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dex

검색결과 2,913건 처리시간 0.032초

해바라기 군락의 일차생산과 질소경제 (Studies on the Nitrogen Economy and Primary Production of a Helianthus annuus Population)

  • 송승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8권3호
    • /
    • pp.101-108
    • /
    • 1975
  • The nitrogen economy and primary production of a Helianthus annuus "Manchurian" population were studied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attern of seasonal changes of vertical distributions of dry matter and nitrogen quantities, and its quantitative significance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pattern of the plant population growth, distribution ratios among organs, and turnover rates of dry matter and nitrogen. The population was established in plant density of 11.1plant/$m^2$ at the experimdntal field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During the period of population developemnt (April-September, 1973), the annual inflow rates and outflow rates of dry matter and nitrogen were 5560 gDM/$m^2$/year and 89 gN/$m^2$/year,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ratios of dry matter and nitrogen to leaves were 28% and 45%, to stems 48% and 18%, to roots 13% and 5%, and to flowers and seeds 11% and 32%, respectively. The maximum turnover rates of inflow of dry matter and nitrogen were attained in May-June, and were 216%/month and 210%/month, respectively. The amount of nitrogen demand was 52gN/$m^2$/year (58%) for the foliage growth, 13 gN/$m^2$/year(15%) for the stem growth, 20 gN/$m^2$/year(23%) for the reproductive organs, and 4 gN/$m^2$/year(4%) for the growth of the underground parts. The amount of nitrogen supply by the nitrogen withdrawn from senescing leaves and stems was 25gN/$m^2$/year(28%) and the amount of nitrogen absorption by the root from the environmental soil was 64 gN/$m^2$/year(72%). The ratiio of the a mount of produced dry matter to that of assimilated nitrogen during a year was calculated for this annual plant population as 60, which can be used as the nitrogen utility index.ity index.

  • PDF

서울시 우수관에서 채취한 도로변 퇴적물의 중금속오염의 공간적 변화 (Spatial variability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urban roadside sediments collected from gully pots in Seoul City)

  • 이평구;유연희;윤성택;신성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2호
    • /
    • pp.19-35
    • /
    • 2003
  • In order 새 investigate the spati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heavy metal pollution in heavily industrialized urban area, urban roadside sediments were collected for five years from gully pots in Seoul City. A series of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concerning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diments in order to evaluate the contamination of heavy metals such as Cd, Co, Cr, Cu, Ni, Pb and Zn. Roadside sediments and uncontaminated stream sediments were analyzed for total metal concentrations using acid extraction. The roadside sediments are characterized by very high concentrations of Zn (2,665.0$\pm$1,815.0 $\mu\textrm{g}$/g), Cu (445.6$\pm$708.0 $\mu\textrm{g}$/g), Pb (214.3$\pm$147.9 $\mu\textrm{g}$/g) and Cr (182.1$\pm$268.8 $\mu\textrm{g}$/g), indicating an artificial accumulation of these metals to the sediment chemistry. Comparing with average contents of uncontaminated stream sediments, roadside sediments were shown zinc 14 times (up to 64.4), copper 9 times (up to 181.7), lead 6 times (up to 63.7), cobalt 6 times (up to 168.7), nickel 4 times (up to 98.4), cadmium 2 times (up to 12.8) and chrome 2 times (up to 40.2) high content. The relative degree of heavy metal pollution for roadside sediments collected from each district in Seoul City is evaluated using the “geoaccumulation index”. As a result, heavy-metal contamination is highest centering the oldest residential district and industry area, and contamination level decreases as go to outer block of the city. The factor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levels of Cu, Ni, Fe and Cr are strongly related to numbers of factories, whereas the concentrations of Cr, Zn and Cd dependant on pollution index, indicating artificial contamination due to site-specific traffic density.

Effects of Mozzarella Cheese Manufactured by S. macedonicus LC743 on the Immune Status of Mouse

  • Cho, Seong-A;Kim, Kee-Sung;Lim, Sang-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0-44
    • /
    • 2012
  • To develop a new starter culture for Mozzarella cheese, the immunomodulatory action of Streptococcus macedonicus LC743 in male C57BL/6 mice was studied. Mice were fed for 7 wk with feed containing 1% Mozzarella cheese made with three kinds of starter cultures from S. macedonicus LC743 (G3), FD-DVS TCC-3 (G2) and S. macedonicus LC743 : FD-DVS TCC-3(1:1) (G4) and control (feed only, G1),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gain were observed among the various groups of mice. The spleen index and thymus index were observed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groups. The production of TNF-${\alpha}$ of S. macedonicus LC743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production of IL-$1{\beta}$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the feeding of S. macedonicus LC743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regards to the white blood cell counts, the neutrophil percentag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1 group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lymphocyte percentag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2, G3 and G4 group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suggest that the supplementation of S. macedonicus LC743 can increase the cytokine production activity by the activated macrophages in mic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S. macedonicus LC743 could stimulate the immune functions of mice.

발효천마의 총 폴리페놀 함량 변화 및 라디칼 소거능 (Change of Total Polyphenol Content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and Radical Scavenging)

  • 박미란;유철;장영남;안병용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9-386
    • /
    • 2012
  • 효모를 이용한 발효천마와 비발효천마의 폴리페놀 함량과과 지표성분인 p-hydroxybenzyl alcohol(HBA) 함량 변화 및 항산화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발효 전과 발효 후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08.65, 389.99 mg/mL으로 나타내었으며, 지표성분인 HBA 함량은 발효 전 2.46 mg/g에서 발효 후 7.94 mg/g로 증가되었다. 비발효천마추출물과 발효천마추출물의 DPPH, ABTS,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발효천마추출물보다 발효천마추출물의 활성능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발효천마추출물에서 20배 이상의 활성능이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건천마를 발효할 경우 전자공여능 및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항산화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서울시 일부 임산부 모발중의 수은농도에 관한 조사 연구 (Mercury Concentrations in Pregnant Women발s Hair in the Seoul Area)

  • 김윤신;이의진;배성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5-111
    • /
    • 1992
  • Fifty samples of pregnant women's hair during December 1990~April 1991 in the Seoul area were analyzed for mercury. Mean mercury concentrations for pregnant women were 0.65$\mu$g/g and varied from 0.21$\mu$g/g to 2.44$\mu$g/g. The differences were believed to be due to diet, living area, and personal activity. Mean mercury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 group that at twice a week(0.67$\mu$g/g) and once or less a week(0.55$\mu$g/g). Mean mercury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with the THI (Todai Health Index) Scores. The THI results suggested that the higher scores in MENT(Mental irritability) item had the higher mean mercury concentrations. The factors affecting mercury concentrations of pregnant women's hair must be considered further study. However, hair analysis seemed potentially useful in environmental medicine but its use in clinical investigation for basic diagnosis of mercury poisoning.

  • PDF

인천항 및 부산항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군집의 구조 (The Community Structures of Macrozoobenthos during Summer in the Incheon and Busan Harbors, Korea)

  • 서진영;박소현;임현식;장만;최진우
    • 환경생물
    • /
    • 제27권1호
    • /
    • pp.6-19
    • /
    • 2009
  • 여름철 인천항과 부산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군집의 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천항의 9개 조사정점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출현종수는 총 88종이었고, 서식밀도는 3,212개체 m$^{-2}$, 생물량은 239 g m$^{-2}$였다. 인천항내에서는 다모류의 Tharyx sp., C. setosa 등이 우점하였고, 외해에 위치한 정점에서는 이매패류인 M. senhousia, 다모류인 S. scutat 등이 우점하였다. 인천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종다양성지수(H')는 0.9$\sim$2.4의 범위를 보였고, 종균등도지수는 0.3$\sim$0.9, 종풍부도지수는 1.8$\sim$3.9의 범위를 보였다. 저서오염지수는 16$\sim$74의 범위를 보였다. 집괴분석 및 MDS배열법을 수행한 결과 내항의 정점들과 항 외부에 위치한 정점들로 종조성이 달랐다. 부산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총 출헌종수는 89종, 서식밀도는 1,845개체 m$^{-2}$, 생물량은133.6 g m$^{-2}$였다. 부산 항내 5개 정점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중 가장 우점한 종은 다모류의 Tharyx sp., M. japonica, C. cirratus 등이었고, 외해 정점들에서 가장 우점한 종은 다모류의 M. japonica였다. 부산항의 종다양성지수는 0.7$\sim$2.2의 범위를 보였고, 종균등도지수는 0.3$\sim$1.0의 범위를, 종풍부도지수는 1.1$\sim$4.1의 범위를 보였다. 저서오염지수는 31$\sim$90의 범위를 보였다. 부산항의 대형저서동물군집 역시 집괴분석 및 MDS배별법 수행결과 항내와 항외 해역에서 조성에 차이를 보였다.

증숙 건조 방식에 의해 제조한 우엉차의 기능성 및 성분 (Functionality and Components of Burdock Tea Prepared by Steaming and Drying Method)

  • 황은경;이선현;김병기;김수정;안용근;도륜;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3-33
    • /
    • 2019
  • 우엉을 9번 찌고 9번 말려서 차를 제조한 다음 M사의 우엉차와 성분 및 기능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발한 우엉차는 칼로리 346.48kcal, 탄수화물 72.75g/100g, 단백질 11.98g/100g, 회분 5.01g/100g이었다. 무기물 함량은 칼륨 1,476.21 mg/100g, 칼슘 255.96 mg/100g, 마그네슘 311.41mg/100g 이었다. 유리당 총량은 31.93 mg/100g이었고 그중 fructose 26.27mg/100g, glucose 4.39 mg/100g, sucrose 1.27 mg/100g이었다. 포화지방산은 40.73 mg/100g, 불포화지방산은 59.28 mg/100g이고 그 중 linoleic acid 41.28 mg/100g, palmitic acid 33.11 mg/100g, oleic acid 10.07 mg/100g, linolenic acid 7.92 mg/100g이었다. DPPH 라디컬 소거력은 개발한 차 33.9%, 비교용 M사 차 2.3%, 지표물질 37.2%였다. ABTS 라디컬 소거력은 개발한 차 90.7%, M사차 85.9%, 지표물질 47.6%였다. SOD 유사활성은 개발한 차 11.3%, 비교용차 50.5%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개발한 차2.6 fold, M사차 2.9 fold, 지표물질 1.7 fold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개발한 차 33.8 fold, M사차 38.9 fold, 지표물질 13.4 fold였다. 기호도는 1회 우린 것과 5회 우린 것을 비교하였다. 1회 우린 것을 기준으로 할 때 5회 우린 것의 기호도 중 색은 개발한 차 65.9%, M사차 12.8%, 향기는 개발한 차 78.0%, M사차 33.3%, 맛은 개발한 차 71.4%, M사차 20.7%, 나타났다. 이같이 비교용 M사차는 우릴수록 추출 성분이 감소하여 5회 후에 종합적인 기호도는 21.4%로 감소한 반면 개발한 차는 감소폭이 적어서 72.1%를 나타냈다. 이같이 개발한 우엉차는 비교용 M사차 및 지표물질보다 항산화 작용이 강하고 유효 물질 함량도 더 많고, 기호성도 높으므로 질병 예방 및 개선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한다.

락툴로스 함유 듀올리고 섭취에 의한 피부개선 효과 (Skin Health Effect of DuOligo Intake Containing Lactulose)

  • 홍양희;정은영;서형주;한성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67-37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락툴로스(lactulose) 51.67%와 갈락토올리고당(galactooligo saccharides) 15.8%로 이루어진 듀올리고(DuOligo)의 섭취를 통하여 피부개선 효능을 조사하였다. 40~60 대의 건강한 여성 37명을 대상으로 대조군(덱스트린)과 실험군(듀올리고군)으로 나누어 각각 8주 동안 섭취 후, 수분보유량, 경표피수 분손실량, 멜라닌지수, 홍반지수와 주름지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듀올리고 섭취 8주 후의 수분 보유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수분 보유량이 38.22%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 < 0.01). 대조군의 경피수분손실량은 8주후 $3.39g/h/m^2$로 감소한데 비하여 듀올리고군의 경피수분손실량은 8주후 $5.32g/h/m^2$ 감소하였다. 대조군의 멜라닌 지수는 시간에 따라 그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듀올리고군의 멜라닌 지수는 시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듀올리고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주름의 총 넓이, 총 주름의 길이, 주름의 수 및 주름의 깊이가 확연하게 감소하였다(p < 0.05). 듀올리고의 피부개선 기능성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보리가루에서 분리한 ${\beta}-Glucan$의 생리적 기능성 (Physiological Function in vitro of ${\beta}-Glucan$ Isolated from Barley)

  • 오희정;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89-695
    • /
    • 1996
  • 보리가루로부터 ${\beta}-Glucan$을 추출, 정제하여 그의 소화관내 생리적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반투막을 이용한 in vitro실험을 수행하였다. 보리가루로부터 ${\beta}-Glucan$을 6.2%의 수율로 정제하였으며 그의 순도를 확인한 결과 총 식이섬유 81.6%, 수용성 식이섬유 72.9%, 불용성 식이섬유 8.7%, 수분 8.5%, 단백질 2.5%, 회분 7.4%였다. ${\beta}-Glucan$ 제품의 수분보유력은 1g의 건조물당 6g이었다. 투석막을 이용하여 ${\beta}-Glucan$ 제품의 glucose 흡수 지연효과를 살펴 본 결과 ${\beta}-Glucan$을 3% 첨가한 경우 투석 30분이 경과되었을 때 glucose retardation index가 13.5%였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효과는 감소하여 투석 2시간 후에는 그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Bile acid 흡수 지연 효과를 살펴 본 결과 투석 30분이 경과되었을 때 bile acid retardation index는 ${\beta}-Glucan$이 1, 3, 5% 첨가된 경우 각각 3, 12, 18% 수준으로 같은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glucose 흡수 지연 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효과가 감소하였다.

  • PDF

만경강 중.상류의 어류 길드특성 및 어류 조직내 수은 함량 분석 (Analysis of Fish Guild Compositions and Total Mercury Contents of Fish Tissues in Analysis in Mangyeong River.)

  • 박향미;이의행;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2권2호
    • /
    • pp.172-182
    • /
    • 2009
  • 본 연구는 2007년 만경강의 중 상류의 3개 지점을 선정하여 어류의 길드특성 및 조직별 수은 함량을 분석하였다. 어류의 종조성 분석에 따르면 7과 26종이 채집되었으며, 주요 우점종은 갈겨니(47%)로 수질오염에 쉽게 사라지는 민감종(Senstive species)이 우점하였다. 상류의 S1지점은 균등도 및 종 다양도가 낮게 나타났으나 그 밖의 2개의 지점들에서는 종다양도 및 풍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성도 길드 분석에 의하면 S1과 S2 지점에서는 민감종의 비율이 각각 70%, 42%을 보였으나 반면 공단이나 도심지의 점오염원에 의해 영향을 받는 S3 지점은 민감종의 비율 감소(1%) 및 내성종의 비율(60%)이 증가하였다. 트로픽 길드 분석에서는 충식종의 비율이 S1에서 S3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이런 특성은 유기물질 (BOD, COD), 영양염류 (TN, TP), 전기전도도, 대장균수 및 부유물질에 근거한 이 화학적 수질 평가 결과와 일치하였다. 물리적서식지평가 (QHEI)는 3지점에서 모두 '양호'상태로 나타나 물리적 서식지가 양호한 상태일지라도 수질에 의해 어류의 종구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냈다. 어류의 조직 (tissue) 내의 총 수은 함량 분석에 따르면, 평균 농도는 149.6 ${\mu}g$ $kg^{-1}$로서 식약청의 기준(500 ${\mu}g$ $kg^{-1}$)에 따르면 어류 건강성에 영향을 줄만한 농도는 아닌 것으로 평가되었다. 각 조직별 수은 농축도는 근육에서 가장 높았고, 신장, 척추, 간, 아가미의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