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IS 맵핑

Search Result 3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yGIS-Landslide (HyGIS-Landslide의 개발 및 평가)

  • Kim, Kyung-Tak;Park, Jung-Sool;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91-293
    • /
    • 2010
  • 최근 발생하고 있는 국지성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로 인해 강원도와 경상북도 등을 중심으로 산지하천유역의 산사태 피해가 급증하고 있으며 발생면적은 연평균 402ha에 이르며 연평균 피해면적은 80년대에 비해 2000년대 들어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하천 유역의 토사유출재해 취약성 분석을 위해 GEOMania GMMap 기반으로 구동되는 산사태 분석모듈(HyGIS-Landslide)을 개발하였다 HyGIS-Landslide는 산림청의 산사태 위험지도 제작에 사용된 위험지역 평가기준을 참조하였으며 DEM을 이용하여 경사인자 및 사면인자를 생성하고 수치지질도, 수치임상도 산림입지도 등과의 연산을 통해 위험등급에 대한 분류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과거 산사태 발생지역에 대한 맵핑 경과가 존재하는 경우 산사태 위험지역 분류결과를 과거 사상과 중첩하여 분류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 PDF

Analysis of Rainfall Triggering Debris Flow Using HyGIS-GRM (HyGIS-GRM을 이용한 토석류 유발 강우 특성 분석)

  • Park, Jung-Sool;Kim, Kyung-Tak;Choi,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17-1321
    • /
    • 2010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국지성 집중호우가 증가함에 따라 토석류 발생면적과 피해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강우는 토석류의 유발 뿐 만 아니라 토석류 발생규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유발강우에 대한 분석은 향후 토석류 대응을 위한 경보기준이나 대책의 설계목표를 설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김경석, 2008) 누가강우량, 강우강도, 강우지속시간 및 선행 강우량 등의 강우 특성과 토석류 발생과의 관계를 제시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를 유발하는 강우 특성을 레이더 강우와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특정 격자안에 토석류 발생부가 많이 포함될수록 강우에 의한 영향이 컸을 것이라는 가정을 바탕으로 항공사진을 이용해 취득한 발달 단계별 토석류 맵핑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지점강우를 이용하여 조건부 합성방법으로 보정된 1 km 해상도의 레이더 보정강우와 GIS와 연계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HyGIS-GRM을 이용하여 격자별 강우량을 산정하고 강우특성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토석류는 흐름누적수가 0인 능선부위에서 대부분 발생하였으며 발생부 포인트가 많이 포함될수록 2~3시간 동안의 강우강도가 매우 크게 제시되었다.

  • PDF

Web-based Virtual City Development using 3D GIS (3차원 GIS를 이용한 웹 기반의 가상 도시 구현)

  • Song, Sang-Hun;Jung, Young-K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694-699
    • /
    • 2007
  • 2D에서 3D로 이동하고 있는 현재의 GIS는 자료 크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고 이로 인해 처리속도가 느려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실시간 렌더링(Rendering) 욕구는 커지고 있다. 대용량의 공간자료에 대한 처리속도, 3차원 처리기술, 가상현실 처리기술 등의 제약조건과 함께 3차원 GIS를 가시화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성 및 항공으로부터 획득된 DEM 데이터를 이용하여 VRML로 가시화하여 3차원의 지형 정보를 생성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지형 데이터에 LOD(Level of Detail) 기법을 통한 단순화 과정을 거쳐 3차원의 지형정보를 획득하고, 수치지도를 기반으로 한 모델링 및 텍스처 맵핑 과정을 통해 3차원의 도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렇게 획득된 도시 정보에 3차원 공간적인 조건 및 검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쉽게 건물 및 도로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고, 네비게이션 및 시뮬레이션 기능을 추가한 웹 기반의 3차원 가상 도시를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items of Korean Marine GIS Software Based on S-100 Universal Hydrographic Standard (S-100 표준 기반 해양 GIS 소프트웨어 국산화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LEE, Sang-Min;CHOI, Tae-Seok;KIM, Jae-Myung;CHOI, Yun-S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5 no.3
    • /
    • pp.17-28
    • /
    • 2022
  •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next-generation mapping of marine information required to develop a base of the utilization localization of maritime production tools. The GIS data-processing products and technologies currently used in the Korea's marine sector depend on external applications which is renewal costs, technical updates, and unreflected characteristics. Meanwhile, the S-100 standard, the next generation hydrographic data model that complements S-57's problems in marine GIS data processing, was adopted as a new marine data standard.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marine GIS technology in Korea and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GIS software based on the next generation hydrogrphic data model S-100 standard of IHO(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S-100-based marine GIS localizati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dustrial ecosystem development research is expected to scientific decision-making on policy issues that occur with other countries such as marine territory management and development and use of marine resources.

Unity3D-Based Flood Simulation Visualization Web System for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효과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Unity3D 기반 홍수 시뮬레이션 가시화 웹시스템)

  • GANG, Su-Myung;RYU, Dong-Ha;CHOI, Yeong-Cheol;CHOUNG, Yun-J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0 no.1
    • /
    • pp.98-112
    • /
    • 2017
  • Recently, variou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use of a game engine instead of a commerci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engine for the development of 3D GIS. The advantage of the 3D game engine is that it allows developers to develop various modules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In particular, in the area of disasters, a wide range of alternatives for prevention as well as prediction can be presented when new analyses are attempted by combin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disaster-related information. Furthermore, 3D analysis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analyzing the phenomena occurring in the real 3D world because of the nature of disast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a visualization module for flood disaster information through a 3D game engine by considering the solutions for cost and manpower problems and the degree of freedom of development. Raw flood data was mapped onto spatial information and interpolation was performed for the natural display of the mapped flood information. Furthermore, we developed a module that intuitively shows dangerous areas to users by generating cumulative information in order to display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enable various flood information analyses as well as quick response and countermeasures to floods.

Landslide Risk Assessment Using HyGIS-Landslide (HyGIS-Landslide를 이용한 산사태 발생 위험도 평가)

  • Park, Jung-Sool;Kim, Kyung-Tak;Choi, Yun-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1
    • /
    • pp.119-132
    • /
    • 2012
  • Recently, forest soil sediment disasters resulting from locally concentrated heavy rainfall have been occurring frequently in steep slope areas. The importance of landslide hazard map is emerging to analyze landslide vulnerable area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HyGIS-Landslide based on Hydr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order to analyze forest soil sediment disaster in the mountainous river basin. HyGIS-Landslide is one of HyGIS components designed by considering the landslide hazard criteria of Korea Forest Service. It could show the distribution of landslide hazard areas after calculating the spatial data. In this system, the user could reset the weight of hazard criteria to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area. This component provided user interface that could make the latest spatial data available in the area of interest. HyGIS-Landslide could be applied to the surveyor's compensation score and it was possible to reflect the landslide risk exactly through it. Also, it could be used in topographic analysis techniques providing spatial analysis and making topographical parameters in HyGIS. Finally the accuracy could be acquired by calculating the landslide hazard grade map and landslide mapping data. This study applied HyGIS-Landslide at the Gangwon-do province sample site. As a result, HyGIS-Landslide could be applied to a decision support system searching for mountainous disaster risk region; it could be classified more effectively by re-weighting the landslide hazard criteria.

Virtual Campus Development using 3D GIS (3D GIS를 활용한 가상 캠퍼스 구현)

  • KSong, Sang-Hun;Jeong, Jong-Pil
    • KSCI Review
    • /
    • v.14 no.2
    • /
    • pp.147-152
    • /
    • 2006
  • Data size of moving current GIS great exponentially from 2D to 3D and the processing speed becomes slow thereby and user's real time rendering request is growing. Have problem that time and expense to process data of bulky quantity produce constraint condition of the processing speed. third dimension processing skill, virtual reality processing skill etc. and third dimension GIS about space data of bulk much overmuch to materialize. In this paper DEM data that acquire from satellite or aviation solve these problem embody virtual city in web save topography information that visualization to 3D visualization by VRML, and use modelling tool and acquire 3D campus information for building and road. 3D information acquired this to express texture and natural gifts that have truth stuff more to thing through near texture mapping work 3D imagination illustration of web based embody can.

  • PDF

Development of 3D Mapping System for Web Visualiz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Collected from Disaster Field Investigation (재난현장조사 공간정보 웹 가시화를 위한 3차원 맵핑시스템 개발)

  • Kim, Seongsam;Nho, Hyunju;Shin, Dongyoon;Lee, Junwoo;Kim, Hyunju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5_4
    • /
    • pp.1195-1207
    • /
    • 2020
  • With the development of GeoWeb technology, 2D/3D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the web are also has been used increasingly in the application of disaster management. This paper is suggested to construct a web-based 3D geo-spatial information mapping platform to visualize various spatial information collected at the disaster site in a web environment. This paper is presented a web-based geo-spatial information mapping service plan for the various types of 2D/3D spatial data and large-volume LiDAR point cloud data collected at the disaster accident site using HTML5/WebGL, web development standard technology and open source. Firstly, the collected disaster site survey 2D data is constructed as a spatial DB using GeoServer's WMS service and PostGIS provided an open source and rendered in a web environment. Secondly, in order to efficiently render large-capacity 3D point cloud data in a web environment, a Potree algorithm is applied to simplifies point cloud data into 2D tiles using a multi-resolution octree structure. Lastly, OpenLayers3 based 3D web mapping pilot system is developed for web visualization of 2D/3D spatial information by implementing basic and application functions for controlling and measuring 3D maps with Graphic User Interface (GUI). For the further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various 2D survey data and various spatial image information of a disaster site can be used for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disaster accidents by overlaying and visualizing them on a built web-based 3D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3D Spatial Info Development using Layered Depth Images (계층적 깊이 영상을 활용한 3차원 공간정보 구현)

  • Song, Sang-Hun;Jo, Myung-Hee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97-102
    • /
    • 2007
  • 3차원 공간정보는 2차원에 비해 공간적 현실감이 뛰어나기 때문에 최근 경관분석,도시 계획 및 웹(Web) 을 통한 지도 서비스 분야 등에서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3차원 공간 정보의 기하학적 특성상 기존의 2차원 공간정보에 비해 데이터 량이 방대해 지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또 다른 콘텐츠 제작과 빠르고 효율적인 처리에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위성 및 항공으로부터 획득한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이용하여 생성된 3차 원의 지형정보와 도시 모델링 및 텍스처 맵핑 과정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각각의 위치에 카메라를 설정하고, 설정된 카메라 위치를 기반으로 Camera Matrix를 구한다. 이렇게 획득한 카메라의 정보엔 깊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깊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3차원의 워핑(Warping)작업을 통해 계층적 핍이 영상(LDI)를 생성하고,생성된 계층적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의 공간정보를 구현한다.

  • PDF

A Short-distance assignment system for the highschool entrance examination Using GIS (GIS를 활용한 고교입시 근거리 배정 시스템)

  • 김부영;조정관;옥철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49-51
    • /
    • 2001
  • 현재까지의 고교배정은 지망배정과 무작위배정 방식을 이용한 배정방식으로 원거리 통학자가 다수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GIS의 네트워크 분석기능에 의해 계산된 학교와 학생간의 도로중심의 거리를 이용하여 원거리억제지향의 배정방식을 도입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을 울산지역에 적용한 결과, 근거리 배정 방식에 의해 배정된 학생(5318명)중 82.39%(4799)가 6Km미만의 근거리, 17.36%(1011명)가 6Km~18Km의 중거리, 0.25%(15명)가 18Km이상의 원거리로 배정되었다. 상기의 시스템은 학생 및 학교의 주소에 대한 자동주소맵핑기능, 학생과 각 학교에 대한 최단 거리의 자동생성, 학교의 정원초과에 의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원거리 학생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 방법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