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

검색결과 3,882건 처리시간 0.026초

Implementation of a Geo-Semantic App by Combining Mobile User Contexts with Geographic Ontologies

  • Lee, Ha-Jung;Lee, Yang-Wo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1-13
    • /
    • 2013
  • This paper describes a GIS framework for geo-semantic information retrieval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s. We built geographic ontologies of POI (point of interest) and weather information for use in the combination of semantic, spatial, and temporal functions in a fully integrated database. We also implemented a geo-semantic app for Android-based smartphones that can extract more appropriate POIs in terms of user contexts and geographic ontologies and can visualize the POIs using Google Maps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The feasibility tests showed our geo-semantic app can provide pertinent POI information according to mobile user contexts such as location, time, schedule, and weather. We can discover a baking CVS (convenience store) in the test of bakery search and can find out a drive-in theater for a not rainy day, which are good examples of the geo-semantic query using semantic, spatial, and temporal functions. As future work, we should need ontology-based inference systems and the LOD (linked open data) of various ontologies for more advanced sharing of geographic knowledge.

GeoNet: 웹 기반 위성영상 처리 (GeoNet: Web-based Renotely Sensed Image Processing System)

  • 안충현;김경옥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9-116
    • /
    • 2000
  • 자바 언어를 이용하여 구축한 위성 영상 처리 소프트웨어인 GeoNet은 자바 언어의 장점을 그대로 수용하는 cross-platform 대용량 위성 영상처리 API로써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개발 기간을 단축하는 자바 객체지향 패러다임의 기반에서 구축되었다.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자바 확장성을 이용한 클라이언트/서버 이미지 처리의 적합성과 융통성 있는 시스템 구조로의 기반을 가지며 웹브라우저를 통한 실행도 GeoNet의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바 언어를 통한 위성 영상 처리 소프트웨어 GeoNet의 개발을 통해 앞으로 확대될 위성 영상의 보급과 분산 환경에서의 영상 처리 요구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다.

  • PDF

정보화 시공분야에서의 Geo-mechatronics 기술의 전망 (Introduction of Geo-Mechatronics in Construction IT)

  • 김영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1289-1293
    • /
    • 2009
  • For the purpose of automatic management and enhancing quality of construction,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en employed in construction field recently. As a consequence, informative construction, which utilizes information technology to reduce construction time and optimize construction sequence, becomes a state-of-art field of construction. Considering this case, construction field should more actively adopt other engineering technologies of rapidly advancing fields, such as electronic, control, and informative engineering, in order to reduce construction cost and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as well as to enhance construction quality. In this aspect, this paper introduces a novel research field 'Geo-mechatronics', which stands for the convergence of geotechnical engineering and mechatronics (i.e. automation of mechanics using electronic technologies). Since the ground is ubiquitous in every infrastructure construction, the Geo-mechatronics research is crucial for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in the future. Moreover, it is believed to that the Geo-mechatronics research will make our construction industry to be more future-oriented and internationally comparative industry.

  • PDF

u-GIS 국토정보 제공 시스템 (u-GIS National L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 김재철;이규철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8
    • /
    • 2009
  • u-GIS 국토정보 제공 기술은 차세대 웹 기반의 국토정보 플랫폼 기술을 통해서 u-GIS 데이터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맞춤형 국토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다. 최근 플랫폼으로서의 웹을 강조하는 'Web 2.0' 환경이 대두됨에 따라서 공간정보 영역에서는 Where 2.0이라는 패러다임이 확산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서 Geo-spatial Web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 참여 기반의 개방형 플랫폼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지리공간정보의 수요자도 공공기관에서 일반 개인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변화 속에서 기존의 GIS 기술분야는 기술적으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술적 수요와 패러다임에 대한 기술적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핵심적 요소기술로 u-GIS 국토정보 플랫폼 기술, u-GIS 국토정보 시각화 기술, u-GIS 국토정보 GeoDRM(Geo-spatial Digital Right Management) 및 통합 기술, u-GIS 국토정보 모바일 응용 기술을 제시한다.

  • PDF

GeoGebra의 구성단계 기능을 활용한 고등학교 수학 영재 문제해결 과정의 창의성 평가 사례 연구 (A Case Study for Creativity Assessment of Problem Solving Process of Mathemat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Utilizing Construction Protocol of GeoGebra)

  • 양성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897-916
    • /
    • 2014
  • 고등학교 영재학급의 학생들의 수준과 능력에 적절한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와 영재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에 대한 과정 평가의 필요성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수학 영재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발현되는 창의성을 과정 중심으로 평가할 수 있는 교수 학습 사례를 제시하였다. 수학 교수 학습 소프트웨어의 일종인 GeoGebra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도형을 작도하는 과정에서 GeoGebra의 인터페이스의 사용과 대수적 계산을 병행하여 다양하고 창의적 방법으로 도형을 작도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GeoGebra의 '구성단계'와 '구성단계 네비게이션 바' 기능을 활용하여 학생 개개인이 작도 과정에서 사용한 명령어, 실행 과정 및 실행 횟수를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발견되어지는 학생들의 창의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학생 개개인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 정도와 비교 분석하여 이러한 교수 학습 방법이 교육청 단위로 선발하는 영재교육원 뿐만 아니라 단위학교 영재학급에서도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지형정보의 효율적 유지관리 방안 (A Study on the Efficient Maintenance of Geo-Spatial Information)

  • 이보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1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지형정보 유지관리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새로운 통합 환경에 맞는 유지관리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기존의 공급자 중심, 하향식의 지형정보 유지관리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외 지형정보 유지관리 사례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했다. 그리고, 지자체 지형정보 유지관리 현황 분석을 위해 20개 지자체 및 민간업체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로 유지관리 유형 및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기초로, 지형정보의 효율적인 유지관리 방안을 도출하고, 유형 및 체계를 중심으로 중앙정부, 지자체가 수행해야 할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략은 기존의 지형정보 유지관리 문제점을 최대한 해소하면서 8대 기본지리정보 등 모든 지형정보를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유지관리할 수 있는 방안으로, 국토공간정보를 생산, 구축, 활용하는 모든 기관들이 만족하며 상생할 수 있는 지름길이 될 것으로 믿는다.

  • PDF

표준관입시험 및 시추공 정보를 이용한 국내 전단파속도 예측 (VS Prediction Model Using SPT-N Values and Soil Layers in South Korea)

  • 허기석;곽동엽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8권8호
    • /
    • pp.53-66
    • /
    • 2022
  •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GeoInfo)는 전국 건설현장에서 생산되는 많은 수의 지반조사결과 자료를 배포하고 있다. GeoInfo에는 많은 수의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자료가 존재하지만, 전단파속도(VS) 데이터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풍부한 SPT 데이터로부터 VS를 예측하기위해 본 연구에서는 GeoInfo에서 배포하는 자료를 이용하여 새로운 N-VS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지층 또는 토층에 구분없이 하나의 모델을 제안한다. 단, 지층에 따라 VS의 최대값을 설정하여 N치의 과대 예측에 의한 VS의 과대 예측을 방지하였다. 모델 개발에 사용하지 않은 검증용 데이터를 활용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N-VS모델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을 비교해 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제안한 N-VS 모델은 GeoInfo의 많은 데이터로부터 유추된 경험식이기에 GeoInfo의 SPT 데이터를 VS로 변환하는데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GIS를 이용한 지반-지식 기반 지반 정보화 시스템 구축 기법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ethodology to Build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Geo-Knowledge Using GIS Technology)

  • 선창국;정충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55-68
    • /
    • 2006
  • 공간 지반 정보의 합리적 예측 목적으로, 대상 연구 지역을 포함하는 확장 지역 및 지표면 지질 자료 획득을 위한 추가 부지 조사라는 새로운 두 개념을 도입하여 GIS 기법 토대의 지반-지식 기반 지반 정보화 시스템(GTIS) 구축 기법을 개발하였다. 지역적 모범 적용 연구로서의 경주 지역에 대한 GTIS를 구축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법에 따라, 기존 지반 조사 자료의 수집과 연구 목적의 지반 조사가 수행되었고 지표 지층 자료 확보를 위한 추가적인 부지 지표 조사가 실시되었다. 경주 지역의 지반-지식 기반 GTIS 내에서 지구통계학적 크리깅 기법을 적용하여 확장 지역에 대한 공간 지층 정보를 예측하였으며, 이로부터 연구 대상 지역의 공간 지층 정보를 추출하였다. 뿐만 아니라, 지반 관련 실무적 활용 목적의 지층 두께 및 기반암 심도의 공간 분포 지도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지반-지식 기반 GTIS와 일반적인 지반공학적 GIS와의 비교 결과, GTIS의 우월성을 표준 편차와 지질 전문가적 판단을 통해 확인하였다.

GeoWEPP과 SWAT 모델을 이용한 산지 유역 강우-유출량 특성 분석 (Analysis of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 at Mountainous Watershed Using GeoWEPP and SWAT Model)

  • 김지수;김민석;김진관;오현주;우충식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44
    • /
    • 2021
  •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continuous soil loss is occurring in the mountainous watershed. The development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llows the spatial simulation of soil loss through hydrological models, but more researches applied to the mountain watershed areas in Korea are needed. In this study, prior to simulating the soil loss characteristics of the mountainous watershed, the field monitoring and the SWAT and GeoWEPP models were used to simulate and analyze the rainfall and runoff characteristics in the mountainous watershed area of Jirisan National Park. As a result of monitoring, runoff showed a characteristic of a rapid response as rainfall increased and decreased. In the simulation runoff results of calibrated SWAT models, R2, RMSE and NSE was 0.95, 0.03, and 0.95, respectively. The runoff simulation results of the GeoWEPP model were evaluated as 0.89, 0.30, and 0.83 for R2, RMSE, and NSE, respectively. These results, therefore, imply that the runoff simulated through SWAT and GeoWEPP models can be used to simulate soil loss. However, the results of the two models differ from the parameters and base flow of actual main channel, and further consideration is required to increase the model's accuracy.

공간정보 기기 품질인증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Geo-Spatial Information Device)

  • 김재명;최윤수;서재필;장은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33-43
    • /
    • 2011
  • 세계 여러나라들은 자국의 업체와 소비자 보호를 목적으로 다양한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상대국으로 하여금 무역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기존에 시행되고 있는 KS, KCC등 품질인증 관련 제도가 공간정보 분야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품질 인증제도와 사례분석을 통하여 공간정보 기기 품질인증(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공간정보 기기 품질인증에 필요한 기본개념을 정립하였고 둘째, 공간정보 기기의 품질인증 범위와 내용 및 절차를 세부항목으로 분류하여 설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국내외 유사인증제도의 특성과 비교하여 실증적인 품질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