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C

검색결과 6,930건 처리시간 0.028초

도토리의 Polyphenol 및 Gallic Acid 성분의 열수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Hot-Water Extraction Conditions for Preparation of Polyphenol and Gallic Acid from Acorn)

  • 김성호;이진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8-65
    • /
    • 2008
  • Tannin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도토리(Quercus acutissima CARRUTHERS)는 천연 항산화제 및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가공식품으로의 개발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따라 도토리 항산화 기능물질의 일종인 polyphenol류와 gallic acid의 추출조건을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추출온도 $30{\sim}70^{\circ}C$ 및 추출시간 $1{\sim}5$ hr, 용매비 $5{\sim}25$mL/g로 하여 중심합성계획법으로 16개의 구간에서 측정하였고, gallic acid함량은 추출온도 $60{\sim}100^{\circ}C$, 추출시간 $1{\sim}5$ 시간 및 용매비 $5{\sim}25$ mL/g로 하여 최적추출조건을 설정하였다. Epicatechin의 함량은 추출온도 $56.77^{\circ}C$, 추출시간 4.16시간 및 용매비 22.38 mL/g에서 최대간 $112.35{\mu}g/mL$이었다. 도토리 추출물의 catechin 함량은 추출온도 $52.37^{\circ}C$, 추출시간 2시간 및 용매비 23.59 mL/g에서 최대치인 $91.30{\mu}g/mL$이었다. 추출온도가 높고, 용매비가 증가할수록 catechin 함량이 증가하였다. Epigallocatechin함량은 추출온도와 추출시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온도 $61.42^{\circ}C$, 추출시간 4.17 시간 및 용매비 9.25 mL/g에서 최대값은 1,066.56 ${\mu}g/mL$이었다. Epicatechingallate함량의 최대값은 $125.39{\mu}g/mL$이었고, 이때의 추출조건은 추출온도 $47.72^{\circ}C$, 추출시간 3.04 시간 및 용매비 24.93 mL/g이었다. Epigallocatechingallate 함량은 용매비에 대해 영향을 받았으며, 최대값은 $61.38{\mu}g/mL$이었고, 이때의 추출조건은 추출온도 $48.11^{\circ}C$, 추출시간 2.96시간 및 용매비 24.95 mL/g으로 나타났다. 총 polyphenol함량은 추출온도 $61.50^{\circ}C$에서 $1,332.75{\mu}g/mL$으로 최 대값을 나타내었으며, 추출시간 4.24시간 및 시료에 대한 용매비 9.71 mL/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출온도가 높고,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총 polyphenol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Gallic acid 함량은 $65.84^{\circ}C$에서 $30.51{\mu}g/mL$으로 최대값을 나타내 었으며, 추출시간 1.65시간 및 시료에 대한 용매비 17.17mL/g에서 가장 높은 추출율을 보였다. Gallic acid 함량에 대한 추출조건의 영향은 추출시간과 용매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온도에 대한 영향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u Search를 이용한 지름이 2인 그래프에 대한 L(2,1)-coloring 문제 해결 (Using Tabu Search for L(2,1)-coloring Problem of Graphs with Diameter 2)

  • 김소정;김찬수;한근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45-351
    • /
    • 2022
  • 단순 무방향 그래프 G 의 L(2,1)-coloring은 d(u,v)가 두 정점 사이의 거리일 때 두 가지 조건 (1) d(x,y) = 1 라면 |f(x)-f(y)|≥ 2, (2) d(x,y) = 2 라면 |f(x)-f(y)|≥ 1 을 만족하는 함수 f : V → [0,1,…,k]를 정의하는 것이다. 임의의 L(2,1)-coloring c 에 대하여 G 의 c-span 은 λ(c)=max{|c(u)-c(v)|| u,v∈V} 이며, L(2,1)-coloring number 인 λ(G)는 모든 가능한 c 에 대하여 λ(G) = min{λ(c)} 로 정의된다. 본 논문에서는 Harary의 정리에 기반하여 지름이 2인 그래프에 대하여 여그래프에 해밀턴 경로의 존재여부를 Tabu Search를 사용해 판단하고 이를 통해 λ(G)가 n(=|V|)과 같음을 분석한다.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무화과 열수 추출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 on Fig (Ficus carica L.)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정옥;권순태;이기동;홍주헌;문두환;김태완;김대익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6-73
    • /
    • 2008
  • 무화과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를 위하여 반응표면 분석법에 의하여 무화과의 추출조건에 따른 무화과 유용성분의 추출특성을 모니터링하였다. 수율의 최대값은 66.46%이었으며, 이때의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2.08 mL/g, 추출온도 $90.59^{\circ}C$ 및 추출시간 148.04 min이었다.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17.87 mL/g, 추출온도 $98.82^{\circ}C$ 및 추출시간 130.80 min에서 최대 값 $121.31{\mu}g/mL$을 나타내었으며, 전자공여능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18.13 mL/g, 추출온도 $98.81^{\circ}C$ 및 추출시간 127.95 min일때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무화과 추출물의 단백분해효소의 활성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17.45mL/g, 추출온도 $99.01^{\circ}C$ 및 추출시간 131.43 min일 대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함량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2.66 mL/g, 추출온도 $86.30^{\circ}C$ 및 추출시간 153.59 min에서 최대값이 19.14 mg/mL이었다. 무화과 유용성분의 추출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 추출조건의 범위는 시료에 대한 용매비 $17{\sim}25$ mL/g, 추출온도 $80{\sim}100^{\circ}C$ 및 추출시간 $100{\sim}170$ min으로 예측되었으며, 실제 실험을 통하여 그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국내 액상발효유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동정 및 소화관액 내성조사 (Identification and Tolerance-Test to Digestive Fluids of Lactobacilli Isolated from Korean Liquid Yogurts)

  • 소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2-196
    • /
    • 1985
  • 국내 액상발효유 7개 회사 제품을 수거하여 미생물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7개 회사 제품(A, B, C, D, E, F 및 G)에서 분리한 8종의 유산균(a, b, b', c, d, e, f 및 g)을 동정해 본 결과 A회사 제품의 a균과 E회사 제품의 e균은 L. casei로 B회사 제품의 b균은 L. acidophilus로, B회사 제품의 b'균, C 회사 제품의 c균 및 G회사 제품의 g균은 L. jugurti로, F 회사 제품의 f균은 L. helveticus로, D회사 제품의 d균은 L. bulgaricus로 각각 동정되었다. L. helveticus로 동정된 f균과 L. jugurti로 동정된 c균은 인공위액에 대한 내성은 높았으나 담즙산에 대한 내성은 높지 못했다. L. acidophilus로 동정된 b균과 L. casei로 동정된 a균 및 e균은 인공위액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이 모두 높았고, L. bulgaricus로 동정된 d균과 L. jugurti 동정된 b'균 및 g균은 인공위액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이 모두 낮았다.

  • PDF

Mortierella alpina를 이용한 아라키돈산의 생산에서 유기질소원의 선정과 배양 조건의 최적화 (Selection of organic Nitrogen Source and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Arachidonic Acid from Mortierella alpina)

  • 유연우;하석진;박장서
    • KSBB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78-82
    • /
    • 2004
  • 곰팡이인 Mortierella alpina DSA-12를 이용한 arachidonic acid의 생산을 위한 유기질소원의 선정과 배양 조건의 결정에 연구를 수행하였다. Corn steep powder (CSP)를 원료의 가격과 arachidonic acid의 생산을 기준으로 유기질소원으로 선정하였다. 탄소원으로 glucose와 질소원으로 CSP를 사용한 경우에 최적의 C/N ratio는 15-17 범위이다. Arachidonic acid의 생산을 위한 최적의 배양조건은 $25^{\circ}C$에서 500 rpm의 교반과 0.5 vvm의 통기이며, 이 때 50 g/L의 glucose와 18 g/L의 CSP로부터 21.8 g/L의 균사체량에 10.2 g/L의 총 지질을 얻을 수 있었으며, arachidonic acid의 농도는 3.70 g/L이었다. 500 L의 발효조에서 0.5 vvm과 200 rpm의 교반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19.8 g/L의 균사체량과 9.1 g/L의 총 지질 및 3.67 g/L의 arachidonic acid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bench-scale의 발효조에서도 질소원으로 CSP를 이용하여 arachidonic acid의 생산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탄소원과 다른 영양원간의 영양균형이 Sporobolomyces holsaticus의 균체생육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tritional Balance between Carbon and other Nutrient Sources on the Growth of Sporobolomyces holsaticus)

  • 박완수;구영조;신동화;민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6-61
    • /
    • 1983
  • 전분질로부터 효모균체를 직접 생산하기 위하여 분리 동정된 전분이용성 효모, Sp, holsaticus FRI Y-5에 대한 배지의 탄소원과 질소원, P원, S원간의 영양균형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C/P비와 C/S비가 각각 33.33과 100으로 일정할 때 비성장속도는 전분농도 67.5g/l, 그때의 C/N비가 100일 때 $0.178hr^{-1}$로 가장 빨랐으며, 최대균체량은 전분농도 90g/l C/N비가 50일 때 14g/l로 최대였다. 또한 균체수율은 전분농도 67.5g/l, C/N비가 50일 때 0.344로 가장 좋았고 균체생산속도는 전분농도 45g/l C/N비가 50일 때 0.113g/l h로 가장 빨랐다. 한편 C/P 비의 영향은, 전분농도 67.5g/l, C/N비 50, C/S비 100으로 일정할 때 균체수율과는 무관하나 비성장속도와 최대균체량은 C/P가 50일 때 각각 $0.165hi^{-1}$, 11.88g/l로 최대였다. 또한 C/S의 영향은, 전분농도 67.5g/l, C/N비 50, C/P비 33.33으로 일정할 때, 균체수율과 최대균체량은 거의 무관하나 비성장속도는 C/S비가 77.57일때 $0.157hr^{-1}$로 최대였다.

  • PDF

Grazing on Bacteria and Algae by Metazoans in the Lake-river Ecosystem (River Spree, Germany)

  • Kim, Hyun-Woo;Joo, Gea-Jae;Walz, Norbert
    • 생태와환경
    • /
    • 제41권1호
    • /
    • pp.111-115
    • /
    • 2008
  • Direct effects of zooplankton grazing activities on the natural assemblage of bacterioplankton and algae were evaluated at monthly intervals, from June to October of 2000, in the middle part of the River Spree, Germany. We quantified bacterioplankton, algae, zooplankton abundance and measured carbon ingestion rates (CIRs) by zooplankton according to two zooplankton size classes: (i) micro zooplankton (MICZ), ranging in size from 30 to $150{\mu}m$ and including rotifers and nauplii, excluding protozoans and (ii) macrozooplankton (MACZ), larger than $150{\mu}m$ and including cladocerans and copepods. CIRs were measured using natural bacterial and algae communities in the zooplankton density manipulation experiments. Algae biomass (average${\pm}$SD: $377{\pm}306{\mu}gC\;L^{-1}$, n=5) was always higher than bacterial biomass ($36.7{\pm}9.9{\mu}gC\;L^{-1}$, n=5). Total zooplankton biomass varied from 19.8 to $137{\mu}gC\;L^{-1}$. Total mean biomass of zooplankton was $59.9{\pm}52.5{\mu}gC\;L^{-1}$ (average${\pm}$SD, n=5). Average MICZ biomass ($40.2{\pm}47.6{\mu}gC\;L^{-1}$ n=5) was nearly twofold higher than MACZ biomass ($19.6{\pm}20.6{\mu}gC\;L^{-1}$ n=5). Total zooplankton CIRs on algae (average${\pm}$SD: $56.6{\pm}26.4{\mu}gC\;L^{-1}\;day^{-1}$) were $\sim$fourfold higher than that on bacteria $(12.7{\pm}6.0{\mu}gC\;L^{-1}\;day^{-1})$. MICZ CIRs on bacteria $(7.0{\pm}2.8{\mu}gC\;L^{-1}\;day^{-1})$ and algae $(28.6{\pm}20.6{\mu}gC\;L^{-1}\;day^{-1})$ were slightly higher than MACZ CIRs. On average, MICZ accounted for 55.6 and 50.5% of total zooplankton grazing on bacteria and algae,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MICZ and MACZ CIRs, the relative role of transferring carbon to higher trophic levels were nearly similar between both communities in the lake-river ecosystem.

김치로부터 Exopolysaccharide 생성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 김효주;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6-203
    • /
    • 2006
  • 김치로부터 3종의 EPS 생성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주는 Leuconostoc kimchii, Leuconostoc citreum,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으며, 각각 Leuconostoc kimchii GJ2, Leuconostoc citreum C3, Leuconostoc mesenteroides C11로 명명하였다. EPS생성 김치유산균의 장내 정착성 여부 확인 결과 pH 3.0의 0.05 M sodium phosphate buffer와 인공위액에서 2시간 처리한 후에도 3균주 모두 초기균수($10^8\;CFU/ml$)를 유지하였으며 인공담즙에서 24시간 처리한 후에도 3균주 모두 초기균수($10^8\;CFU/ml$)를 유지하며 3종의 EPS생성 김치유산균 Leu. kimchii GJ2, Leu. citreum C3, Leu. mesenteroides C11이 장내 정착하면서 probiotics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대조군으로서 분리균주가 EPS를 생성하지 않았을 때의 경우에는 내산성, 인공위액, 인공담즙에서 처리 후 생균수가 $10^{1-2}\;CFU/ml$ 감소현상을 보여 균체의 EPS생성 여부가 probiotics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결정적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특히 Leu. kimchii GJ2의 경우 E. coli, Pseudomonas, Listeria, Micrococcus, Salmonella, Staphylococcus, Streptococcus속 등의 유해 균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생산 항균물질은 단백질성 물질로 확인되었다. 김치유산균 Leu. kimchii GJ2, Leu. citreum C3, Leu. mesenteroides C11로부터의 EPS 생성량은 sucrose(5%) 배지에서 각각 21.49 g/l, 16.46 g/l, 22.98 g/l 였으며, 정제 시에도 각각 14.61 g/l, 7.73 g/l, 4.77 g/l로 기존의 EPS 생성 유산균에서의 생산량에 비해 10배 이상의 높은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TLC 및 HPLC를 이용한 EPS 구성 당 확인 결과 3균주 모두 glucose로만 구성된 homopolysaccharides로 확인되었다. EPS 생성량이 가장 좋은 Leu. kimchii GJ2의 평균 분자량은 360,606 Da이었으며, 나머지 두 균주에 대해서는 생성 EPS 형태와 점도의 차이로 미루어 보아 생성 EPS의 분자구조와 분자량이 서로 다른 것으로 판단하였다.

Increased Production of Ginsenoside Compound K by Optimizing the Feeding of American Ginseng Extract during Fermentation by Aspergillus tubingensis

  • Song, Woo-Seok;Kim, Min-Ju;Shin, Kyung-Chul;Oh, Deok-K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7호
    • /
    • pp.902-910
    • /
    • 2022
  • The ginsenoside compound K (C-K) is widely used in traditional medicines, nutritional supplements, and cosmetics owing to its diverse pharmacological activities. Although many studies on C-K production have been conducted, fermentation is reported to produce C-K with low concentration and productivity. In the present study, addition of an inducer and optimization of the carbon and nitrogen sources in the medium were perform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o increase the C-K production via fermentation by Aspergillus tubingensis, a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fungus. The optimized inducer and carbon and nitrogen sources were 2 g/l rice straw, 10 g/l sucrose, and 10 g/l soy protein concentrate, respectively, and they resulted in a 3.1-fold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and productivity of C-K (0.22 g/l and 1.52 mg/l/h,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used before optimization without inducer (0.071 g/l and 0.49 mg/l/h, respectively). The feeding methods of American ginseng extract (AGE), including feeding timing, feeding concentration, and feeding frequency, were also optimized. Under the optimized conditions, A. tubingensis produced 3.96 mM (2.47 g/l) C-K at 144 h by feeding two times with 8 g/l AGE at 48 and 60 h, with a productivity of 17.1 mg/l/h. The concentration and productivity of C-K after optimization of feeding methods were 11-fold higher than those before the optimization (0.22 g/l and 1.52 mg/l/h, respectively). Thus, the optimization for the feeding methods of ginseng extract is an efficient strategy to increase C-K production.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highest reported C-K concentration and productivity via fermentation reported so f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