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PS,

검색결과 5,455건 처리시간 0.027초

항공기용 지상 GPS 시스템의 송신안테나 최적배치 방법 (An Adoptable Deployment Method to the Transmitting Antennas of a Ground based GPS System for Aircraft)

  • 임중수;채규수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05-10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공항에서 항공기를 위해서 사용하는 지상용 GPS 시스템의 송신안테나 최적배치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항공기는 정확한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위성 GPS 신호를 주로 사용하지만 기상변화나 재밍신호 등으로 인하여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지상 GPS 시스템을 사용한다. 지상 GPS 시스템은 송신안테나의 위치에 따라서 위치정확도가 크게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 GPS 시스템의 송신안테나 배치에 따른 측위정확도(DOP)를 예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으며, 12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지상에서 고도 10km까지 3차원 영역에 적용하여 DOP 2.5인 영역을 정확하게 도출하였다.

약 신호 환경에서 효율적인 A-GPS 초기동기 방법 (An Efficient Assisted-GPS Acquisition Method in Weak Signal Environment)

  • 박상현;이상정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96-102
    • /
    • 2004
  • For sensitivity enhancement, the general assisted-GPS acquisition method adopts not only the coherent accumulation technique but also the non-coherent accumulation technique since the long coherent accumulation period increases the number of frequency search cells. But the non-coherent accumulation technique causes tile squaring loss, which is a dominant factor among the acquisition losses of assisted GPS dealing with weak GPS signals. This paper derives the squaring loss of the previous assisted-GPS acquisition method and proposes an assisted-GPS acquisition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of squaring loss in weak signal environment. In this paper, it is explained that the proposed assisted-GPS acquisition method prevents the squaring loss using a coupled coherent accumulation technique and the number of search cells of the proposed assisted-GPS acquisition method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previous assisted-GPS acquisition method. Finally, through the simulation by the GPS simulator, the acquisition success rate of the proposed assisted-GPS acquisition method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previous assisted-GPS acquisition method and the acquisition improvements are shown in weak signal environment.

GPS 안테나 위상중심변동 보정모델 비교 (Comparison of Calibration Models for GPS Antenna Phase Center Variations)

  • 박관동;원지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9-326
    • /
    • 2006
  • GPS 장비를 이용하여 특정 지점의 정확한 좌표를 계산하려면 다양한 GPS 측위오차 유발요인에 대한 최신 모델이 필요하다. 특히 GPS 안테나 기준점에 대한 위상중심변동을 고려하지 않으면 고가의 측지용 GPS 안테나의 경우에도 수 cm수준의 수직좌표 오차가 발생한다. 이 연구에서는 국제적으로 널리 쓰이는 네 가지 위상중심변동 보정모델을 국내 상시관측소 데이터 처리에 적용하고 선택된 모델에 따른 좌표 차이를 분석하였다. 국토지리정보원과 행정자치부 GPS 상시관측소 전체 44개소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의 상대보정법과 최신 절대보정법을 비교했을 때 평균 1.3-2.6cm의 수직 좌표 차이가 관측되었다. 수신기 좌표뿐만 아니라 GPS로 산출한 가강수량에서도 최대 4mm 차이가 발생하였다.

악천후시 GPS PWV의 측정 정밀도 검증 및 GPS PWV 변화도 작성 (Precision Evaluation of GPS PWV and Production of GPS PWV Tomograph during Foul Weather)

  • 윤홍식;송동섭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9-74
    • /
    • 2003
  • GPS/Meteorology technique for PWV monitoring is currently actively being researched an advanced nation. But, there is no detailed research on an evaluation of precision of GPS derived PWV measurements during the period of foul weather condition. Here, we deal with the precision of GPS derived PWV during the passage of Typhoon RUSA. Typhoon RUSA which caused a series damage was passed over in Korea from August 30 to September 1, 2002. We compared th tropospheric wet delay estimated from GPS observation and radio-sonde data at four sites(Suwon, Kwangju, Taegu, Cheju). The mean standard deviation of PWV differences at each site is ${\pm}$0.005mm. We also obtained GPS PWV at 13 GPS permanent stations(Seoul, Wonju, Seosan, Sangju, Junju, Cheongju, Taegu, Wuljin, Jinju, Daejeon, Mokpo, Sokcho, Jeju). GPS PWV time series shows, in general, peak value before and during th passage of RUSA, and low after the RUSA. GPS PWV peak time at each station is related to the progress of a typhoon RUSA. We obtained very similar result as we compare GMS satellite image with tomograph using GPS PWV and we could present th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by numerical model for weather forecast.

  • PDF

지적세부측량에 있어서 RTK-GPS의 실용화 방안 (Direction for the Practical Use of RTK-GPS in Cadastral Detail Surveying)

  • 이우화;홍성언;오이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9-95
    • /
    • 2009
  • RTK-GPS 측량의 경우, 정확성과 효율성이 입증되고 있기는 하나 건물밀집 지역에서의 위성 수신장애로 인한 정확도의 저하, 실무 적용을 위한 세부지침의 불비 등의 여러 문제로 인하여 기초측량과는 달리 지적세부측량에서는 GPS 측량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실무에서 RTK-GPS 측량 적용의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실용화를 위한 세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실용화 방안으로서 규정 제정 방안, 실질적인 RTK-GPS 측량의 적용을 기존 세부측량 방법 등과의 연계활용 방안, 기준국 배점밀도 향상을 위한 가상기준점 방식의 도입, 정확도와 성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GPS, GLONASS, Galileo 위성의 통합 활용을 제시하였다.

  • PDF

데이터링크를 사용하는 체계에서 GPS 재밍(Jamming)과 GPS 기만(Spoofing)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방안 연구 (A Study to Efficiently Overcome GPS Jamming and GPS Spoofing by using Data Link System)

  • 지승배;김상준;이정식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7-45
    • /
    • 2015
  • These days many systems use the gps signal to get their own position. Because it's cheap and accurate and convenient. But, the strength of gps signal is very weak and can be easily interrupted by GPS jamming and GPS spoofing. Normally, fighter can use DME, TACAN, etc to correct their position error when GPS is not working. But, many aircraft which does not have those kinds of hardware need to pay additional cost to get it. In this paper, we propose how to overcome GPS jamming and GPS spoofing by only using data link system.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the data link protocol to get an exact position information of own unit at gps error environment.

전자자기 컴퍼스를 이용한 GPS 컴퍼스의 선수방위 안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ip's Heading Stabilization of GPS Compass Using Electromagnetic Compass)

  • 조현정;신형일;이대재;현윤기;배문기;김광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1권1호
    • /
    • pp.70-77
    • /
    • 2005
  • 연근해 어선에서 사용되는 저가이면서 고정도의 GPS 컴퍼스는 위성 신호의 차단 및 선박이 고속 선회시 선수방위의 산출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 전자자기 컴퍼스를 이용하여 안정된 선수방위 검출이 가능하도록 고안한 하이브리드 GPS-전자자기 컴퍼스를 시작(試作)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고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텝모터를 이용한 선회각속도별 실험에서 GPS 컴퍼스는 선회각속도 25^{\circ}$/sec 이하에서는 1회/sec 씩 0.1^{\circ}$ 단위로 안정된 선수방위를 검출하였으나, 그 이상의 선회각속도에서는 선수방위를 검출하지 못하였다. 한편, 전자자기 컴퍼스는 선회각속도에 상관없이 항상 선수방위를 나타내었으나, 컴퍼스 오차를 내포하고 있어 GPS 컴퍼스에 비해 정밀도는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고정점과 차량으로 이동 중에 하이브리드 GPS-전자자기 컴퍼스의 선수방위 정보를 출력한 결과, GPS 컴퍼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한 경우에는 GPS 컴퍼스의 선수방위 정보가 출력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선수방위 정보가 출력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전자자기 컴퍼스의 선수방위에 컴퍼스 오차를 가감하여 출력됨으로써 선수방위가 안정적으로 제공되었다. 또한, GPS 컴퍼스와 전자자기 컴퍼스에 의한 선수방위의 유사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두 데이터의 이동거리에 대한 선수방위를 이용하여 공분산분석을 행한 결과, 두 컴퍼스의 선수방위는 95%의 신뢰수준으로 유사성이 검증되었다.

정밀 차량 위치결정을 위한 GPS/IMU/SPR 통합 알고리즘 개발 및 성능 분석 (Development of GPS/IMU/SPR Integrated Algorithm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Determination of Precise Car Positioning)

  • 한중희;강범연;권재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3-171
    • /
    • 2014
  • 현재 GPS/IMU 기반의 차량항법기술은 GPS 신호 불량지역에서 위치 정밀도가 급격하게 저하된다. 근래에는 많은 차량에 주행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음에 따라 만약 도로시설물을 위치를 알 수 있을 경우 단사진 후방교차법(SPR)을 통해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산출할 수 있다. SPR로 추정된 외부표정요소는 GPS/IMU 항법해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음에 따라 GPS 신호 수신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차량의 위치 및 자세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PS, IMU, 사진측량 기술인 SPR을 결합하여 GPS 수신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 및 자세를 결정하는 GPS/IMU/SPR 통합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GPS/IMU/SPR 통합 알고리즘은 확장형 칼만필터를 이용하여 약결합 방식으로 구현하였다. 또한 개발된 GPS/IMU/SPR 통합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GPS 수신환경 및 영상에 획득되는 기준점의 배치에 따른 시뮬레이션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테스트 결과, GPS/IMU/SPR 결합을 통해 산출되는 위치 및 자세가 GPS/IMU 결합 결과보다 안정적으로 산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영상의 기준점이 영상 중앙에 집중되어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광축 방향으로 위치 오차가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GPS/IMU/SPR 통합 알고리즘 성능을 면밀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SPR 수행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영상점 및 지상점의 측정오차, 초기 외부표정요소에 따른 성능 분석이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VRS 개념에 기반한 GPS 상시관측소 활용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GPS CORS Based on VRS Concept)

  • 박운용;이용희;곽두호;배경호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9-113
    • /
    • 2003
  • GPS 상시관측소의 활용과 중요성은 GPS측량에서 폭넓은 사용과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충족시키는 방안으로 점점 가치를 더 하고 있다. 현재 RINEX 포맷 형태로 인터넷 서비스를 하고 있는 GPS 상시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준점으로써의 가치를 평가하고 또한 시간과 경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인 VRS-GPS기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임의의 기준국을 설치하여, 기존 삼각점과 GPS 상시관측소를 이용해 관측망을 형성, 그 결과를 비교 고찰하였으며 이 기준국을 RTK-GPS의 고정국으로 하여 실시간 측위를 하였다. 고정국은 전자 가상 기준국인 VRS-RTK 개념으로 가정하고 비교, 검증하였다.

  • PDF

GPS와 GPS/GLONASS의 측위수행 능력 비교 (The Capability Comparison of Positioning Performances using GPS and GPS/GLONASS)

  • 박운용;이인수;김진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9-66
    • /
    • 2001
  • GPS/GLONASS 결합을 통해 위성의 가시성, 정확성, 그리고 이용성 등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두 시스템 결합에서 시간계 차이, 좌표계 차이, 그리고 GLONASS의 상이한 주파수에 의해 결합 반송파 주파수에서 반송파 미지정수 결정에 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독위치결정에서 GPS/GLONASS 결합에 의한 위치결정 정확도를 평가하고, GPS/GLONASS 결합에 의한 위성의 가시성과와 위성신호 수신고도각에 따른 자료획득율을 검토함으로써 GPS/GLONASS 결합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