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S software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31초

DEVELOPMENT OF OPEN GIS COMPONENT SOFTWARE

  • Choi, Hae-Ock;Kim, Kwang-Soo;Lee, Jong-H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88-193
    • /
    • 1999
  • Technology of GIS evolved as a means of assembling and analyzing diverse spatial data. Many systems have been developed, and almost of systems are proprietary. There is a lots of lack of interoperability and reusability between them.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Open GIS component software. The developing system have an end in view of GIS tool software which is interoperable and reusable. To increase the interoperability and reusability, the system is based on the OGC(Open GIS Consortium)'s Open GIS Simple Features Specification for OLE/COM. The OGC's specification is announced to increasing the full interoperability of various geospatial data and geoprocessing resources. With the Open specification, component based software ensures the reusability. We implement three kinds of component: Geometry component, Spatial Reference System Component, and MapBase Component. The first two components are compatible to the OGC's specification and the third one is designed to GIS tool software for variant GIS applications. The Open GIS component software system is developed on object-oriented computing environment, ATL/COM and Visual C++. As we made application programs using Visual Basic, the advantages of component based Open GIS software was proved.

  • PDF

ISO/IEC 9126 기반 GIS 소프트웨어 품질향상을 위한 연구 (A Study of Improvement for the Quality GIS Software Based ISO/IEC 9126)

  • 이상복;송기평;신석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56-958
    • /
    • 2012
  •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IT 및 서비스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에게 많은 지리적 정보를 제공하고, 다른 서비스 정보와 융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재창조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GIS인데 GIS는 크게 2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첫째는 도로, 상수도, 인구 등 GIS 데이터이고 둘째는 GIS 데이터를 처리하는 소프트웨어(엔진 및 API)들이다. 오류가 없는 GIS 데이터를 GIS소프트웨어가 분석, 처리 및 활용하여 새로운 정보를 생산하고 활용되지만 GIS 소프트웨어의 낮은 품질 수준은 잘못된 정보를 생산하여 사용자에게 잘못된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GIS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단계부터 ISO/IEC 9126 기반으로 GIS 소프트웨어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매트릭과 방법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 PDF

시험사례를 통한 GIS 소프트웨어의 품질개선 비용 (GIS Software Quality Improvement Expense For a Testing Instance)

  • 조성재;김선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74-48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10개의 GIS 소프트웨어에 대한 평가사례를 조사한 결과로 GIS 소프트웨어의 품질수준지표를 나타냈다. 이를 기반으로 GIS 소프트웨어 시험 사례의 축적된 결함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결함 개선비용에 관한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품질에 대한 투자와 효과를 측정하여 품질확보에 필수적인 비용을 정량적으로 산출함으로써, 기업 또는 산업 단위의 품질투자의 당위성을 홍보하는데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GeoVideo: A First Step to MediaGIS

  • Kim, Kyong-Ho;Kim, Sung-Soo;Lee, Sung-Ho;Kim, Kyoung-Ok;Lee, Jong-H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827-831
    • /
    • 2002
  • MediaGIS is a concept of tightly integrated multimedia with spatial information. VideoGIS is an example of MediaGIS focused on the interaction or interaction of video and spatial information. Our suggested GeoVideo, a new concept of VideoGIS has its key feature in interactiveness. In GeoVideo, the geographic tasks such as browsing, searching, querying, spatial analysis can be performed based on video itself. GeoVideo can have the meaning of paradigm shift from artificial, static, abstracted and graphical paradigm to natural, dynamic, real, and image-based paradigm. We discuss about the integration of video and geography and also suggest the GeoVideo system design. Several considerations on expanding the functionalities of GeoVideo are explained for the future works.

  • PDF

A GIS, GPS, Database, Internet GIS $software{\copyright}$ The First Arabian GIS $Software\copyright}$

  • El-Shayal, Mohamed El-Sayed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695-697
    • /
    • 2006
  • Elshayal $Smart{\copyright}$ software is an almost First Arabian GIS $software{\copyright}$ which completely developed by Arabian developers team and independent of any commercial software package. The software current Features are View and Edit shape files, build new layers, add existing layers, remove layers, swap layers, save layers, set layer data sources, layer properties, zoom in & zoom out, pan, identify, selecting features, invert selection, show data table, data query builder, location query builder, build network, find shortest path, print map, save map image, copy map image to clipboard, save project map, edit move vertex, edit move features, snap vertexes, set vertex XY, move settings, converting coordinate system, applying VB script, copy selected features to another layer, move selected features to another layer, delete selected features, edit data table, modify table structure, edit map features, drawing new features, GPS tracking, 3D view, etc... The software expected Features are: Viewing raster image and image geo-referencing, read other map formats such as DXF Format and Tiger Line Format.

  • PDF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활성화를 위한 요구사항 분석 (User Requirements Analysis for Vitalization of Open Source GIS Software in Korea)

  • 강영옥;권회윤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6호
    • /
    • pp.99-107
    • /
    • 2015
  • 최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시장은 더 커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공간정보 분야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활성화를 위한 노력은 거의 이루어진 바 없다. 본 논문은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활용 현장에 적합한 활성화 지원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추진된 활성화 관련 연구를 검토하고,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의 인지도, 활용현황, 도입의향 및 활성화 지원방안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의 도입 의향은 기업에서 97%, 학교에서 89%로 높았으나 공공기관에서는 69%로 나타나 공공기관의 인지도 개선을 위한 홍보 활동이 필요함을 시사 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응답자가 활성화 지원방안으로 교육 기회와 기술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향후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생태계 분석 (An Analysis of Open Source GIS Software Ecosystem in Korea)

  • 강영옥;강애띠;권회윤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67-79
    • /
    • 2014
  • 최근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에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도입 및 활용이 크게 늘고 있다. 특히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민간 기업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생태계 활성화정도를 확인하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생태계의 주요 역할자는 정부, 기업, 학계 및 연구계, 비영리재단 등이다. 정부는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에 대한 R&D 투자나 지원에 대한 정책을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관련기업은 그 숫적인 측면에서도 작을 뿐만 아니라 수익을 창출하는 명확한 비즈니스 모델을 갖고 있지 않았다. 학계 및 연구계는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의 활용이 매우 낮으며, 이는 생태계 내에 핵심인력을 제공하는데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영리재단은 2009년 설립된 OSGeo 한국어지부가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질적인 측면에서나 활성화 측면에서는 아직 미약한 수준이다.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생태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참여하는 각 주체별 노력이 필요하다. 그 가운데에서도 정부는 이 생태계의 활성화에 가장 큰 시발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정부에서 추진되어야 할 과제와 관련하여 첫째,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에 대한 R&D투자 둘째, 공공부문에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시범구축사업, 셋째, 관련 인력양성, 넷째,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국제협력, 홍보마케팅과 관련된 노력 등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공간정보 상호운용성 지원을 위한 컴포넌트 기반의 개방형 GIS 소프트웨어 (Open GIS Component Software Ensuring an Interoperability of Spatial Information)

  • 최혜옥;김광수;이종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8D권6호
    • /
    • pp.657-664
    • /
    • 2001
  • 최근의 정보기술은 특정 시스템 환경이나 정보구조에 의존하지 않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형 아키텍처,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을 지원하는 컴포넌트와 인터넷상에서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를 지향하여 발전하고 있다. 지구 공간상에 존재하는 자연, 도로, 건물, 시설물 등의 공간정보를 다루는 지리정보시스템은 정보 구축의 복잡성과 정보포맷 및 처리기술의 다양화로 정보의 상호호환 및 재사용이 특히 요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본 논문은 컴포넌트 기반의 개방형 GIS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에 관한 것으로 최근 정보기술 변화의 큰 축인 개방형 시스템과 소프트웨어의 컴포넌트 추세를 GIS에 접목하여 공간정보의 상호 운용성을 지원하고 다양한 GIS 응용시스템 구축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GIS 미들웨어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GIS 분야의 기술표준기구인 OGC(Open GIS Consortium)에서 제안한 분산 개방형 공간정보처리 아키텍처를 수용하고, 다양한 응용에의 신축적인 대응을 위하여 GIS 요소기술을 제공하는 각 기능별 컴포넌트를 개발하였다. 시스템 구성은 다양한 지리정보원에 일관적인 방법으로의 접속을 위한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GIS 요소기술을 제공하는 핵심공통 컴포넌트, 그리고 분산환경에서의 공간정보 유통을 지원하는 정보유통 컴포넌트로 구성되며, 이들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5종류 지방자치단체 GIS 응용시스템을 구축하였다. OLE COM 기반의 컴포넌트 소프트웨어로 MS Windows 환경에서 ATL COM으로 개발되었으며, 20여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된다. 개발된 컴포넌트 소프트웨어는 지방자치단체간의 공간정보 통합운용을 위한 정보유통 시범사업의 기반기술로 활용되어 기술의 중요성 및 우수성이 확인되었으며, 현재 7대 지하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의 기반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 PDF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제안 (Business Models Proposal for Korean Open Source GIS Software Companies)

  • 손세린;강영옥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1호
    • /
    • pp.187-19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을 유형화하여 정리하고 공간정보 분야에서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한 후 국내 공간정보 기업에 적합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전략을 제안하였다. 비즈니스 모델 제안은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들과의 인터뷰 및 사례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비즈니스 모델 분석 방법론은 경영학에서 활용하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활용하였다.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의 성격에 따라 달리하였는데, 배포자 유형 기업은 앞으로는 해당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하는 보다 전문적인 서비스를 통한 비즈니스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생산자 유형 기업은 국내시장뿐만 아니라 세계시장으로의 진출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심의 증가 속도로 볼 때 서드파티 서비스 공급기업의 수는 앞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서드파티 서비스 공급자 기업은 기술력 확보를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 VIDE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SUPPORTING BI-DIRECTIONAL SEARCH FOR VIDEO DATA AND GEOGRAPHIC INFORMATION

  • Yoo, Jea-Jun;Joo, In-Hak;Park, Jong-Huyn;Lee, Jong-H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51-156
    • /
    • 2002
  • Recently, as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which searches, manages geographic information is used more widely, there is more requests for some systems which can search and display more actual and realistic information. As a response to these requests, the vide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hich connects video data obtained by using cameras and geographic information as it is by displaying the obtained video data is being more popular. However, because most existing vide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consider video data as an attribute of geographic information or use simple one-way links from geographic information to video data to connect video data with geographic information, they support only displaying video data through searching geographic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vide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hich connects video data with geographic information and supports hi-directional search; searching geographic information through searching video data and searching video data through searching geographic information. To do this, we 1) propose an ER data model to represent connection information related to video data, geographic information, 2) propose a process to extract and to construct connection information from video data and geographic information, 3) show a component based system architecture to organize the vide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