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ture-Oriented HRD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이공계 교육중심 대학의 대학생 교육문화 진단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Educational Culture of Education-Oriented Engineering University)

  • 설순욱;박지원;박민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275-285
    • /
    • 2022
  • 교육문화는 교육과 관련된 학습자의 인식과 태도, 그리고 행동양식을 총체적으로 일컫는 말로, 대학의 교육문화는 학습발달과 성취, 중도탈락 등 대학생의 대학생활에 주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구성원의 교육문화에 대한 구체적 인식을 파악하는 것은 대학의 교육의 목표와 방향을 수립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K대학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육문화를 진단하고, 교수와의 인식차이를 확인하여 향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래지향적 인재양성 정책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인식과 준비도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and Readiness for Future-orient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 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451-459
    • /
    • 2019
  • 미래 사회를 대비하여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는 다양한 정책들이 시행되어 왔다. 그 정책들 중에서 STEAM교육, SMART교육과 SW교육이 대표적인 사례가 된다. 이 정책들이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긍정적인 인식과 지도 역량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특히 예비교사 교육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STEAM교육, SMART교육과 SW교육 정책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인식과 지도 준비도 현황을 분석하고, 예비교사 교육에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들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각 정책에 대한 필요성 인식 수준은 매우 높았으며, 각 정책에 대한 이해 수준은 비교적 높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비교할 때, 예비교사들이 각 정책과 관련하여 교육을 받은 경험은 부족하며, 지도 준비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교사 교육 세미나 운영과 교수-학습 프로그램 및 자료 보급에 대한 선택이 가장 많았다. 예비교사의 개별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의 ICT 활용 능력 수준에 따른 차이들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예비교사 양성 과정에서 반영해야 할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국가 기술자격 미용사(피부) 검정형과 과정평가형 실기시험 평가방법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Practical Test Methods for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nd Course-bas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License for Esthetician)

  • 김나영;김정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40-248
    • /
    • 2020
  • 본 연구는 NCS 기반으로 개편된 미용사(피부) 검정형 자격과 과정평가형의 자격시험에 관한 선행연구의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국가기술자격 미용사(피부) 종목 과제 및 평가방법에 대해 비교·분석 하였다. 검정형 자격은 암기 위주의 이론시험과 단순 기능 반복을 통한 작업능력을 기반으로 평가가 이루어져 자격과 일이 상호 연계되지 않고 있고, 과정평가형 자격은 상대적으로 시험 집행을 시작한 기간이 짧은 상태로 시행기관에서의 자체 내부평가의 신뢰성 저하 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향후 현재 평가에 반영되고 있지 못하는 다양한 능력 단위를 적용하여 실기시험 평가 항목에 포함할 수 있는 상위자격의 신설 및 실기시험 평가방법 개선 등을 통해 현장과의 연계성을 제고시키고 관련 분야의 현장 적응 및 재교육 시간 단축 등의 자격제도 혁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