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 transition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37초

기류해석을 이용한 클린룸 내 오염물질의 확산경로 예측 (The Qualitative Prediction for diffusion and transition of contaminants in the Clean Room by Numerical Flow Analysis)

  • 정기호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7년도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82-386
    • /
    • 2007
  • In this study, the qualitative prediction and evaluation of clean room being utilized for mass production of electrronic components have been performed with the help of flow simulation.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analysis based on measurements of the number of particles, concentration of contaminants and flow characteristics, the numer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is much cost-effective.

  • PDF

Multidimensional Frictional Coupling Effect in the Photoisomerization of trans-Stilbene

  • 곽기정;이상엽;신국조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6권5호
    • /
    • pp.427-432
    • /
    • 1995
  • A model based on two coupled generalized Langevin equations is proposed to investigate the trans-stilbene photoisomerization dynamics. In this model, a system which has two independent coordinates is considered and these two system coordinates are coupled to the same harmonic bath. The direct coupling between the system coordinates is assumed negligible and these two coordinates influence each other through the frictional coupling mediated by solvent molecules. From the Hamiltonian which is equivalent to the coupled generalized Langevin equations, we obtain the transition state theory rate constants of the stilbene photoisomerization. The rates obtained from this model are compared to experimental results in n-alkane solvents.

공간 연관규칙의 추출과 적용 - 도시성장 예측모델을 사례로 - (Extraction and Application of Spatial Association Rules: A Case Study for Urban Growth Modeling)

  • 조성휘;박수홍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44-456
    • /
    • 2004
  • 최근 GIS 분야에서는 GIS와 동적 프로세스 모델링에 기반한 셀룰라 오토마타(CA)의 결합을 통한 공간모델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의 CA 모델링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 핵심이 되는 규칙을 찾아내는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와 지식 발견 기법을 이용하여 공간 연관규칙을 추출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실제 사례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의 제시는 CA 모델링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례로 적용한 도시지역 확장 외에 다양한 문제에 대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Kinetics and Mechanism of the Aminolysis of O-Methyl-S-Phenylthiocarbonates in Methanol

  • Song, Ho-Bong;Choi, Moon-Ho;Koo, In-Sun;Oh, Hyuck-Keun;Lee, Ik-ch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1호
    • /
    • pp.91-94
    • /
    • 2003
  • Kinetic studies of the reaction of O-methyl-S-phenylthiocarbonates with benzylamines in methanol at 45.0 ℃ have been carried out. The reaction proceeds by a stepwise mechanism in which the rate-determining step is the breakdown of the zwitterionic tetrahedral intermediate, $T^{\pm}$, with a hydrogen-bonded four-center type transition state (TS). These mechanistic conclusions are drawn based on (ⅰ) the large magnitude of ${\rho}_X\;and\;{\rho}_Z$, (ⅱ) the normal kinetic isotope effects $(k_H/k_D\;>\;1.0)$ involving deuterated benzylamine nucleophiles, (ⅲ) the positive sign of ${\rho}_{XZ}$ and the larger magnitude of ${\rho}_{XZ}$ than that for normal $S_N2$ processes, and lastly (ⅳ) adherence to the reactivity-selectivity principle (RSP) in all cases.

지자체 GIS의 과도기적 문제점 극복을 위한 GIS 정보화 전략계획(ISP) 수립모델 연구 (A Study on a GIS ISP Model for Local Governments to Overcome the Problems in a Transition Period)

  • 고광철;김도훈;김은형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4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5-421
    • /
    • 2004
  •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추진하고 있는 지자체 GIS사업은 기술의 발전에 비해 제도, 교육, 사용자의 마인드, 유지관리 활동, 향후 사업 구상 등에서 상대적인 빈곤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렇듯 신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다양한 제반 여건들이 동반적으로 성숙하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을 과도기적 현상1)으로 진단하고 있다.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GIS를 도입한 지자체에서는 이러한 과도기적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새롭게 GIS를 도입하고자 하는 지자체에서도 타 지자체에서 모니터링을 통해 간접적으로 과도기적 현상을 경험함으로 인해 효과적인 사업 추진을 구상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지자체의 경우 중앙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현재의 GIS 사업의 추세가 단순한 공간정보 중심의 사업이 아닌 다양한 속성정보와의 연계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자체 GIS정보화의 방향은 예전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간파해 야 하는 현실에 놓여 있다. 이와 같은 지자체 GIS의 과도기적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보기술의 빠른 변화속도와 외부환경의 극심한 환경변화의 상황에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관계를 진단하고, 변화에 대한 예측과 대비, 중요한 일과 급한 일을 구분한 총체적인 밑그림의 마련과 실행계획의 수립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지자체 GIS의 문제 해결의 노력이 단숨에 바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고, 또한 현재 추진된 사업을 기반으로 중복투자의 방지와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위한 투자의 노력이 장기간의 시간적 개념속에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를 이끌어줄 가이드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총체적인 지자체 GIS의 계획마련을 위해 건설교통부에서는 ‘국가지리정보구축 및 활용등에 관한 법률’상에 계획 수립의 항목을 명문화하고, 나아가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에 관한 지침작성을 위한 노력을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일련의 현실을 감안하여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을 체계적이고 실질적으로 수립할 수 있는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모델’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사항임에 분명하다.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 모델은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의 효과로 하고 있으며, 형식적 측면에서는 GIS특성을 반영한 전략계획 수립의 방법론적 측면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처 실제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9단계를 설정하고 각각의 단계에 대한 중심활동을 바탕으로 지자체에서 실제 전략계획 수립에 필요한 지침을 작성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 PDF

Chloramphenicol Arrests Transition of Cell Cycle and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in Myelogenous Leukemia Cells

  • KANG KI YOUNG;CHOI CHUL HEE;OH JAE YOUNG;KIM HYUN;KWEON GI RYANG;LEE JE CHU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913-918
    • /
    • 2005
  • Chloramphenicol is a broad-spectrum antimicrobial agent against Gram (+) and Gram (-) bacteria. Its clinical application has recently been limited, due to severe side effects such as bone marrow suppression and aplastic anemia. In the present study, the cytotoxic effects of chloramphenicol were investigated in vitro using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K562 cells. Chloramphenicol inhibited the growth of K562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their growth was restored after the cessation of chloramphenicol, indicating reversible cytotoxic effects. The expression of cell cycle regulatory molecules, including E2F-1 and cyclin D1, was decreased at the translational and/or transcriptional level after being treated with a therapeutic blood level ($20{\mu}g/ml$) of chloramphenicol. Chloramphenicol also induced apoptotic cell death through a caspase-dependent pathway, which was verifi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the enzymatic activity of caspase-3.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chloramphenicol inhibited the cell growth through arresting the transition of the cell cycle, and induced apoptotic cell death through a caspase-dependent pathway at therapeutic concent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