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DP 성장률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Fertility Rate and Female Labor Supply on Economic Potential (출산율 및 여성고용 제고 정책이 성장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 Ryu, Deock-Hyu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1 no.1
    • /
    • pp.27-5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olicy boosting fertility and labor participation rate on potential GDP growth rate. To do this, we employ a growth accounting approach, which decomposes per capita GDP into two parts. The first one is the change of dependency ratio and the other is the change of labor input. The labor input is again decomposed into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arts. The quantitative part considers the change of labor participation rate and working time. The qualitative aspects is based on the trend of productivity of labor. From the scenarios of NSO(National Statistics Office), the effect of the fertility-raising policy on per capita potential GDP growth rate is calculated and projected to the year of 2050. We also forecast the policy effect inducing high labor participating rate of female labor and beyond 55-year old labor. The baseline results show that the per capita GDP growth rate will show mid 4% to the year of 2010, gradually declining to 3.94% by 2020, 3.03% by 2030, 2.41% by 2040. The high fertility rate scenario will not have effects on the potential growth by 2030, but show 0.10%p higher per capita GDP growth rate than that of baseline scenario result. By the high female labor participation policy, the per capita GDP growth rate will reach 0.04%p higher per capita GDP growth rate than that of baseline scenario.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aper, we conclude that the quantitative labor input cannot solely account for the trend decline of potential GDP, and the qualitative aspect, like labor productivity, is much more important element to sustain and boots the economic growth.

A Slowdown in Korea's GDP Trend Growth and Its Decomposition (한국경제의 추세성장률 하락과 요인분해)

  • Seok, Byoung Hoon;Lee, Nam Gang
    • Economic Analysis
    • /
    • v.27 no.2
    • /
    • pp.1-40
    • /
    • 2021
  • Using an unobserved components model that features trend growth as a random walk, we find that GDP trend growth rates had gradually declined from the late 1980s to early 2010s in Korea. To uncover the underlying features of the slowdown, we use trend growth accounting. A major feature appears to be a significant decline in the growth rate of labor productivity. To be specific, the first gradual decline in trend growth, which started in 1988 and continued to 1998, is associated with a drop in TFP measured in labor-augmenting units. This finding is in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at the slowdown in GDP trend growth can be attributed to the 1997-1998 Korean financial crisis. Sluggish investment growth is behind the second period of the gradual slowdown, from 2002 to 2012.

Forecasting Korea's GDP growth rate based on the dynamic factor model (동적요인모형에 기반한 한국의 GDP 성장률 예측)

  • Kyoungseo Lee;Yaeji Lim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7 no.2
    • /
    • pp.255-263
    • /
    • 2024
  • GDP represents the total market value of goods and services produced by all economic entities, including households, businesses, and governments in a country, during a specific time period. It is a representative economic indicator that helps identify the size of a country's economy and influences government policies, so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it. This paper presents a GDP growth rate forecasting model based on a dynamic factor model using key macroeconomic indicators of G20 countries. The extracted factors are combined with various regression analysis methodologies to compare results. Additionally, traditional time series forecasting methods such as the ARIMA model and forecasting using common components are also evaluated. Considering the significant volatility of indicators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the forecast period is divided into pre-COVID and post-COVID period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dynamic factor model, incorporating ridge regression and lasso regression, demonstrates the best performance both before and after COVID.

국면전환 확산모형을 통한 정보통신산업 발전과정의 특성 국제비교

  • Gu, Jae-Beom;Lee, Jeong-Dong;Jeong, Jong-Uk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5.02a
    • /
    • pp.268-28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OECD 주요 10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정보통신산업의 성장 추이를 각각 분석하고 국별 특성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각국의 정보통신산업이 경기순환 또는 단계별 발전 속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국가별 공통점과 특이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론적으로 OECD 국가들의 정보통신산업 GDP 추이 및 성장률의 움직임을 국면전환 (regime change) 확산과정으로 묘사함으로써 각 국가별 정보통신산업 발전 양상의 특징 및 국면전환 시점 등을 포착해 내고자 하였다 추세를 갖는 대표적 확산과정인 GBM 모형과 평균회귀 성향을 갖는 대표적 확산과정인 Vasicek 모형에 각각 마코프 국면전환을 도입하여 국가별 정보통신산업 GDP 및 GDP 성장률의 추이에 있어 국면 전환 여부와 독특한 발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정보통신산업 GDP의 성장률과 변동성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한국, 멕시코 등은 고성장, 고변동성을, 미국, 프랑스, 일본 등은 저성장, 저변동성의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경우 유일하게 성장률과 변동성 모두 국면전환이 일어나는 국가로 나타났다. 장기평균 성장률의 특성에 따라 분류한 결과, 한국, 일본, 미국, 멕시코, 뉴질랜드는 고성장에서 저성장으로의 국면전환, 핀란드와 덴마크는 경기 순환적 국면전환, 노르웨이, 프랑스, 캐나다는 단일 국면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특히 한국의 경우 평균회귀 속도와 변동성이 타 국가에 비해 높은 특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정보통신산업을 미시적 분석이나 세부 항목별 정량적 분석을 통해서가 아니라 산업의 발전 속성 및 경기 순환 등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정보통신산업 정책의 수립 및 집행을 거시적 안목 하에 정립할 수 있게 한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또한 경제변수를 묘사하는데 있어 국면전환 확산과정을 사용함으로써 향후 실물옵션 등을 통한 기술 및 무형자산의 가치평가에 있어 기초자산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히 포착해 낼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공하였다는데 또 다른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 PDF

BUSINESS GUIDE_특별기획 - 2010년 국내경제 전망(4)

  • LG 경제연구원
    • Product Safety
    • /
    • s.196
    • /
    • pp.30-33
    • /
    • 2010
  • 2010년 우리경제는 수요회복과 기저효과에 힘입어 상반기에는 5.8%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기저효과가 줄어드는 2010년 하반기 성장률은 3%대에 머물 것으로 보여 2010년 국내경제 성장률은 4.6%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0년에는 수출과 내수의 빠른 회복세가 완화되면서 경제성장의 속도가 전반적으로 완만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고성장이 우리 수출에 크게 기여하겠지만 원화강세가 지속되면서 수출의 상승세는 크게 둔화될 전망이다. 교육조건 개선에 따른 소득증대가 소비확대에 기여하고 설비투자도 2009년 크게 위축되었던 데 따른 반등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정부부문이 민가수요를 촉진하는 효과가 줄면서 내수회복의 힘도 약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근로 축소로 성장에 따른 고용창출이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원화환율은 2010년 평균 달러당, 1,100원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대 후반에 머물 전망이다. 2010년 4%대 중 후반의 성장을 달성하더라도 GDP 수준이 잠재GDP 수준을 밑돌아 경기과열 우려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금융위기 때의 긴급 조치들을 거둬들이되 급격한 금리인상 등의 출구전략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BUSINESS GUIDE_특별기회 - 2010년 국내경제 전망(1)

  • LG경제연구원
    • Product Safety
    • /
    • s.193
    • /
    • pp.40-47
    • /
    • 2010
  • 2010년 우리경제는 수요회복과 기저효과에 힘입어 상반기에는 5.8%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기저효과가 줄어드는 2010년 하반기 성장률은 3%대에 머물 것으로 보여 2010년 국내경제 성장률은 4.6%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0년에는 수출과 내수의 빠른 회복세가 완화되면서 경제성장의 속도가 전반적으로 완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금융시장의 리스크 요인이 잔존하고 있는 가운데 세계경제의 회복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중국의 고성장이 우리 수출에 크게 기여하겠지만 원화강세가 지속되면서 수출의 상승세는 크게 둔화될 전망이다. 교육조건 개선에 따른 소득증대가 소비확대에 기여하고 설비투자도 2009년 크게 위축되었던 데 따른 반등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정부부문이 민간수요를 촉진하는 효과가 줄면서 내수회복의 힘도 약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근로 축소로 성장에 따른 고용창출이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원화 환율은 2010년 평균 달러당 1,100원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대 후반에 머물 전망이다. 2010년 4%대 중 후반의 성장을 달성하더라도 GDP 수준이 잠재 GDP 수준을 밑돌아 경기과열 우려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금융위기 때의 긴급 조치들을 거둬들이되 급격한 금리인상 등의 출구전략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BUSINESS GUIDE_특별기획 - 2010년 국내경제 전망(2)

  • LG 경제연구원
    • Product Safety
    • /
    • s.194
    • /
    • pp.30-35
    • /
    • 2010
  • 2010 우리경제는 수요회복과 기저효과에 힘입어 상반기에는 5.8%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기저효과가 줄어드는 2010년 하반기 성장률은 3%대에 머물 것으로 보여 2010년 국내경제 성장률은 4.6%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0년에는 수출과 내수의 빠른 회복세가 완화되면서 경제성장의 속도가 전반적으로 완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금융시장의 리스크 요인이 잔존하고 있는 가운데 세계경제의 회복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중국의 고성장이 우리 수출에 크게 기여하겠지만 원화강세가 지속되면서 수출의 상승세는 크게 둔화될 전망이다. 교육조건 개선에 따른 소득증대가 소비확대에 기여하고 설비투자도 2009년 크게 위축되었던 데 따른 반등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정부부문이 민간수요를 촉진하는 효과가 줄면서 내수회복의 힘도 약활 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근로 축소로 성장에 따른 고용창출이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원화 환율은 2010년 평균 달러당 1,100원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대 후반에 머물 전망이다. 2010년 4%대 중 후반의 성장을 달성하더라도 GDP 수준이 잠재GDP 수준을 밑돌아 경기과열 우려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금융위기 때의 긴급 조치들을 거둬들이되 급격한 금리인상등의 출구전략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Business Guide_특별기획 - 2010년 국내경제 전망(3)

  • LG경제연구원
    • Product Safety
    • /
    • s.195
    • /
    • pp.32-37
    • /
    • 2010
  • 2010년 우리경제는 수요회복과 기저효과에 힘입어 상반기에는 5.8%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기저효과가 줄어드는 2010년 하반기 성장률은 3%대에 머물 것으로 보여 2010년 국내경제 성장률은 4.6%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0년에는 수출과 내수의 빠른 회복세가 완화되면서 경제성장의 속도가 전반적으로 완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금융시장의 리스크 요인이 잔존하고 있는 가운데 세계경제의 회복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중국의 고성장이 우리 수출에 크게 기여하겠지만 원화강세가 지속되면서 수출의 상승세는 크게 둔화될 전망이다. 교육조건 개선에 따른 소득증대가 소비확대에 기여하고 설비투자도 2009년 크게 위축되었던 데 따른 반등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정부부문이 민간수요를 촉진하는 효과가 줄면서 내수회복의 힘도 약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근로 축소로 성장에 따른 고용창출이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원화환율은 2010년 평균 달러당 1,100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대 후반에 머물 전망이다. 2010년 4%대 중 후반의 성장을 달성하더라도 GDP 수준이 잠재GDP 수준을 밑돌아 경기 과열 우려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금융위기 때의 긴급 조치들은 거둬들이되 급격한 금리인상등의 출구전략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The Research for the Change of Load Demand in Wintertime by the Influence of a Climate (기후의 영향에 따른 동절기 전력수요 변화에 대한 연구)

  • Ahn, Dae-Hoon;Song, Kwang-Heon;Choi, Eun-J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3 no.9
    • /
    • pp.47-54
    • /
    • 2009
  • These clays, because of world economy recession, exports decreased rapidly and manufacturing industry growth fell into negative. Industrial power consumption has been reduced about 7[%] that forms 53[%] of total load demand in Korea. And also, daily load pattern has been changed in several ways because of power consumption decrease influenced by domestic demand recession and heating power load decreased by the rise in temperature. This research analyzes, by analyzing maximum load demand, average load demand, load pattern based on relative factor, and load sensitiveness in accordance with temperature, that maximum load demand is more sensitive to atmospheric temperature than GDP growth rate and average load demand tends to be reduced according to GDP growth rate. I suppose KPX could operate the network system economically and safely by forecasting load demand in winter and summer seasons based on the results.

WTO 가입 이후 베트남 부동산 시장 전망

  • Kim, So-Jin
    • 주택과사람들
    • /
    • s.204
    • /
    • pp.50-51
    • /
    • 2007
  • 베트남 경제가 날개를 달고 있다. 베트남의 2006년 GDP 성장률은 8.2%를 달성함으로써 2년 연속 8%대 성장을 이어가고 외국인 직접 투자액은 100억 달러를 넘어섰다. 2005년 외국인이 직접 투자한 금액이 58억 달러였음을 감안할 때 비약적으로 성장한 수치다. 마침내 베트남은 지난해 11월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했다. 베트남의 WTO 가입 의미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에 대해 알아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