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IS자료

Search Result 2,04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adaptive network management function using GIS in distributed environment (GIS를 이용한 분산환경에 적합한 네트워크 관리기능 연구)

  • Kim, Tae-Kyu;Lee, Kang-Won;Han, Keun-Hee;Kim, Tai-Yu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2.04b
    • /
    • pp.1511-1514
    • /
    • 2002
  • 신속한 서비스의 적용과 개발이 필수적인 통신환경에서 품질관리를 지원하는 통신 소프트웨어와 서비스에 신뢰성, 효율성, 유연성 등을 요구한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다양한 접속방식과 효율적인 관리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안정적인 관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GIS 시스템을 이용한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을 연구하였다. GIS 는 방대한 자료와 분산된 환경하에서 자료를 구축하므로 미들웨어인 CORBA 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자료의 획득 및 가공이 가능하고 이벤트 서비스를 통하여 트래픽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벤트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이벤트의 속성을 추가하여 다량의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향후 네트워크의 단순한 관리외에 GIS 와 연동된 정확한 위치정보를 이용한 기능의 활용으로 신속한 서비스처리 및 품질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Emergency Action Plan using GIS Tool (GIS기법을 이용한 비상대처계획(EAP)작성에 관한 연구)

  • Lee, Jung Sik;Shin, Chang Dong;Jeong, Dae 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91-59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위성사진과 1:5,000 수치지도를 이용하고, 실제 측량자료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GIS기법으로 홍수범람 정도를 중첩하여 보다 세밀한 홍수범람도와 비상대처계획도를 작성하였다. 입력자료는 국내의 실제 지형 및 저수지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현장조사를 수행하여 주요 시설물 및 교량, 도로망 등을 파악하고 재해취약인구를 고려한 현실적인 대피경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으로 저수지 하류유역에서 보다 적합한 실제적인 비상대처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재해의 피해저감에 합리적인 대책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uzzy membership function in GIS Spatial Analysis - In the case of Evaluation of Waste Landfill - (GIS 공간분석에 있어 Fuzzy 함수의 적용에 관한 연구 -쓰레기 매립장 적지분석을 중심으로-)

  • Lim, Seung-Hyeon;Hwang, Ju-Tae;Park, Young-Ki;Lee, Jang-Ch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5 no.2 s.40
    • /
    • pp.43-49
    • /
    • 2007
  • In this study, a GIS spatial analysis method adopted fuzzy concept was introduced and land suitability analysis of waste landfill were conducted through this method. Previous studies conducted site evaluation and land suitability analysis by appling spatial overlay of conventional GIS that based on the boolean logic of crisp set. However these method can not consider the uncertainty of spatial data and the incongruity of data classification criteria, because these method handle spatial data based on the boolean logic of crisp set. As not provided trustable analysis result, conventional GIS spatial overlay method lacks opportunity for expanding use in reality. This study selected waste landfill as facility for analysis and applied fuzzy spatial analysis method as an objective approach. In the concrete contents of study, a series process with regard to the definition procedure of membership function for continuous data and the fuzzy input value generation of spatial data for fuzzy analysis is established. As a result,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ethod that derive parameters for deciding the membership function of spatial data by considering the criterion of data classification and factor selection for land suitability analysis of waste landfill.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SMS object-oriented classification based on GIS (GIS 기반 LSMS 객체지향 분류 적용 연구)

  • Han Yong Lee;Jong Woo Jung;Hye Won Jeong;Chung Dea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08-408
    • /
    • 2023
  • 하천공간은 하도, 사주, 식생, 하천구조물 등에 대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하천공간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생산한다. 기존에는 현장에서 육안조사나 지상에서 사진촬영, 스케치방법으로 하천공간특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으나, 지상에서 조사한 자료은 하천특성에 대한 물리적·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어렵고 자료의 활용성이 낮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GIS 및 RS 기술을 활용한 고도화된 첨단조사 기술 및 장비가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공간특성을 GIS 기반으로 객체지향 분류 적용 연구와 분류 항목에 따른 공간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대상지역은 섬진강권역의 지석천 유역 하류부에 위치하고 있는 지석천 친수공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지역의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수집 및 정합한 후 QGIS에서 제공하는 Orfeo ToolBox(OTB)의 LSMS(Large Scale Mean-Shift) 기법으로 정합한 항공영상의 객체지향 영상분할을 실시하여 벡터 레이어를 생성하였고, 하천공간특성에 따른 항목을 선정하여 각 항목의 영역에 대한 선별을 통해 훈련데이터를 생성하였다. 훈련데이터는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하여 각 항목에 대한 자동 분류를 확인하였으며, 하천공간특성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분류된 각 항목별 공간분석을 통해 면적, 위치정보(위도, 경도, 표고)를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하천공간특성을 GIS 기반의 벡터 레이어와 각 항목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하천공간의 DB를 구축하였다. 이와 같이 하천공간 DB 구축을 통해 전국 하천관리체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 PDF

Modification of Spatial Grid Based Distributed Model Considering River Basin Characteristics (유역특성을 반영한 공간격자기반의 분포형모형 개선)

  • Park, Jin Hyeog;Hur, Young Tec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3D
    • /
    • pp.431-436
    • /
    • 2008
  • Recently, the rapid development of GIS technology has made it possible to handle a various data associated with spatially hydrological parameters with their attribute information. Therefore, there has been a shift in focus from lumped runoff models to distributed runoff models, as the latter can consider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discharge. In this research,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based on physical kinematic wave for analysis of surface and river flow was used to simulat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long-term discharge. The snowfall and melting process model based on Hydro-BEAM was developed, and various hydrological parameters for input data of the model was extracted from basic GIS data such as DEM, land cover and soil map. The developed model was applied for the Shonai River basin(532) in Japan, which has sufficient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ata, and displayed precise runoff results to be compared to the hydrograph.

Dynamic Combination of Land Use Planning and Water Planning using GIS, VE and LCC (GIS, 가치공학, 그리고 생애주기비용에 의한 토지이용계획과 상수도계획의 동적인 연계)

  • Kim, Hyeong-Bo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06a
    • /
    • pp.93-105
    • /
    • 2000
  • GIS is a powerful toolbox in managing spatial data associated with attribute data. However GIS is short of spatial analysis function and graphic user interface(GUI) function in dealing with dynamic planning problems. Decision Support Systems(DSS) make up for the shortage of GIS by providing GUI function, modeling function and database function.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SDSS), a new kind of DSS, incorporate display function, basic spatial analysis function and manipulation function of spatial data and attribute data of GIS and GUI function, modeling function and database function of DSS in dealing with spatial planning problems. Planning Support Systems(PSS) add more advanced spatial analysis function and intertemporal function to the functions of SDSS. This study focuses on the modeling of a PSS for capacity expansion of water-distribution network depending upon land use planning by using GIS, value engineering(VE) and life cycle costing(LCC). The PSS shows a guideline about the investment of water-distribution networks related to urban growth management through generating certain numbers of dynamic alternatives to supply the amount of water caused by land use planning.

  • PDF

A Study on a Maintenance Model focused on Updating Process in GIS Databases (GIS DB의 변동자료 발생원인을 고려한 유지관리 모델 연구)

  • 김도훈;고광철;김은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407-413
    • /
    • 2004
  • GIS는 '단번에' 효과가 나타나는 다른 전산시스템과는 달리 최소한 3~4년의 손익분기점을 가지는 기술인 만큼 효과적인 운영이 중요하고,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자료의 최신성을 확보할 수 있는 DB의 지속적인 유지관리 활동이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구축되어 있는 대부분의 GIS 활용체계는 준공과 동시에 운영과 유지관리 차원에서 적절한 대처를 수행하지 못함으로 인해 손익분기점 달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갖는 것이 지배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지자체 GIS사업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각 시스템에 맞는 실질적인 유지관리 방안을 모색하고 이에 대한 충분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는 그렇지 못한데 그 원인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다 근원적인 문제점은 실제 유지관리 활동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것이 더욱 크다고 하겠다. 실제로 모든 사업추진과정에서 정해진 방법론에 의해 유지관리방안을 마련하게 되어 있으나 아주 형식적인 수준에서의 언급이 대부분이고 지자체라는 행정기관의 특성과 지자체 GIS의 주된 대상이 공사 및 시설물 관리와 관련되어 있다는 업무적 특성은 전혀 배제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실제로 GIS DB의 유지관리가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만 하는 것일까\ulcorner 이 질문에 대한 접근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GIS DB의 갱신이 일어나는 발생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발생원인의 특성과 행정기관의 특성을 적절히 연계시켜 유지관리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 유지관리 후 활용체계 정비의 중요성’을 점검하고, ‘변동자료 발생원인의 분석’, ‘명확한 변동자료 입력 근거의 확보’, ‘갱신주체별 역할의 정의 및 유지관리 기준의 설정’, ‘분야별업무 특성을 고려한 관련 기준의 마련 및 타 시스템과 연계되는 항목을 고려한 절차 정의’ 등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유지관리 모델을 기반으로 각 지자체별로 적절한 컨설팅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담당자의 실천이 이루어진다면 지자체 GIS의 투자대비 효과에 대한 기대는 이상이 아닌 현실로 다가오게 될 것이다.가오게 될 것이다.

  • PDF

Feasibility Mapping of Groundwater Yield Characteristics using Weight of Evidence Technique based on GIS in the Pocheon Area (GIS 기반 Weight of Evidence 기법을 이용한 포천 지역의 지하수 산출특성 예측도 작성)

  • Heo Seon-Hee;Lee Kiw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1 no.6
    • /
    • pp.493-503
    • /
    • 2005
  • In this study, the weight of evidence(WofE) technique based on GIS was applied to spatially estimate the groundwater yield characteristics at the Pocheon area In Gyunggi-do. The groundwater preservation depends on many hydro-geologic factors that include hydrologic data, land-use data, topographic data, geological map and other natural materials collected at the site, even with man-made things. All these data can be digitally processed and managed by GIS database. In the applied technique of WofE, the prior probabilities were estimated a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yield on lineament, geology, drainage pattern or river system density, landuse and soil. We calculated the value of the weight values, W+ and W-, of each factor and estimated the contrast value of it. Results by the groundwater yield characteristic computation using this scheme were presented feasibility map in the form of the posterior probability to the consideration of in-situ samples. It is concluded that this technique is regarded as one of the effective techniques for the feasibility mapping related to the estimation of groundwater-bearing potential zones and its spatial pattern.

Development of One-dimensional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fully Coupled with GIS (GIS와 완전 연계된 1차원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개발)

  • Choi, Yun-Seok;Kim, Kyung-Tak;Lee, Ji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19-723
    • /
    • 2008
  • 도달시간이 짧은 중소유역의 홍수예측과 돌발호우에 의한 돌발홍수의 예측을 위해서는 단기 예측 강우를 활용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측 강우를 이용한 신속하고 정확한 유출모의를 수행하는 과정으로서, 수치예보자료와 레이더 강우와 같이 격자 형태로 제공되는 강우자료를 직접 이용하여 유출모의가 가능한 1차원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모형은 모형의 입출력, 유출분석 모듈 등과 같은 모든 과정을 GIS 시스템과 완전 연계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서 그리드 형태로 제공되는 강우 시계열 자료와 공간자료를 화면상에서 조회할 수 있으며, 이를 모형의 입력자료로 직접 이용하고, 모의결과 또한 유역 내에서 공간 분포된 행태로 제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모형의 유출해석 과정과 이론적 검증 결과를 개략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 PDF

Updating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Integration of Multi-Spectral and Temporal Remotely Sensed Data (다중분광 및 다중시기 영상자료 통합을 통한 토지피복분류 갱신)

  • Jang, Dong-Ho;Chung, Chang-Jo F.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5 s.104
    • /
    • pp.786-803
    • /
    • 2004
  • These days, interests on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not only multi-sensor data but also thematic GIS information, are increasing. Often, although we have useful GIS information for the classification,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method lik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technique (MLE) does not allow us to use the information due to the fact that the MLE and the existing computer programs cannot handle GIS data properly. We proposed a new method for updating the image classification using multi-spectral and multi-temporal images. In this study, we have simultaneously extended the MLE to accommodate both multi-spectral images data and land cover data for land cover classification. In addition to the extended MLE method, we also have extended the empirical likelihood ratio estimation technique (LRE), which is one of non-parametric techniques, to handle simultaneously both multi-spectral images data and land cover data. The proposed procedures were evaluated using land cover map based on Landsat ETM+ images in the Anmyeon-do area in South Korea. As a result, the proposed methods showed considerable improvements in classification accuracy when compared with other single-spectral data. Improved classification images showed that the overall accuracy indicated an improvement in classification accuracy of $6.2\%$ when using MLE, and $9.2\%$ for the LRE, respectively. The case study also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s enable the extraction of the area with land cover change. In conclusion, land cover classification produc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various GIS spatial data and multi-spectral images will be useful to involve complementary data to make more accurate dec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