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IS 데이터

Search Result 1,38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n OLE/COM-based GIS Data Provider Component Development Toward Application System Development (응용시스템 구축을 위한 OLE/COM 기반의 GIS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김민수;김광수;오병우;이기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7 no.2
    • /
    • pp.175-190
    • /
    • 1999
  • Recently , as GIS technology is rapidly improved and stabilized, there are some needs to reuse pre-developed and powerful GIS technology. GIS standardization based on components and open interfaces becomes a way to solve those reusability of previous GIS technology. This GIS standardization currently focuses on building the GIS Data Infrastructure that is being deployed globally. Especially, OpenGIS consortium which is mainly made up of international GIS leading vendors is announcing some GIS abstract specifications and implementation specifications. This study focuses on how could we design and implement the OLE/COM-based data provider component based on various DBMS or file systems, how could these data provider components be used for enterprise UIS(Urban Information Systems) and how could various formatted GIS data be shared in one system. Also some problems practically caused by an implementation process of data provider component are listed up and some solutions are given. Furthermore, design and analysis of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was reformed through the data provider component development task and this UML methodology is able to indicate a standardized model for newly developed data provider component.

  • PDF

Designing Database Contents of Spatial Data Warehouse and its Data Synchronization with Distribu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서울시 공간데이터웨어하우스의 내용설계 및 GIS데이터 연동에 관한 연구)

  • 김학열;김윤종;김준기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1 no.2
    • /
    • pp.119-130
    • /
    • 2003
  • Since GIS strategic implementation plan was prepared in 1995,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G) has implemented the distributed GIS at department level, which prevents various SMG organizations from data-sharing and its common utilization. To solve those problems due to the fragmented GIS structure, SMG developed an action plan for the evolution of enterprise GIS with Spatial Data Warehouse (SDW). In this context, this paper initially analyzed the conceptual architecture of SDW structure and then provided the following guidelines for 1) determining the common GIS data and framework data stored at SDW to satisfy the demand for various GIS data from many SMG departments and sub-organizations, 2) developing the data synchronization process and techniques to make effective data-sharing possible, and 3) making an action plan for enterprise GIS of other self-governmental organizations.

  • PDF

Design of Web GIS for Geotechnical Data (지반데이터의 활용을 위한 Web GIS 설계)

  • Yu, Shik;Park, Hyeong-Dong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2 no.4
    • /
    • pp.284-290
    • /
    • 2002
  • Over the past few decades,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process spatial date. As GIS comes to be used in many fields and used by many people, Web GIS which is a GIS system used on the internet, was proposed as a good tool to maintain the need.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Web GIS to provide more opportunity for users to manage and to analyze geotechnical data.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Web GIS particularly with geotechnical data, including design of efficient database structure for borehole data. A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Web GIS to tunnelling site has been successfully completed by the design of several analytical functions.

GIS 데이터구축 감리와 검수 프로그램

  • 조윤숙;박인만;정필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2.03b
    • /
    • pp.11-24
    • /
    • 2002
  • Many GIS systems are not to be trusted becuase many GIS project managers often fail to notice importance of GIS data Construction. With this reason, it is a lively discussion on GIS administration system's adaption. The definition of GIS administration system is not clear, but GIS administration system generally is devided information system administration, audit guideline for the data construction of GIS. Audit guideline for the data construction of GIS. GIS data construction's goals are logical and reasonable action policy of GIS data construction in widespread filed, the other goal is creation of product to the purpose exactly. Audit guideline for the data construction of GIS is composed of optimum of GIS data construction's planning, optimum of GIS data construction's activity, optimum of GIS data quality management, optimum of consultations of GIS data construction, GIS data audit. GIS data audit is the phase of detection product's potential error in each level. GIS data audit is composed of filed examination or filed verification, examination with the naked eye, screen verification, program verification, auto verification. GIS information system's efficiency is linked with auto verification system's function variety, accuracy. this paper offer introduction of Audit guideline for the data construction of GIS, efficient auto verification program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3-dimensional GIS Data Provider System (3차원 GIS 데이터제공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남광우;이성호;박종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2 no.1
    • /
    • pp.1-12
    • /
    • 2004
  • The 3-dimensional GIS data provider system manages and retrieves 2, 3-dimensional spatial and time data. This system provides the standard interfaces which help developers to omit additional works to do modify or convert a format of 2 or 3-dimensional spatial data, which has been already accumulated, into that dependent on a specified system. This system consists of a data provider and data access component. The former deals with the connections with some databases and manages the meta data, so that the various GIS or software can access to 3-dimensional spatial and time data via the same method, and the latter takes charge of index management and spatial operations on GIS data for consumers. The system offers the diverse spatial operations and analysis functions for 3-dimensional GIS.

  • PDF

Data Provider based buffer management for enhancing access speed to spatial data in client systems (클라이언트의 공간 데이터 접근 속도 향상을 위한 데이터제공자 기반의 버퍼관리기법)

  • 이민우;전우제;박수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23-29
    • /
    • 2004
  • GIS 관련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공간 데이터의 상호 운용성이라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현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OGC는 공간 데이터 및 GIS에 대한 국제적인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GC의 Simple Features for OLE/COM 표준 사양을 준수하는 GIS 데이터제공자를 구현하여 기존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와 Geometry 컴포넌트간 공간 데이터에 대한 상호 운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공간 데이터베이스와 Geometry 컴포넌트로 이루어지는 GIS S/W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한 GIS 데이터제공자 기반의 버퍼관리기법에 대한 설계 및 구현을 하고, 이에 대한 성능 테스트를 하고자 한다. 또한, GIS 데이터제공자 및 버퍼관리기법을 구현하여 앞으로 GIS 데이터제공자 기반의 황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Web GIS for management of coast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Yellow Sea (서해연안 환경정보 관리를 위한 Web GIS 구축에 관한 연구)

  • 오윤석;엄우학;김병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419-424
    • /
    • 2003
  • 기존의 연안해역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사용자는 물론 일반사용자들에게도 연안해역에 대한 정보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인터넷환경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연안해역에 대해서 구축된 GIS 데이터베이스와 시스템을 다양한 사용자 계층에게 서비스하기 위하여 Web 상에서 연안해역 GIS 데이터를 조회, 공유, 분석할 수 있는 Web GIS를 구축하였다. 연안해역 관련 GIS 구축의 근본적인 목적은 많은 사용자들이 연안해역과 관련된 데이터를 공유, 분석하고 연안해역 환경에 대한 정책결정의 참고자료로서 활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연안해역 데이터베이스와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Web GIS는 GIS S/W의 구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복잡한 사용법이 없어도 GIS의 기본적인 기능인 데이터의 검색, 분석, 출력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적인 GIS 데이터의 공유와 인터넷서비스가 아닌 지속적인 연안해역에 대한 GIS 데이터의 갱신과 활용, 환경 및 수질관련 모델링의 이용과 통합시스템의 구현, 구축데이터의 유통을 목적으로 서해연안 Web GIS를 설계하였고 그 활용도를 검토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uffer Management Method for Enhancing Performance of Open GIS Components (개방형 GIS 컴포넌트의 성능 개선을 위한 버퍼 관리 방법의 설계 및 구현)

  • Cho, Dae-Soo;Min, Kyoung-Wook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1D no.1
    • /
    • pp.51-60
    • /
    • 2004
  • In open GIS environment, a GIS client can access spatial data in different types of GIS sowers with the same Interfaces. This means that open GIS components software ensures the interoperability throughout the heterogeneous GIS servers. The user response time, however, tends to be increased, if the client makes use of the standard interfaces for data accesses that can ensure interoperability. This is because the format of spatial data accessed from a specific GIS server must be transformed into common format, such as Rowset in OLE/DB, which is compatible with the standard interfaces. In this paper, we develop efficient techniques for data buffering in GIS client to reduce the response time. We design the buffer management method, which Is based on the space partitioning, and Integrate buffer management components into MapBase, an open GIS component software. And we also, show that buffer management proposed in this paper yields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 in GIS client.

Development of HyGIS-SWAT (HyGIS와 SWAT2000 모형의 연계 시스템(HyGIS-SWAT) 개발)

  • Choi, Yun-Seok;Kim, Ky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370-374
    • /
    • 2006
  • SWAT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유역의 지형자료와 시계열 자료뿐만 아니라 토지경작과 오염물질의 거동에 관계하는 많은 비공간 데이터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방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SWAT을 구동하기 위하여 GIS 시스템과 SWAT을 연계 운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무에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yGIS(과학기술부, 2004)와 SWAT2000 모형의 연계 시스템인 HyGIS-SWAT의 개발을 위하여 HyGIS-SWAT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의 운영프로세스를 정립하였으며, 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설계 및 구축 하였다. 또한 SWAT2000 모형의 구동에 필요한 HRU를 계산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입력매개변수의 자동계산 모듈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HyGIS-SWAT의 시범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었으며, HyGIS-SWAT 데이터 모델과 HyGIS-Model 통합시스템의 운영표준은 HyGIS를 이용한 응용프로그램 개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HyGIS-SWAT의 개발과정에서 축적된 기술은 HyGIS와 다양한 수자원 모형의 연계 시스템 개발 시에 기반기술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ata Modeling to Connect HyGIS with Hydrologic Model (HyGIS와 수문모형의 연계 시스템 개발을 위한 데이터 모델링에 관한 연구)

  • Kim, Kyung-Tak;Choi,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874-878
    • /
    • 2006
  • 수자원 분야에서 이용하고 있는 모형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대상 지역의 지형특성과 시계열 자료 및 비공간적 매개변수 등의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자료들은 다양한 과정을 거쳐서 모형에 입력되며, 모의대상이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거나 모형의 구동조건이 변할 경우, 모형의 구동과 결과의 관리를 위해서는 더욱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자료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운용하는 것은 모형구동의 효율성과 객관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기술로 개발된 GIS 기반의 수자원시스템인 HyGIS(Hydr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수자원 모형을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며, 이를 HyGIS-Model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HyGIS의 시공간 데이터 모델을 소개하고, HyGIS-Model 중 HyGIS와 SWAT2000 모형이 연계된 시스템(HyGIS-SWAT)을 개발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링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HyGIS 데이터 모델과 HyGIS-Model 통합시스템 운영 표준은 HyGIS-SWAT 데이터 모델링과 시스템 설계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GIS와 수자원 모형의 연계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에 대한 기술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GIS를 이용한 수자원 모형의 입력자료의 생성, 운영 및 모형 구동 결과의 관리에 대한 표준적 절차를 수립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