveying system and VRS-GPS surveying is 0.0169m of X-axis and 0.0246m of Y-axis.

GPS 측량에서의 관측시간과 기선거리에 따른 좌표정확도 비교 (Variation of Position Accuracy due to Observation Time and Baseline Distance in GPS Survey)

  • 김두식;박관동;이사형;이호석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7-190
    • /
    • 2010
  • GPS survey came into wide use, but there are inefficient parts in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Especially, to get GPS surveying results under 1.5cm permissible error the observation time must be longer than 8 hours in triangulation points surveying regulations. However, GPS surveying technology is developing now, so results could be acceptable under 4 hours observation time. Therefore, this study made a stable standard of observation time in GPS survey by comparing the errors due to observation time, and used PAJU, DOND and YANP's GPS data and 6 cadastral points' survey data. Also, to analyze the variations of results due to baseline distance, applied each GPS site as a fixed point and compared the positions. As a result, the stable satisfactory results were calculated under 4 hour survey, when the baseline distances were under 30k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