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HA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8초

삼각특징추출과 GHA를 이용한 얼굴영상 압축알고리즘 (Face Image Compression Algorithm using Triangular Feature Extraction and GHA)

  • 서석배;김대진;강대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8권1호
    • /
    • pp.11-1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얼굴영상 압축을 위한 알고리즘으로 삼각특징 추출과 GHA를 이용한 압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특징추출에서 입력영상을 8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한 다음 데이터의 취득순서를 설정하여 영상을 분할하면서도 위치정보를 보존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압축을 위해 GHA를 도입함으로써 복원 시 생기는 블록화 현상을 대폭 개선하였으며 얼굴의 윤곽과 이목구비 등 얼굴의 전체적인 형태를 압축 알고리즘에 반영할 수 있었다. 기존의 블록기반 K-means 알고리즘과 얼굴영상을 분할하지 않고 전체를 입력으로 사용하는 알고리즘과의 비교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의 성능이 가장 우수함을 볼 수 있었다.

  • PDF

용인시 생태발자국 지수의 분석과 고찰 - 음식, 건조환경, 산림, 에너지 부문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Ecological Footprint of Yong-in City)

  • 박지영;김진오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용인시에 대한 생태발자국 지수 산정 및 변화분석을 통해 용인시의 환경용량 추이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용인시의 도시개발 및 계획의 방향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용인시를 대상으로 1993년, 2003년, 2013년에 걸친 생태발자국 지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수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용인시의 토지이용 변화와 개발패턴의 문제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로 한 토지피복도와 생태발자국 지수의 비교를 통해 용인시 토지이용의 변화를 환경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용인시의 총 생태발자국 지수는 1993년 3.20(gha), 2003년 6.50(gha), 2013년 11.15(gha)로 산정되었으며, 이는 용인시의 생태발자국이 세계적으로 요구되는 1인당 생태발자국 1.8(gha)는 물론, 한국 전체의 1인당 평균 생태발자국인 3.56(gha)을 훨씬 상회하는 수준으로, 지역 환경용량에 비해 과도한 자원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1993년부터 20여 년간 용인시의 생태발자국을 부문별로 분석한 결과, 산림부문의 생태발자국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으며, 다음으로 에너지 부문, 음식 부문, 건조환경부문으로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림 생태발자국의 경우 1993년에는 가장 낮은 0.002(gha)였으나, 2013년에는 7.32(gha)로 급증했으며, 에너지의 경우도 0.87(gha)에서 2.38(gha)로 비교적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급격한 도시개발로 인한 목재수요와 목재생산력의 지나친 불균형 및 주거와 상업용지 개발에 따른 에너지 수요의 급격한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지난 10여 년간 생태발자국과 산림 및 건조환경 토지피복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산림부문의 생태발자국이 가장 크게 확대되었으며, 실제 훼손된 산림면적 또한 증가된 건조환경 면적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에너지 부문의 생태발자국 또한 급격한 증가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토지피복도 분석에서 알 수 있듯 건조환경부문, 특히 상업시설과 도로 및 철도용지의 급증에 크게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향후 용인시가 개발 시 산림의 훼손을 최소화하고, 녹지면적을 확대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LPG 등 화석연료의 소비를 줄이는 대신 신재생에너지의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잔디류식물에 있어 생장억제제시용효과에 관한 연구 (Growth Regulation of Korean Lawngrass and Manilagrass with Several Growth Retardants)

  • 심재성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9-52
    • /
    • 1989
  • Native Kerean lawngrass (Zeysia japonica steud.) and Manilagrass ( Zeysia matrella Merr.) are frequently used as sport turf and lawn in Kerea and ether Asian countries because of its excellent summer qualities and superior winter-hardiness compared to ether warm-season turfgras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lant growth retardants ( PGR ) en the inhibition (d the growth of the two Kerean native turfgrasses. Kerean lawngrass and Manilagrass were treated with [2 RS , 3 RS] -1- [4- chlorophenyl ] -4, 4-dimethyl -2- [1 H -1, 2, 4- tiazol -1- y] pentan -3- ol ( PP -333) at 93 and 930 gha -j ; 5-[4- chlorphenyl ]-3, 4, 5, 9, 10- peiitaaza - tetracyclo [5, 4, 1, 0 2 6 . o ~'~I -3, 9- diene ( BAS -106) at 16 and 160 gha ; [ E I-] - cyclohexyl -4, 4- dimethyl -2- [1, 2, 4- triazol -1- yl ]-1-pentene - 3- ol ( NTN -821) at 56 and 560 gha ', and 4- chloro -2- [$\alpha$- hydrozybenzy I isonicotin anilide ( CGR -811) at 92 gha in pot study . All PGR treatments were effective in reducing the plant height, with the exception of BAS -106 at 16 gha for Korean lawngrass ; however , all increased quality to some degree , with the exception of PP -333 at 93 gha . The low PGR rates significantly increased Korean lawngrass height during late jtily aitd mid-August . On the other hand , BAS -106 significantly increased Manilagrass height {rom 24 Septeml)er onwards . All PGR treatments haol higher turfgrass quality than untreatments , and also the high rates of PGIt treatments were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quality than the low rates observed on 8 October . Meanwhile , Manilagrass quality was increased to some extent than Korean lawegrass . PP - 333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reducing clipping yield and the same results were found with the application of NTN -821 at 560 gha -l for both Korean lawngrass and Manilagrass , BAS -106 at 160 gha for Korean lawegrass , and CGR -811 at 92 gha for Manilagrass . The high PGR rates had higher turfgrass shoot weight observed on 8 October than the low rates , and there were little increases obtained with the low rates of PP -333 for Korean lawngrass and BAS - 1 06 for Manilagrass . Effeets on stolon growth varied between growth retardants , and between retardant treatments ; the high rates of PGR as well as the low rate of NTN -821 elongated stolon of Korean lawngrass and manoilagrass . However , PP -333 at 93 gha and BAS -106 at 16 gha - shortened stolons of Korean lawugrass , resulting in inhibition or little difference of stolon dry weight . NTN -821 at 560 gha and CGR -811 had no positive effect on the stolon length of Manilagrass . 101) -333 and the low rate of BAS -106 and NTN -821 decreased root weight of Korean lawng - rass All PGR rates had negative effect on the root weight of Manilagrass with the exception of BAS -106 CR -811 and the high rate of NTN -821 which made no difference in root weight between retarolant treatments and the control .

  • PDF

K-Means 와 GHA를 이용한 위성영상 구름영역 검출 (Cloudy Area Detection in Satellite Image using K-Means & GHA)

  • 서석배;김종우;최해진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신호처리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5-408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a new algorithm for cloudy area detection using K-Means and GHA (Generalized Hebbian Algorithm). K-Means is one of simple classification algorithm, and GHA is unsupervised neural network for data compression and pattern classification. Proposed algorithm is based on block based image processing that size is l6$\times$l6. Experimental results shows good performance of cloudy area detection except blur cloudy areas.

  • PDF

GHA를 이용한 상표영상의 내용기반 검색 알고리즘 (Content Based Brand Image Searching Algorithm using GHA)

  • 서석배;성창우;이경화;강대성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129-132
    • /
    • 2000
  • In this paper, we deal with content based searching algorithm for brand image using GHA(Generalized Hebbian Algorithm). GHA is a part of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at has single-layer perceptron operates and self-organizing performances. We used this algorithm for feature extracts of brand images, and our simulations verify the high performance than present text based methods.

  • PDF

영지(靈芝) 약침(藥鍼)과 영지(靈芝) 추출액의 항알레르기 효과에 대한 연구 (Study on Anti-Allergic Effecst of Ganoderma lucidum Herbal Acupuncture and Ganoderma lucidum Extract)

  • 강경화;윤현민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7-46
    • /
    • 2007
  • Objectives We studied on anti-allergic effects of Ganoderma lucidum herbal acupuncture(GHA) and Ganoderma lucidum extract(GE). Methods In vivo, Animals were herbal-acupunctured GHA at both B13s three times for 5 days. Then, we investigated compound 48/80-induced active systemic anaphylatic shock using ICR mice and anti-DNP IgE-induce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using Sprague Dawley rat. In vitro, we measured cell viability, b-hexosaminidase release, IL-4 and TNF-a from RBL-2H3 cells, and nitric oxide from Raw264.7 cell after treatment of GE of various concentrations. Results In vivo, GHA pretreatments at both B13s inhibited compound 48/80-induced active systemic anaphylatic shock.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were inhibited by GHA10 and OP. In vitro, $0.1\;{\sim}\;2%$ GE treatments were not affect on cell viability and inhibited b-hexosaminidase release, IL-4, TNF-a and nitric oxid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HA and GE may be beneficial in the inhibition of allergic inflammatory response.

살균제가 곤충병원성곰팡이 Beauveria bassiana GHA 포자발아 및 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ungicide on the Spore Germination and Mycelial Growth of Beauveria bassiana GHA)

  • 김정준;송유진;한지희;이상엽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95-300
    • /
    • 2013
  • 작물 재배 중 발생하는 다양한 병해충 방제를 위해 화학농약이 단독 또는 혼합제로 사용되고 있어, 살균제가 곰팡이 살충제 보타니가드(Beauveria bassiana GHA)의 포자 발아 및 균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오이 병 방제에 많이 사용되는 8개의 살균제를 4개 농도의 용액으로 만들어 곰팡이 살충제(보타니가드) 포자와 0.5, 2, 4시간 동안 혼합한 후 포자 발아와 균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살균제 트리플루미나졸, 페나리몰, 에타복삼, 코퍼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코나졸은 포자발아와 균사 성장에도 영향이 없었으나 트리플루미나졸, 프로피넵, 테트라코나졸은 높은 농도에서 균사 성장 억제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살균제와 포자의 혼합시간은 포자발아와 균사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곰팡이 살충제와 살균제 혼합 또는 동일 포장 처리시 상호영향을 조사한 후 처리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GHA를 이용한 홍채 패턴기반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Identification System Based on Iris Pattern using GHA)

  • 주동현;염동훈;고기영;김두영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1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KISPS SUMMER CONFERENCE 2001
    • /
    • pp.205-208
    • /
    • 2001
  • 본 논문은 Biometrics분야 중 다른 생체학적 특징보다도 정확도면에서 가장 뛰어난 특징인 안구의 홍채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 하는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입력된 안구 영상으로부터 전처리과정을 거쳐 극좌표 변환을 통해 홍채 패턴을 추출한 후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하여 특징패턴을 압축하였으며,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주성분 해석)의 한 종류인 GHA(Generalized Hebbian Algorithm)를 사용하여 등록된 사용자의 패턴 DB 에서 Basis 배열을 추출하고, 구축된 Basis 배열과 입력 영상 패턴과의 비교 Matching을 통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Cloudy Area Detection Algorithm By GHA and SOFM

  • Seo, Seok-Bae;Kim, Jong-Woo;Lee, Joo-Hee;Lim, Hyun-Su;Choi, Gi-Hyuk;Choi, Hae-Ji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458-460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new algorithms for cloudy area detection by GHA (Generalized Hebbian Algorithm) and SOFM (Self-Organized Feature Map). SOFM and GHA are unsupervised neural networks and are used for pattern classification and shape detection of satellite image. Proposed algorithm is based on block based image processing that size is 16${\times}$16. Results of proposed algorithm shows good performance of cloudy area detection except blur cloudy area.

  • PDF

대구광역권의 환경용량 및 생태계용역가치 평가 (An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and Ecosystem Service Value in the Daegu Metropolitan Area)

  • 정성관;이우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8-33
    • /
    • 2009
  • 본 연구는 대구광역권을 대상으로 생태적발자국(Ecological Footprint: EF) 지수 분석을 통해 도시의 환경용량을 산정하고 생태계의 용역가치를 평가하여 우리의 소비패턴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97년, 2002년, 2007년의 각 도시별 통계연보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2007년 토지지목별 평균공시지가를 생태계용역가치(Ecosystem Service Value: ESV) 평가에 활용하였다. 도시별 총 EF지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2007년 고령군의 EF지수가 3.3052gh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대구시는 2.0134gha로 가장 적은 면적으로 소비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생태적자 분석 결과, 2007년 군위군을 제외한 7개 도시가 생태적자 상태로 분석되어 도시의 환경용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대구광역시가 현재의 소비구조로 지속하기 위해서는 약 30배 이상의 추가적인 면적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대구광역시를 기준으로 ESV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대구광역시민은 연간 1인당 1,078.6백만 원을 생태계에 빚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