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

검색결과 3,890건 처리시간 0.033초

Relationship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of Geo-polymers and Pre-curing Conditions

  • Kim, Hyunjung;Kim, Yooteak
    • Applied Microscopy
    • /
    • 제43권4호
    • /
    • pp.155-163
    • /
    • 2013
  • Meta-kaolin (MK) and blast furnace slag (BS) were used as raw materials with NaOH and sodium silicate as alkali activators for making geo-polymers. The compressive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various pre-curing conditions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improve the recycling rate of BS while still obtaining high compressive strength of the geo-polymers, it was necessary to provide additional CaO to the MK by adding BS. The specimens containing greater amounts of BS can be applied to fields that require high initial compressive strength. Alkali activator(s) are inevitably required to make geo-polymers useful. High temperature pre-cur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compressive strength in geo-polymers at the early stage of curing. On the other hand, long-term curing produced little to no positive effects and may have even worsene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geo-polymers because of micro-structural defects through volume expansion by high temperature pre-curing. Therefore, a pre-curing process at a medium range temperature of $50^{\circ}C$ is recommended because a continuous increase in compressive strength during the entire curing period as well as good compressive strength at the early stages can be obtained.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for Digital Infrastructure Building with Geo-based Nonrenewable Resources Information in Korea: Conceptual Modeling Units

  • Chi, Kwang-Hoon;Yeon, Young-Kwang;Park, No-Wook;Lee, Ki-W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91-196
    • /
    • 2002
  • From this year, KIGAM, one of Korean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has started new national program for digital geologic/natural resources infrastructure building. The goal of this program is to prepare digitally oriented infrastructure for practical digital database building, management, and public services of numerous types of paper maps related to geo-scientific resources or geologic thematic map sets: hydro-geologic map, applied geologic map, geo-chemical map, airborne radiometric/magnetic map, coal geologic map and off-shelf bathymetry map and so forth. As for digital infrastructure, several research issues in this topic are composed of: ISP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geo-framework modeling of each map set, pilot database building, cyber geo-mineral directory service system, and web based geolog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pgrade which services Korean digital geologic maps scaled 1:50K. In this study, UML (Unified Modeling Language)-based data modeling of geo-data sets by and in KIGAM, among them, is mainly discussed, and its results are also presented in the viewpoint of digital geo-modeling ISP. It is expected this model is further progressed with the purpose of being a guidance or framework modeling for geologic thematic mapping and practical database building, as well as other types of national thematic map database building.

  • PDF

GeoGebra를 활용한 귀납활동이 초등수학영재의 증명능력 및 증명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uctive Activities Using GeoGebra on the Proof Abilities and Attitudes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 권윤신;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2호
    • /
    • pp.123-14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GeoGebra를 활용한 귀납활동이 초등수학영재들의 증명능력 및 증명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수학영재 20명(실험집단 10명, 비교집단 10명)이고, 실험집단은 GeoGebra를 활용한 귀납활동 중심의 증명 수업을 하고, 비교집단은 GeoGebra를 활용하지 않은 일반적인 증명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실시 후 증명능력 검사와 증명학습태도 검사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증명 이전의 선행활동으로서의 GeoGebra를 활용한 귀납활동으로 학습한 실험집단은 전통적인 증명 학습을 한 비교집단보다 증명능력에 있어서 더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둘째, 증명 이전의 GeoGebra를 활용한 귀납적 활동을 통해 증명 학습을 한 실험집단은 전통적인 증명 학습을 한 비교집단보다 증명에 대한 신념 및 태도에 있어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탐구형 소프트웨어인 GeoGebra의 측정 및 끌기 기능을 통해 학생들이 도형을 변화시켜 불변의 성질을 탐구하며 가정 및 결론을 분리하여 직접 명제를 만드는 것이 증명 학습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CT 활용 지리수업을 위한 DB형 교수-학습 자료 개발 (The Development of DB-typ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for Geography Instruction Using a Method of ICT)

  • 최원회;조남강;장길수;박종승;최규학;신기진;백종렬;현경숙;신홍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75-291
    • /
    • 2003
  •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활용 지리수업을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이하, ‘DB' 라 칭함)형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DB형 교수-학습자료는 WBI(Web Based Instruction. 웹기반수업)에서의 지리이미지자료 사용상의 문제점을 극복해 줄 대안으로 간주된다. 이를 위하여 본 구에서는 우선 지리이미지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이하. '지리이미지 DB 프로그램' 이라 칭함)을 기반으로 CD-ROM 형태의 지리이미지 전자사전(이하, 'GEO-DB' 라 칭함)을 제작했다. GEO-DB에는 3,060개의 지리이미지가 원자료로 수록되어 있는데, 이러한 자료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에서 교사와 학습자가 공동으로 수집한 것이다. GEO-DB에는 교사와 학습자 모두 지리이미지 자료를 단순하게 활용함은 물론. 임의적으로 자료의 가공이 가능하도록 포트폴리오 기능을 첨부했는데, 이러한 포트폴리오 기능은, 특히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신장에 기여하고자 한 것이다 GEO-DB는 사용의 수월성, 검색의 신속성 및 확장의 무한성을 갖고 있어서, 지리 교수-학습에서 ICT의 활용 가능성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고. 학습자의 지리학습능력의 신장과 지리학습태도의 변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교사와 학습자에 의해 평가되었다.

Point Cloud 기반의 고해상도 원시데이터 연계 및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Linking & Management System for High-Resolution Raw Geo-spatial Data based on the Point Cloud DB)

  • 김재학;이동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32-144
    • /
    • 2018
  • 건설, 의료, 컴퓨터 그래픽스, 도시공간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3차원 공간정보 모델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측량 및 공간정보 분야에서는 최근 고품질의 3차원 공간정보와 실내공간정보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공간정보 데이터가 다양한 형식과 저장구조로 구성되어 관리되고 있어 저비용 고효율의 3차원 공간정보 서비스가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활용도 높은 3차원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기술은 관측과 처리에 고액의 비용이 발생하지만, 대부분의 수요처에서는 이러한 고비용의 공간정보 구축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비용의 3D 공간정보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재의 3D 모델의 구축 방법 중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는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Point Cloud, UAV 관측영상 등의 원시데이터를 활용하여 비용을 절감시키는 방법이 있지만, 이는 관리하는 기관이 분리되어 있고 사용하기 위해 요청하는 절차가 복잡하여 활용에 제한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로대장 관리 분야를 대상으로 3D 구축에 필요한 기반데이터를 통합하여 연계하고 관리 할 수 있는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을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형태의 원시자료를 Point Cloud 형식으로 구성하여 도로대장 관리에 적용할 경우 6개의 주요 관리항목을 효과적 구축 및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TM 망에서 발생되는 D-BMAP/Geo/1/K Quenu의 Departure 프로세스의 k-MMBP 특성화 (k-MMBP Characterization of the Departure Process of a D-BMAP/Geo/1/K Quenu Arising in an ATM Network)

  • 박두영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83-91
    • /
    • 1996
  • ATM 망의 모델링에서 발생되어지는 D-BMAP/Geo/1/K queue의 Departure 프로세스를 구하고 burstiness와 correlation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그 프로세스를 k-state MMBP로 특성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Image Clustering using Geo-Location Awareness

  • Lee, Yong-Hwan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35-138
    • /
    • 2020
  •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of automatic clustering to search of relevant digital photos using geo-coded information. The provided scheme labels photo images with their correspond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coordinates and date/time at the moment of capture, and the labels are used as clustering metadata of the images when they are in the use of retrieval.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geo-location information can improve the accuracy of image retrieval, and the information embedded within the images are effective and precise on the image clustering.

GeoGebra 환경에서 정적분을 이용한 자연로그의 개념이미지 형성 학습 개선방안 (A study for Build the Concept Image about Natural Logarithm under GeoGebra Environment)

  • 이정곤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88
    • /
    • 2012
  • 정적분을 이용한 자연로그 학습은 구체적인 개념이미지 형성이 어려운 부분이 존재하기에 역동적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각적 추론의 과정을 거치는 접근방법이 개념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역동적인 프로그램 환경에서 학습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수학적 개념을 구체적으로 인식하게 하는 유용한 교수 학습 방법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공학부 학생들이 역동적 프로그램이며 시각적 도구인 GeoGebra 환경에서 정적분을 이용한 자연로그 그래프를 이해하는 과정을 탐구하고 분석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GeoGebra 프로그램 환경을 바탕으로 학습하는 것은 학생들 스스로 오류를 수정하고 조작하는 활동을 행할 수 있어서 주어진 문제에 대한 해결과정을 직접 관찰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역동적인 프로그램인 GeoGebra를 이용하는 것은 정적분을 이용한 자연로그 그래프를 보다 구체적으로 인식 이해 할 수 있고 개념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역동적인 프로그램 환경을 활용하는 것은 단순한 암기 주입식 교육환경에서 경험할 수 없었던 실체적인 수학개념에 대하여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Some High-Frequency Variability of Currents Obtained by "GeoDrifters" in the Tsushima Current Region

  • Seung, Young Ho;Park, Jong Jin;Kwon, Young-Yeon;Kim, Sung-Joon;Kim, Hong-Sun;Park, Yong-Chul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9권3호
    • /
    • pp.169-179
    • /
    • 2017
  • The "GeoDrifter" is a newly-developed surface drifter with high temporal resolution. It is the first time that high-frequency drifters have been deployed in the East/Japan S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phenomena experienced by these drifters flowing along with the Tsushima Current across the East/Japan Sea, focusing on high-frequency variability, and to discuss them in comparison with previous observations. The observed basin-scale circulation of the Tsushima Current generally coincides well with the known schematic circulation. The GeoDrifter trajectories also show inertial oscillations almost everywhere in the oceanic regions of the East/Japan Sea, strong semi-diurnal tidal currents in the western part of Korea Strait, diurnal currents much stronger than semi-diurnal currents in the upstream region of the Nearshore Branch off the Japanese coast, and many warm eddies in the Yamato Basin, all comparable to the observational results reported in the previous studies. An interesting point is that the semi-diurnal tidal currents undergo a great spatial variation in the western part of the Korea Strait. The observed features that cannot be explained are, among others, strong counter-clockwise motions with oscillating period about 51 hours appearing in the upstream region of the Nearshore Branch off the Japanese coast and the different tidal behaviors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regions of the latter.

Optical Monitoring Strategy for Avoiding Collisions of GEO Satellites with Close Approaching IGSO Objects

  • Choi, Jin;Jo, Jung Hyun;Yim, Hong-Suh;Choi, Young-Jun;Park, Maru;Park, Sun-Youp;Bae, Young-Ho;Roh, Dong-Goo;Cho, Sungki;Park, Young-Sik;Jang, Hyun-Jung;Kim, Ji-Hye;Park, Jang-Hyu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2권4호
    • /
    • pp.411-417
    • /
    • 2015
  • Several optical monitoring strategies by a ground-based telescope to protect a Geostationary Earth Orbit (GEO) satellite from collisions with close approaching objects were investigated. Geostationary Transfer Orbit (GTO) objects, Inclined GeoSynchronous Orbit (IGSO) objects, and drifted GEO objects forced by natural perturbations are hazardous to operational GEO satellites regarding issues related to close approaches. The status of these objects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ir orbital characteristics in Two-Line Element (TLE) data from the Joint Space Operation Center (JSpOC). We confirmed the conjunction probability with all catalogued objects for the domestic operational GEO satellite,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 using the Conjunction Analysis Tools by Analytical Graphics, Inc (AGI). The longitudinal drift rates of GeoSynchronous Orbit (GSO) objects were calculated, with an analytic method and they were confirmed using the Systems Tool Kit by AGI. The required monitoring area was determined from the expected drift duration and inclination of the simulated target. The optical monitoring strategy for the target area was analyzed through the orbit determination accuracy. For this purpose, the close approach of Russian satellite Raduga 1-7 to Korean COMS in 2011 was sel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