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C/MS-SIM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42초

고체상 추출법을 이용한 Phthalate Esters의 분석방법 연구 (A Study on Analytical Method of Phthalate Esters in Water by SPE(Solid-Phase-Extraction))

  • 홍성희;한개희;이찬형;이순화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1-86
    • /
    • 2003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new analytical method of phthalate esters(diethylphthalate, di-n-butylphthalate, butylbenzylphthalate, bis(2-ethylhexyl)phthalate), one of the endocrine disruptors, which were performed by GC/MS-SIM(selected ion monitoring). The phthalate esters were extracted from water samples using solid-phase extraction on $C_{18}$ columns. It investigated that the extraction recovery rate of phthalate esters with different solvents and solvent volume. The optimal solvent was dichloromethane and proper volume of dichloromethane for recovery of phthalate esters was 4 mL. There were good linearities(above $R^2$=0.9975) in the range 0.01~0.50mg/L, and the detection limits were below 0.01~0.03$\mu\textrm{g}$/L. The recovery rates, RSD and MDLs for phthalate esters were 80~114%, 5.0~8.1% and 0.03~0.11$\mu\textrm{g}$/L, respectively. This method shows a good precision of phthalate esters.

건조 온도에 따른 마늘의 휘발성 함황성분의 변화 (Changes in Volatile Sulfur Compounds of Garlic (Allium sativum L.) under Various Drying Temperatures)

  • 정신교;석호문;최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79-682
    • /
    • 1994
  • 마늘외 휘발성 함황성분을 용매추출 및 수증기 증류법에 의하여 추출하여 GC와 GC/MS에 의하여 분리 통정하고 건조온도에 따른 이들의 함량 변화틀 조사하였다. 핵산 추출물에서 8종, 수중기증류물에서 11종의 향기성분을 동정하였으며 이들 중 diallyl disulfide와 diallyl trisulfide, allyl methyl trisulfide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건조온도가 중가함에 따라 마늘외 휘발성 함황성분은 핵산 추출물에서 $40{\sim}75%$까지 감소하였고 수중기 증류물에서는 $10{\sim}20%$ 정도 감소하였다. 휘발성 함황화합물중 diallyl disulfide, allyl methyl trisulfide의 함량은 크게감소한 반면 diallyl trisulfide의 함량은 비교적 적게 감소하였다.

  • PDF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에 의한 저질 및 토양시료 중 벤조페논의 분석법 연구 (Analysis of Benzophenone in Sediment and Soil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권오승;김은영;류재천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6권3호
    • /
    • pp.121-126
    • /
    • 2001
  • Analytical method of benzophenone (BP) in sediment and soil was develop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elective detector/selected ion monitoring (GC/MSD/SIM). The ultrasonic extraction of US EPA (method 3550B) method and liquid-liquid extraction for sediment and soil sampl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BP from sediment and soil. BP was extracted with n-hexane. Organic layer was washed with 5% sodium chloride solution. 1∼2 l of the concentrated solution of organic layer was applied to GC/MSD. The retention time of BP peak was 11.10 min. Recovery (%) of BP by ultrasonication from sediment and soil samples was 96.0∼100.6% and 40.0∼83.0%, respectively. Recovery of BP by liquid-liquid extraction was 51∼59% in soil samples. The detection limit of BP in sediment and soil samples were determined to 0.1 ng/g.

  • PDF

농산물 중 Fenoxanil 잔류성 시험법 개발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Fenoxanil in Agricultural Products Using GC-NPD and GC/MS)

  • 김경하;안경근;김기쁨;황영선;이영득;정명근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45-353
    • /
    • 2015
  • 본 연구는 GC/NPD와 GC/MS를 이용하여 농산물 시료에 적용 가능한 MBI propionamide계 살균제 fenoxanil의 잔류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고추, 배추, 사과, 현미 및 콩을 대표 농산물로 설정하여 fenoxanil 단성분의 정량 및 확인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각각 농산물에 대한 추출은 acetone을 이용하였으며, 분배과정은 n-hexane/dichloromethane (80/20, v/v), 정제는 florisil 흡착제를 활용한 정제법을 적용하였다. 정량분석은 DB-5 capillary column을 GC/NPD에 장착하여 수행하였고, 각 농산물에 대한 정량한계는 0.04 mg/kg으로 설정 가능하였다. 회수율은 82.2-109.1%로 조사되었으며 농산물 시료의 종류 및 처리수준에 관계없이 7.2% 미만의 변동계수를 나타냈다. 정성적 확인을 위해 GC/MS를 이용, m/z 125.0, 188.9 및 293.0을 fenoxanil의 정성확인을 위한 선택적 이온으로 설정하였다.

GC-ECD 및 GC-MS를 이용한 현미 중 chloropicrin의 잔류시험법 개발 (Development of an Analytical Method for Chloropicrin Determination in Hulled Rice by GC-ECD and GC-MS)

  • 도정아;최정희;박혜진;박용춘;윤혜정;최동미;오재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2-226
    • /
    • 2013
  • Chloropicrin은 국내에서는 사용되지 않으며, 잔류허용기준이 불검출로 설정된 농약이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훈증제, 살균제, 살선충제 및 저장 곡물의 살충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등에서 수입하는 식품 중 국내에서 사용하지 않는 농약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해당 농약을 신속하고 빠르게 검출할 수 있는 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Chloropicrin은 분자량이 작고 휘발성이 큰 화합물이므로 헤드스페이스 추출법을 활용하여 검체 추출액을 직접 GC에 주입하는 시험법을 개발하였으며, 확립된 시험법을 검증한 결과 회수율이 77.7~79.3%로 조사되어 코덱스 국제가이드라인(CAC/GL 40)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정량한계 또한 0.05 mg/kg 이하로 매우 우수한 감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GC-MS를 이용한 재확인과정을 추가로 확립하여 본 시험법의 신뢰도를 높였다. 확립된 시험법은 식품에 잔류할 수 있는 농약의 기준 준수여부에 대한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공정시험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한 종이류 중 알킬페놀류, 클로로페놀류 및 비스페놀 A 정량 (Sensitive Determination of Alkylphenols, Chlorophenols, and Bisphenol A using GC/MS-SIM in Paper Materials)

  • 김협;김진호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8권1호
    • /
    • pp.45-55
    • /
    • 2003
  • The alkylphenols, chlorophenols and bisphenol A were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selected ion monitoring (GC/MS-SIM) mode followed by two work-up methods for comparison; isoBOC derivatization method and TBDMS derivatization method. Eleven phenols in paper samples were extracted with acetonitrile. Also, solid -phase extraction (SPE) with XAD -4 and subsequent conversion to isobutoxycarbonyl derivatives or tert.-butyldimethylsilyl derivatives for sensitive analysis with the selected ion-monitoring (SIM) mode. The SIM responses were linear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varying 0.9717 ∼ 0.9995 (isoBOC derivatization), and 0.9842 ∼ 0.9980 (TBDMS derivatization). The recoveries were 82.4 ∼ 108.8%) by area ratio of phenanthrene -d$\_$10/ vs bisphenol A-d$\^$l6/. (isoBOC derivatization and TBDMS derivatization) The range of concentrations was respectively, 0.95 ∼ 1.44 ng/g in 2,4-dichlorophenol, 1.01 ∼ 1.17 ng/g in t-butylphenol,2.17 ∼ 5.84 ng/g in pentachlorophenol, 12.68 ∼ 14.88 ng/g in nonylphenol and 30.84 ∼ 153.72 ng/g in bisphenol A.

광양만 해수 중 유기인 잔류 농약성분의 GC-MS 분석 (GC-MS Analysis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 Residue in Seawater From the Kwangyang Bay, Korea)

  • 박미옥;박점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93-304
    • /
    • 2006
  • Sea water samples collected in August, 1994 from 20 stations in the Kwangyang Bay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selected ion monitoring (GC/MS-SIM) to investigate persistence and distribution pattern of four organophosphorus pesticides (DDVP, Diazinon, IBP, EDDP). Except for IBP, the contamination by DDVP, Diazinon, and EDDP in marine aquatic environment in Korea has not been reported previously. In this study, however, all these four pesticides were detected in all stations (except DDVP) and their concentrations were in ng/L level. The concentrations ranged from detection limit to 15.3ng/L for DDVP, 1.8-27.7ng/L for Diazinon, 7.3-63.5ng/L for IBP, and 22.2-1100.1ng/L for EDDP. It is noteworthy that the measured concentrations of IBP and EDDP in this study would be much lower than usual, since the use of IBP and EDDP was less than 50% of average annual consumption due to unusually dry and hot weather condition in the summer of 1994. It was very surprising to find that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were observed at stations near Daesa Streamlet instead of Seomjin River, which has more point source of the pesticide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mall river discharge during heavy ram period in summer can give harmful effect on marine biota (both wild and aqua-cultured) with its organophosphorus pesticide residue, despite of their short residence time in aquatic environment. In order to protect the marine life properly from acute toxicity of the organophosphorus pesticides, it needs to be emphasized that monitoring the level of agricultural pesticides in river run-off should be done during active consumption period rather at regular intervals.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에 의한 향미 유전자원의 방향성 화합물 비교분석 (Comparison Analysis of Aromatic Compounds in the Aromatic Rice Germplasm by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 김정순;조점래;곽재균;김태산;안상낙;이석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88-103
    • /
    • 2009
  • 국내 육성향미자원과 도입 향미 유전자원의 2AP 함량을 비교분석하여, 2AP 함량이 높고 농업적 형질이 우수한 자원을 30품종의 향미 유전자원에서 방향성 화합물을 SPME 추출법으로 추출하고 GC-MS로 각 자원이 가지는 방향성 화합물을 비교분석 및 동정하였다. 1. 3종류의 유기용매의 2AP 추출효율은 ethanol > acetonitl > methanol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ethnaol의 경우 $30{\sim}90^{\circ}C$의 온도범위에서 3가지 유기용매 중 ethanol이 2AP 추출효과가 가장 뛰어났고, 특히 $90^{\circ}C$에서 30분간 추출하였을 때 2AP 추출함량이 가장 높았고 추출 시간이 경과할수록 2AP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현미의 분쇄정도에 따른 2AP 추출함량은 5초간 분쇄하였을 경우 가장 높았으며 분쇄 시간이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2. 선발자원의 향에 대한 관능검사는 국내 향미자원 5품종 중 Hyangmibyeo1ho, Arnaghyangchalbyeo가 중간 정도의 향을 띄었고 인디카형 도입자원 19품종 중에서 11품종과 자포니카형 도입자원 6품종 중 2품종이 중간 이상의 향을 나타났다. 3. 30품종의 평균 2AP함량은 국내 육성 향미자원이 도입 향미자원에 비해 낮았으며 도입자원에서는 인디카형이 자포니카형 보다 높은 2AP 함량을 나타내었다. 4. 156종의 방향성 화합물 기능기별로 분류하면 alcohol류 33종, acid류 23종, ketone류 24종, hydrocarbon류 20종, ester류 16종, aldehyde류 16종, ether류 4종, amine류 5종 phenol류 3종, base류 2종, 및 기타 10종으로 분류되었다. 5. 156종의 방향성 화합물 중 생태형별 출현빈도가 50% 이상인 방향성 화합물을 살펴보면, 국내육성 향미자원에서는 2-acetyl-1-pyrroline 외 28종, Japonica type 도입 향미자원에서는 9,12-octadecadienoic acid 외 31종, Indica type 도입 향미자원에서는 naphthalene 외 23종이었다. 6. GC-MS 분석결과 검출된 국내 육성 향미자원의 방향성 화합물의 수는 평균 38개($36{\sim}41$개), 평균 total peak area는 61.1%($51.6{\sim}79.3%$)이었다. 도입 자포니카형 향미자원의 방향성 화합물의 수는 평균 39개($26{\sim}45$개), 평균 total peak area는 63.2%($40.9{\sim}81.9%$)이었다. 도입 인디카형 향미자원의 방향성 화합물의 수는 평균 39.6개($26{\sim}53$개), 평균 total peak area는 72.8%($33.8{\sim}98.8%$)이었다. 7. 30 품종으로부터 검출된 156종의 방향성 화합물의 출현 유무(0/1)를 기본 matrix로 하여, UPGMA/Neighbor-join tree 분석을 통해 분류한 결과, 7개의 그룹(Group $I{\sim}VII$)으로 나눠어졌다. 각 그룹의 66% 이상의 자원에서 나타난 향(aroma/odor)성분을 살펴보면, alcohol, aldehyde, acid, ether류 등의 휘발성 성분들의 비율이 품종별로 높았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는 대량의 향미 유전자원의 방향성 화합물에 대한 GC/GC-MS분석결과로, 향후 우수한 향미 품종 육성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시판 목초액의 성분조성 (Compostion of Constituents of Commercial Wood Vinegar Liquor in Korea)

  • 김삼곤;김근수;이윤환;김영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4호
    • /
    • pp.262-268
    • /
    • 2001
  • 국내에서 농업용으로 시판되고 있는 목초액을 dichloromethane으로 추출한 다음 추출물의 성분조성을 조사하였다. 삼나무 [Cryptomeria japonica(L. fil.) D. Don]와 참나무류(Quercus)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목초액의 추출물의 수율은 각각 5.8%와 1.8%이었다. 각각의 추출물은 산 및 알칼리 처리에 의해 산성 분획, 페놀성 분획, 중성 분획 및 염기성 분획으로 구분한 다음 GC 및 GC-MS를 사용하여 각 분획의 구성성분을 분석하였다. 산성 분획 에서는 26종의 성분을 동정하였고, 2종의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acetic acid, propionic acid 및 n-butyric acid가 주요 구성성분이었다. 페놀성 분획에서는 32종의 페놀화합물을 동정하였고, 2종의 시료에서 공통적인 주요 구성 성분은 guaiacol, 4-methylguaiacol, phenol, p-cresol, m-cresol 등이었다. 또한 참나무로 제조한 목초액의 페놀성분획에서는 syringol과 4-methylsyringol의 함유비율이 각각 8.89%, 1.72%이었으나 삼나무로 제조한 목초액에서는 두 성분의 함유비율이 각각 1.12%, 0.07%이었고, 삼나무로 제조한 목초액의 페놀성 분획에서는 vanillin(3.31%), acetovanillone(3.11) 및 GC-MS에 의해 잠정적으로 확인된 ethylvanillyl ether(7.75%)의 함유 비율이 높은 편이었으나 참나무 목초액에서 이 성분들의 함유비율은 0.1% 이하이었다. 중성 분획에서 동정된 45종의 성분 중에서 2-furfural, 5-methyl-2-furfural, 3-methyl-2-cyclopenten-1-one, 2-methyl-1-cyclopenten-1-one 등이 주요 구성성분이었고, 이외에도 furan, furfural 및 cyclopentenone 유도체들이 많이 검출되었다.

  • PDF

수출입 원예작물의 검역을 위한 살균제 Fluazinam의 공정 잔류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an Official Method for Measurement of Fluazinam Residues for Quarantine of Imported and Exported Horticultural Products)

  • 김경하;안경근;김기쁨;황영선;장문익;강인규;이영득;정명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1호
    • /
    • pp.183-194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및 수출입 원예작물의 일상적 잔류농약 검사에 활용 가능한 dinitroaniline계 광범위 살균제 fluazinam의 GC-ECD/MS 잔류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원예작물 중 채소류에서는 청양고추와 결구배추를, 과일류에서는 감귤과 사과를 대표 시료로 선정하였고, 아세톤으로 추출된 fluazinam은 식염수로 희석하고, 수용액층을 n-hexane 액-액 분배법으로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추출액으로부터 fluazinam의 최종적 정제를 위하여 florisil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추가 정제하여 GC-ECD/MS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Fluazinam의 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DB-17 capillary column을 적용한 GC-ECD 분석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각 작물별 4수준의 농도로 fluazinam을 인위 첨가하여 회수율을 분석하였다. 각 대표 원예작물에 대해 정량한계, 정량한계의 10, 50, 및 100배 수준에서 회수율을 검토한 결과 모든 처리농도에서 82.5-99.9%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정량한계(LOQ)는 $0.004mg{\cdot}kg^{-1}$이었다. 반복 간 변이계수(CV)는 최대 6.6%를 나타내어 국제적 잔류분석 기준인 회수율 70-120% 및 분석오차 10% 이내를 충족시키는 만족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GC/MS SIM을 이용하여 실제 각 작물 시료에 적용하여 재확인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신규 fluazinam의 GC-ECD/MS 분석법은 검출한계, 회수율 및 분석오차 면에서 국제적 분석기준을 만족하는 신뢰성이 확보된 정량 분석법으로서 국내 및 수출입 검역을 위한 원예작물의 공정 잔류분석법으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