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BA production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3초

Quantitative Analysis of Marker Compounds and Matabolic Profiling of Zanthoxylum piperitum (Chopi) according to Different Parts and Harvest T imes

  • Hyejin Hyeon;Eunbi Jang;Yoonji Lee;Sung Hye Han;Baek Kwang Yeol;Su Young Jung;Ki Sung Shin;Weon-Jong Yoo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62-62
    • /
    • 2023
  • Zanthoxylum piperitum ("chopi" in Korean)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with high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fungal activities. The aim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marker compounds and to investigate metabolites variation of chopi according to different parts and harvest times. Every month from June to September, chopi were harvested with three different parts: leaves, leaf-twig mixtures, twigs.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two main marker compounds (quercitrin and quercetin-3-O-glucoside) were characterized in 70% ethanol extracts of chopi. Quantification of the two marker compounds were subsequently conduct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representing that contents of these compounds were higher in leaves and leaf-twig mixtures rather than twigs. For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metabolites associated with production of marker compounds, 35 primary metabolites were identifi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represented that plant parts were main contributors to the separation of chopi.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between leaves and leaf-twig mixtures samples. The partial least square (PLS) predictive model revealed that monosaccharides (fructose, galactose, glucose, mannose, xylose) and branched-chain amino acids (isoleucine, valine, leucine) were important determinants for the production of marker compounds together with alanine, inositol, GABA, and theronic acid. This study could be extended to stabilize and utilize chopi as an industrial material, as well as to find good candidates with various nutritional traits.

  • PDF

키토산을 처리한 발아현미의 기능성분 증대 및 비만에 미치는 영향 (Increment of Physiologically Active Compounds in Germinated Brown Rice Treated with Chitosan and its Effect on Obesity of Rat Fed a High Fat Diet)

  • 이화;조정용;고천성;최차란;이강덕;조지은;조건식;함경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985-991
    • /
    • 2008
  • 키토산용액으로 발아시킨 키토산발아현미는 증류수만으로 발아시킨 일반발아현미보다 식이섬유, 총 페놀성 화합물, GABA, 그리고 phytic acid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체내 지방 흡수에 관여하는 lipase 저해 검정에서는 키토산 발아현미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일반발아현미도 현미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고지방 식이에 의한 흰쥐의 비만 억제 실험에서는 키토산발아현미군이 대조구와 일반발아현미에 비해 체중 및 복부지방량이 낮고 분변 중의 조지방 함량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혈중 총콜레중성지질, 및 LDL-C의 농도는 낮은 반면 HDL-C 농도는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발아현미 제조에 있어 키토산 처리는 발아하는 동안 비만 억제 및 콜레스테롤 감소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성분을 증대시키는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녹차 theanine을 이용한 젤리 제조 및 품질특성 조사 (Production of green tea jelly using theanine and its physiochemical characterization)

  • 김성경;정하나;임애은;양광열;최용수;남승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53-56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저온진공조건에서 추출 시간과 농도에 따른 녹차 열수추출조건을 최적화한 후 HP-20 column으로 caffeine을 제거한 녹차 추출물을 이용해 theanine 함유 기능성 젤리를 제조하였다. 또한, theanine 함유 젤리의 품질 특성, 제형안정성 및 항산화 효과, AChE 억제능을 조사하였다. 최적추출조건은 8% 녹차 분말을 2시간 추출하여 theanine 0.95 mg/mL, GABA 0.28 mg/mL, caffeine 1.45 mg/mL 추출액을 HP-20 column을 이용해 80% 에탄올로 카페인을 제거하였다. 3종의 겔화제와 농도별로 4종의 theanine 추출물 S1-S4(10-50%)을 제조해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젤리에 theanine 추출물이 많을수록 L값과 b값이 증가하였다. 젤리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3가지 겔화제 중 타마린드검, 잔탄검, 로거스트콩검(2:3:5=w/w/w)을 조합한 겔화제 III이 경도와 점착성이 낮고 탄력성이 높아 조직감이 가장 뛰어났다. 제형안정성 조사 시, 35%가 첨가된 S3가 이수율 25.88%과 붕괴율 1.31%로 우수한 제형안정성을 나타냈다. 또한 theanine 함유 젤리는 95℃, 30분간 가열조건에도 theanine과 GABA 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대부분 잔존하는 것을 TLC와 LC-MS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Theanine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DPPH radical 소거능은 증가하며, S4(50%)는 0.075 mg/mL ascorbic acid 수준과 유사한 항산화력을 나타냈다. AChE 저해 효과는 S3(35%)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donepezil 2.5 μM과 동일한 수준의 AChE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녹차 추출물에서 caffeine을 제거한 theanine 추출물로 기능성 젤리를 제조하였으며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막걸리 유래 미생물의 활용을 위한 연구 동향 (Application of Functional Microbial Strains Isolated from Traditional Rice Wine in Korea)

  • 이영석;설정만;정덕열;김수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29-235
    • /
    • 2016
  • 우리나라는 예전부터 전통적인 방법으로 누룩을 제조하고, 이를 발효제로 막걸리를 만들어 왔다. 막걸리는 여과 또는 살균 과정없이 다양한 미생물을 살아 있는 상태로 섭취하기 때문에 영양학적으로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가치가 높다. 최근 많은 연구에서 막걸리로부터 미생물을 분리동정하고 다양한 기능성에 대해 스크리닝한 결과, 높은 프로바이오틱스 활성과 다양한 스펙트럼의 항균활성을 가진 균주들이 선별되었다. 특히 일부 유산균들은 GABA와 EPS 등의 기능성 물질을 생성하기도 했다. 또한, 일부 유산균과 효모의 경우 각각 bacteriocin 및 killer toxin을 통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막걸리 유래 기능성 미생물과 그 대사산물은 기능성 식품 소재나 안전한 식품첨가물 및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뽕나무(Morus alba) 사일리지의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Mulberry (Morus alba) Silage)

  • 전병태;김영규;이상무;박재현;성시흥;박표잠;김성진;문상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63-268
    • /
    • 2009
  • 한우 고급육 생산을 위한 사양관리에 있어 기능성 사료의 활용 가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뽕나무 사일리지의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효능을 분석하였다. 뽕나무 사일리지의 일반 성분을 분석한 결과, 건물함량 $28.41{\pm}3.12%$, 조단백질 함량 $12.43{\pm}0.28%$, 조지방 함량 $2.47{\pm}0.18%$, 조섬유 함량 $20.29{\pm}0.75%$ 및 조회분 함량 $6.98{\pm}0.12%$였다. 뽕나무 사일리지에 함유된 활성성분의 분석 결과, 대표적 활성성분으로 혈당강하성분인 1-deoxynojirimycin(1-DNJ)의 함량이 0.568mg/g으로 검량되었으며 혈압강하성분인 GABA($\gamma$-Aminobutyric acid)의 함량은 5,936.22 pmol의 농도가 검출되었다. Flavonoid는 본 연구에서 검출이 되지 않았으며 총 phenol이 21.69${\mu}g/mg$ 정도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뽕나무 사일리지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뽕나무 사일리지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비례해서 활성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0.25m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활성효과가 인정되었고,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 역시 0.5-2.0mg/ml로 농도가 높아질수록 활성 효과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2.0mg/ml의 농도에서는 50% 이상의 활성효과를 나타냈다. Alkyl radical 소거 활성은 보다 낮은 농도에서 높은 활성효과를 나타내었는데 0.125m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활성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이 역시 높은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뽕나무 사일리지의 기능성 가축사료화의 의미를 충분히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신경전구세포의 특성 분석 (Human Embryonic Stem Cell-derived Neuroectodermal Spheres Revealing Neural Precursor Cell Properties)

  • 한효원;김장환;강만종;문성주;강용국;구덕본;조이숙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1호
    • /
    • pp.87-95
    • /
    • 2008
  • 만능성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확립된 신경줄기세포 또는 신경전구세포는 퇴행성 신경질환 세포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신경세포로 분화 유도될 수 있다. 하지만,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신경세포를 생산하기 위한 기술은 아직 많은 장애를 가지고 있다.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신경전구세포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신경관 유사로제트에 대한 이해는 인간 배아줄기세포 신경 분화의 효율을 높이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반적으로 신경로제트(neural rosette)는 분화 중인 배아체를 부착 배양함으로써 유도하지만, 이 방법은 시간이 걸리고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경로제트가 부착배양을 하지 않고 부유배양으로 형성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우선적으로, 배아체 형성 및 신경분화에 인간 배아줄기세포 클럼프(clump) 크기가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였고, 사방 $500\;{\mu}m$ 크기의 인간 배아줄기세포 클럼프가 신경 분화 유도에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로제트 형성을 유도하기 위해, 사방 $500\;{\mu}m$ 크기의 인간 배아줄기세포 클럼프를 1주일 동안 EB 배양배지에 부유 배양함으로써 균일한 크기의 배아체를 얻은 후, NES 배양 배지에서 부가적으로 $1{\sim}2$주 동안 계속 부유 배양한 결과, $7{\sim}10$일 사이에 신경관 유사 로제트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로제트 형성 세포의 신경전구세포로서 특성은 RT-PCR과 면역형광염색법을 이용한 신경전구세포 특이적 마커(vimentivi, nestin, MSI1, MSI2, Sox1, Tuj1) 발현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성장인자를 제외한 NES 배양 배지에서 신경로제트를 $2{\sim}6$주 동안 지속적으로 배양하면 성숙 신경세포로의 말단 분화가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신경세포 특이적 마커(Tuj1, MAP2, GABA)와 신경아교 특이적 마커($S100{\beta}$, GFAP)는 $2{\sim}3$주 또는 4주 후에 각각 발현이 유도됨을 확인하였고, 희소 돌기아교 특이적 마커(O1과 CNPase)는 $5{\sim}6$주 후에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신경로제트가 부유 배양시스템에서 성공적으로 형성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신경 분화를 이해하고, 신경전구세포 유도 과정을 단순화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다시마 물 추출액과 발효액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Water and the Fermentation Liquid of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 정경임;김보경;강정현;오근혜;김인경;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96-60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 물 추출액과 유산균(Lactobacillus brevis)으로 발효한 다시마 발효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과 항염증 활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다시마 물 추출액 및 발효액의 pH는 각각 6.18과 4.16이었고, 당도는 $8.50^{\circ}Brix$$7.40^{\circ}Brix$였다. 다시마 물 추출액과 발효액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 및 alanine으로 발효에 의해 glutamic acid는 감소한 반면 GABA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다시마 물 추출액 및 발효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498.29{\mu}g\;GAE/ml$$615.77{\mu}g\;GAE/ml$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0% 농도에서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각각 89.89%와 96.94%로 나타났다(p<0.05). 다시마 물 추출액과 발효액의 SOD 활성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다시마 발효액의 경우 물 추출액보다 유의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p<0.05). 나아가 LPS로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항염증 활성을 검토하였다. 다시마 물 추출액과 발효액의 ROS 생성은 1% 농도에서 각각 189.90% 및 174.69%를 나타내었다. 또한, 염증성 cytokines인 $TNF-{\alpha}$$IL-1{\beta}$의 분비량은 다시마 발효액이 물 추출액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다시마 추출액과 발효액은 높은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발효에 의해 그 활성이 증가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진공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반건조 오디를 제조하는 방법 (A making the method of semi-dried mulberry fruit by vacuum freezing dryer)

  • 김현복;김성국;석영식;서상덕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50-54
    • /
    • 2015
  • 가공 중 파괴되기 쉬운 여러 가지 기능성 성분과 오디 고유의 맛, 향 및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말랑말랑한 반건조 오디를 제조함으로써 오디 자체를 식용 또는 식품(빵, 떡, 한과 등) 재료로서의 이용성, 실온 보관 및 유통 편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영하 $40^{\circ}C$ 이하에서 보관한 오디를 내부 온도를 $30{\sim}35^{\circ}C$ 사이로 맞춰 놓은 동결건조기에 넣고 23 ~ 24시간 동안 진공상태에서 건조시킴으로써 오디는 열매끼리 뭉치지 않고 한 알씩 분리되며, 만졌을 때 손에 검은 색이 묻어나지 않는다. 특히 안토시아닌 색소인 C3G을 비롯해 루틴(rutin), 가바(GABA),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등의 다양한 기능성 성분과 오디 고유의 맛, 향,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반건조 오디의 경우 수확 후 냉동보관에 필요한 시설유지비(전기료 등)가 들지 않으며, 건조 후 1년 정도 실온 보관이 가능하므로 수송유통이 편리함은 물론 연중 상시 구매가 가능하다. 또한 반건조 오디 생산에 걸리는 시간은 약 23 ~ 24시간으로 완전 건조 오디 생산 시 걸리는 시간(48시간)보다 절반가량 짧아 농가의 가공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단순 가공제품과 더불어 반건조 오디를 직접 식용 또는 다양한 식재료에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오디의 영양성분과 기능성 성분의 섭취를 통해 국민건강증진은 물론 소비확산을 통한 농가소득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etection of Human Taurine Transporter and Production of Monoclonal Antibody

  • An, Hye-Suk;Han, Hee-Chang;Lee, Sun-Min;Park, Taesun;Park, Kun-Koo;Kim, Ha-Wo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02-102
    • /
    • 2001
  • Taurine (2-ethaneaminosulfonic acid) is one of the major intracellular ${\beta}$ -amino acids in mammals and is required for a number of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membrane stabilization, osmoregulation, antioxidation, detoxification, modulation of calcium flux and neurornodulation. The taurine transporter (TAUT) which contains 12 hydrophobic membrane-spanning domains has been cloned from dog kidney, rat brain, mouse brain, human thyroid, placenta and retina. In this study, The TAUT cDNA from the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ell, HT-29 was cloned and sequenced.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performed to amplify partial cDNA encoding human intestinal TAUT. The coding region of the PCR product was 732 bp long. The primers were designed to encode highly conserved amino acid sequences near the transmembrane domains III (IPYFIFLF) and Ⅵ (KYKYNSYR) both in human and mouse. The TAUT cDNA amplified was ligated into the pGEX 4T-1 expression vector. The resulting sequence of human intestinal TAUT cDNA (Accession number of NCBI Genebank is AF346763) was identical to the sequences of the TAUTs previously determined in the human placenta and retina except 3 base pairs from that of the reported human thyroid. TAUT specific antibodies were generated to use them as biological tools in the studies of the biological role of TAUT. Peptides of 149-162 amino acid residue (14 amino acids) of the TAUT were synthesized. The synthetic peptide used in this study was LFQSFQKELPWAHC. This region was chosen not only to avoid putative glycosylation sites but also to exclude regions of known homology with GABA transporters in the extracellular hydrophilic domains. The synthetic peptide, TAUT-1 was conjugated with carrier protein, kehole lympet hemocyanin (KLH) to use as an antigen. When used for immunization on a rabbit to produce polyclonal antiserum, the conjugates elicited high -titered specific anti-TAUT-1 antibodies, which reacted well with the ovalbumin (OVA) conjugated peptides in ELISA. The KLH-conjugated peptide was also used as immunizing antigen in BALB/c mice to produce TAUT specific monoclonal antibodies. From the culture supernatant of the hybridoma, the specificity of anti-TAUT-1 monoclonal antibodies was confirmed by ELISA. Further applications of more tools in TAUT expression analysis will be performed such as western blotting and flow cytometry.

  • PDF

뽕나무 계통별 오디함유 rutin 분석 및 품종변이 (Quantification and Varietal Variation of Rutin in Mulberry Fruits)

  • 김현복;김선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5
    • /
    • 2004
  • Rutin은 GABA(γ-aminobutyric acid)와 더불어 콜레스테롤 저하, 혈당상승 억제, 고혈압 치료, 동맥경화 및 중풍 예방 등 다양한 뽕잎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물질로서 인식되고 있다. 뽕잎과 더불어 기능성 및 천연색소 자원으로서 유망시되고 있는 오디를 뽕나무 계통별로 수확하여 rutin 분석을 실시하고 계통간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품종육종 효율을 높임은 물론 오디의 기능성 및 이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계통의 평균함량은 0.14±0.050% DW이었으며, '사방소'는 0.29% D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 '심설'은 가장 낮은 함량인 0.05% DW를 나타냈다. 2. 오디 중의 생육시기에 따른 rutin 함량의 경시적인 변화를 살펴본 결과, 뽕잎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암뢰상', '청노상', '강선', '만생백피노상' 및 '사방소' 5계통 모두 수확시기가 이른 것의 오디에서 함량이 높았다. 3. Rutin 고함유 계통에 대한 오디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사방소', '휘카스', '강선', '중호상', '만생백피노상' 및 '팔청시평 ' 6계통의 과실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휘카스', '강선' 및 '팔청시평 ' 3계통은 수량, 과중, 당도 등 과실적 특성도 양호한 성적을 나타냈으므로 금후 오디생산과 기능성을 동시에 고려한 품종선택시 활용할 가치가 있는 우수계통으로 선발하였다. 4. 건조방법 및 저장방법이 식물체의 rutin 함량에 영향을 미치므로 오디 건조 및 저장시 지나친 고온과 저온을 피해야 하며, 식품으로 가공시에도 이 점에 주의하여 생리활성물질인 rutin의 섭취량을 늘리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