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PS 위치기반

Search Result 87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ser Relationship Formation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Android OS (위치정보를 이용한 안드로이드OS 기반의 사용자 관계형성 서비스 설계 및 구현)

  • Jang, Rae-Young;Jung, Sung-Jae;Bae, Yu-Mi;Sung, Kyung;Soh, Wo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10a
    • /
    • pp.535-538
    • /
    • 2011
  • Presently SmartPhone users over the 15 million are expected to exceed 20 million people by the end of the year. The prevalence of SmartPhone has brought positive results with a new paradigm. But, It makes a result that SmartPhone user should concentrate on mobile devi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avoided.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user network services that use a same application using located infomation based on android.

  • PDF

Implementation of Lane Luminance Measurement Application using Smartphone (스마트폰 기반의 도로 밝기 측정 어플리케이션)

  • Choi, Young-Hwan;Yum, HyoSub;Park, Doo-Soon;H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298-301
    • /
    • 2014
  • 최근까지의 교통사고 통계에 따르면 주간 보다는 야간에 더 많은 사고가 발생하며, 사고 원인 중 하나는 부적절한 조명 시설로 인한 시야 미확보, 눈의 피로감 증가가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기반으로 야간 도로 밝기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여 야간에 부적절한 조명 시설이 설치된 지점을 파악하기 위해서 위치 정보와 밝기 정보, 이동 방향 정보를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모니터링해주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안드로이드 NDK을 이용하여 Native 환경에서 차선 검출 및 RGB 색 공간의 값을 휘도 값으로 변환 알고리즘을 작성하였다. 또한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도로 영상을 입력 받은 후 ROI 설정 하여 연산 속도를 향상시켰고, 차선 검출을 통해 차선 사이의 도로 밝기 정보를 획득하고 GPS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 방향 정보와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였다. 어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의 주행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 밝기 값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눈부심 및 조명관련 사고 위험 구간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후속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Hiking Apps for Analyzing the User Characteristics in Forest Recreation Area: Focusing on Daegwallyoung Area (산림휴양공간 이용특성 분석을 위한 국내 스마트폰 산행앱(APP)의 적용성 및 활용방안 연구: 대관령 선자령 일대를 중심으로)

  • Jang, Youn-Sun;Yoo, Rhee-Hwa;Lee, Jeong-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8 no.3
    • /
    • pp.382-391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smartphone hiking apps, which generate social network 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re useful tools for analyzing the use characteristics of a forest recreation area. For this purpose, the study identified the functions and service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hiking apps. Also, the us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of Daegwallyoung were analyze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field survey, and the applicability of hiking apps was reviewed. As a result, the service types of hiking app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ree categories: "information offering," "hiking record," and "information sharing." This study focused on an app that is one of the "hiking record" types with the greatest number of users. Analysis of the data from hiking apps and a field survey in the Daegwallyoung area showed that both hiking apps and the field survey can be used to identify the movement patterns, but hiking apps based on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re more efficient and objective tools for understanding the use patterns in a forest recreation area, as well as for extracting user-generated photos. Second, although it is advantageous to analyze the patterns objectively through the walking-speed data generated, field surveys and observation are needed as complements for understanding the types of activities in each space. The hiking apps are based on cellphone use and are specific to "hiking" use, so user bias can limit the usefulness of the data. It is significant that this research shows the applicability of hiking apps for analyzing the use patterns of forest recreation areas through the location-based social network data of app users who record their hiking information voluntarily.

실시간 위성항법신호 이상 인가 시뮬레이터 설계

  • Hong, Cheol-Ui;Jo, Deuk-Jae;Sin, Mi-Yeong;Yu, Yun-J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74-75
    • /
    • 2012
  • 신뢰성 있는 위성항법기반의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및 필요한 항법신호의 이상을 감시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위성항법신호의 이상을 재현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항법신호를 생성하는 시뮬레이터가 아닌 실시간 위성항법신호에 이상을 인가하는 시뮬레이터를 설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간 위성항법신호 이상 인가 시뮬레이터는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기 메시지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수신부분과, 위성항법신호의 이상을 생성하는 이상생성부분, 항법신호의 이상을 감시하는 서비스에 전달하는 신호조합부분으로 나누어 전체 시스템을 모듈화 하였으며, 시스템에 대한 안정성 및 향후 정상상태의 위성항법신호와 이상상태의 위성항법신호를 비교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위성항법신호에 이상을 인가하여 보다 실제상황에 맞는 이상을 재현할 수 있게 되었으며,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위성항법시스템 개발에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High Accuracy of Indoor Hybrid Positioning Method based on Mobile Device (모바일 단말 기반 고정밀 실내 융합 측위 방법)

  • Lee, J.K.;So, W.S.;Lee, J.S.;Yoo, S.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6
    • /
    • pp.113-125
    • /
    • 2014
  • 최근 모바일 단말 기술의 발전과 무선망의 성능 향상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며, 위치정보인식시스템과 결합된 서비스에 많은 관심이 높아졌다. 본고에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신호가 미치지 못하는 건물의 실내환경에 적합한 경로 안내서비스 및 지하시설물 안내 등 초정밀 실내 측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융합 측위 방안을 제안한다. 융합 측위 방안은 실내외 연속 측위를 위해 실외에서는 GPS를 이용하고 실내환경에서는 WLAN 기반의 측위 전용 AP(Access Point)를 이용, 전파신호의 LoS(Line of Sight)를 확보하여 측위하고 전파음영지역에서는 스마트폰의 가속도, 자이로센서 등 여러 가지 관성센서를 활용하여 PDR(Pedestrian Dead Reckoning) 알고리즘 등을 적용하여 측위한다. 또한 측위 정확도 향상 및 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LSE(Least Squire Estimation) 및 EKF(Extended Kalman Filter), KNN(K-Neighbor Node)/MSSM(Maximum Signal Strength Model) Algorithm 등 다양한 융합 측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실내환경에 적합한 최적의 초정밀 실내 측위 서비스를 제공한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chool Bus Information's Application based on Android Platform (Android 플랫폼 기반의 교내 버스 정보 앱 설계 및 구현)

  • Lee, Se Jong;Shin, Min Chul;Kim, Hyun Ju;Kwak, H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117-11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NFC와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Android 플랫폼 기반의 버스 정보 알림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NFC Tag read 모듈과 블루투스 통신 모듈로 구성하였으며, NFC Tag read 모듈은 NFC Tag에 저장된 버스 정류장 정보를 읽는 기능을 제공하고,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구현한 블루투스 통신장치로부터 전송받은 교내 버스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버스타요' 앱에 전송받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이 앱을 통하여 교내 버스를 이용하는 학생들이 보다 편리하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Reducing the handover latency and buffer size in Fast handover PMIPv6 with GPS (GPS를 이용한 빠른 핸드오버 시의 핸드오버 지연과 필요 버퍼 절감 기법 제안)

  • Park, Changyong;Shon, Minhan;Choo, Hyu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583-585
    • /
    • 2012
  • PMIP (Proxy Mobile IPv6)은 네트워크 기반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로, 호스트 기반 이동성 프로토콜에 비해 핸드오버 시간을 줄였지만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였고 핸드오버 시의 패킷 손실에 대해서도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핸드오버 시간을 줄이고 패킷 손실을 방지하여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빠른 predictive 핸드오버 방식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 방식을 이용할 경우 predictive 모드에서의 핸드오버 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불필요한 핸드오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GPS를 이용하여 MN (Mobile Node)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predictive 모드에서의 빠른 핸드오버 절차 진행 시 발생하는 문제점 해결을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Magnetic Markers-based Autonomous Navigation System for a Personal Rapid Transit (PRT) Vehicle (PRT 차량을 위한 자기표지 기반 무인 자율주행 시스템)

  • Byun, Yeun-Sub;Um, Ju-Hwan;Jeong, Rag-Gyo;Kim, Baek-Hyun;Kang, Seok-W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1
    • /
    • pp.297-304
    • /
    • 2015
  • Recently, the demand for a PRT(Personal Rapid Transit) system based on autonomous navigation is increasing. Accordingly, the applicability investigations of the PRT system on rail tracks or roadways have been widely studied. In the case of unmanned vehicle operations without physical guideways on roadways, to monitor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n real time is very important for stable, robust and reliable guidance of an autonomous vehicle.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has been commercially used for vehicle positioning. However, it cannot be applied in environments as tunnels or interiors of buildings. The PRT navigation system based on magnetic markers reference sensing that can overcome these environmental restrictions and the vehicle dynamics model for its H/W configuration are present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design of a control S/W dedicated for unmanned operation of a PRT vehicle and its prototype implementation for experimental validation on a pilot network were successfully achieved.

The Role and Prospect of Smart Platform in Disaster Management (재난관리 분야에서 스마트 플랫폼의 역할과 전망)

  • Lee, Dong-Hoon;Kim, Soo-Dong;Choi, In-Sang;Ki, Gi-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60-261
    • /
    • 2017
  • 최근 사회구조의 복잡화, 산업구조의 다변화, 기후변화 등에 의해 자연재해 및 산업재해, 도시재난이 급증하고, 그 규모 또한 대형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에너지, 통신, 교통, 금융 등 공공 인프라의 피해가 급증하면서 작은 재해도 큰 재난으로 변하는 예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현대사회에 대한 IT의 관여도가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IT 서비스의 궁극적인 형태이자, 모든 산업을 수용하는 개념의 플랫폼(Platform)이 IT를 넘어서 글로벌 사회의 절대적 지배자로 등장했다. 또한 전 세계 유저들의 관점에서 보면 개개인들이 손에 든 스마트폰이 생활의 모든 분야에 걸쳐 소통, 정보, 쇼핑, 제보, 오락 등 모든 활동의 수단으로 절대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이는 스마트폰이 가진 스마트 데이터 생산 및 공유 기능에서 비롯된다. 이처럼 스마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IT플랫폼이 중요한 위치를 점하지만, 아직 재난관리 분야에서 이를 본격적으로 도입,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큰 문제이다. 국내의 사정을 보면 다행히 벤처기업들을 중심으로 이 같은 플랫폼 구축 움직임이 시작되었으며, 여기에 활용될 데이터 자원을 창출할 수 있는 솔루션 및 특허기술들 역시 속속 등장하고 있다. 시민들이 재난현장을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공유하면 이 스마트 데이터들이 이미지 및 음향정보, 위치기반(GPS)정보, 시각정보, 3D정보, 빅데이터 정보, 센서정보 등으로 분류되어 플랫폼 안에서 인공지능(AI) 딥러닝 방식에 의해 분석되고, 이를 즉시 재난당국 및 시민들에게 재난긴급문자 등 자동으로 경보로 전해주는 것이 이 플랫폼의 핵심 기능이다. 몇몇 벤처기업이 보유한 특허기술을 기반으로 공공자본이 투입되어 이러한 플랫폼이 구축될 경우 국내 재난관리 수준의 획기적 발전은 물론 전 세계를 시장으로 한 플랫폼 수출 또는 글로벌 재난정보 수집능력에서도 엄청난 힘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KAI-R: KAIST Railroad Indoor Navigation System for Subway Station (지하철 역사에서 실내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KAI-R 시스템)

  • Lee, Gunwoo;Ko, Daegweon;Kim, Hyun;Han, Do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8 no.5
    • /
    • pp.156-170
    • /
    • 2019
  • Rapid increasing of smartphones has changed people's lifestyles, and location-based services are providing a platform to provide various conveniences in accordance with these changes. In particular, it may provide convenience to many users if location-based services are provided in an indoor area such as subway station. However, it is still a difficult task to ensure accurate positioning result for guiding routes in subway stations. This study proposes a KAI-R system that allows all processes to be performed in one system for indoor navigation in subway stations. The proposed system includes a new pedestrian step detection method for continuous positioning along with an improved fusion positioning algorit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