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ture Tense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한/영 기계번역 시스템을 위한 시제 도우미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Tense Helper for a Korean-to-English Machine Translation System)

  • 이병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55-67
    • /
    • 2001
  • 최근 여러 상용 기계번역 시스템들이 발표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많은 시스템들이 오역된 결과를 출력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오역 중에서 시제처리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에 중점을 둔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의 시제를 영어의 현재, 과거, 미래, 현재완료 과거완료 미래완료 현재진행 과거진행, 미래진행, 현재완료진행, 과거완료진행, 미래완료진행 등 12시제와 비교한다. 이와 함께 한국어 시제의 의미를 분석하고, 시제의 구조를 개념그래프에 기반 하여 기술한다. 실험에서는 시제가 포함된 문장을 입력받아 개념그래프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구현하고 그 결과를 기술한다.

  • PDF

A Corpus Analysis of Temporal Adverbs and Verb Tenses Cooccurrence in Spanish, English, and Chinese

  • Cheng, An Chung;Lu, Hui-Chuan
    • 아시아태평양코퍼스연구
    • /
    • 제3권2호
    • /
    • pp.1-16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occurrence between temporal adverbs and grammatical tenses in Spanish and contrasts temporal specifications across Spanish, English, and Chinese. Based on a monolingual Spanish corpus and a trilingual parallel corpus, the study identified the top ten frequent single-word temporal adverbs collocating with grammatical tenses in Spanish. It also contrasted the cooccurrence of temporal adverbs and verb tenses in three languages. The results show that aun 'still', hoy 'today', and ahora 'now' collocate with the present tense at more than 80%. Ayer 'yesterday' and finalmente 'finally' cooccurring with the simple past tense are at 84% and 69%, respectively. Then, mientras 'meanwhile' collocates with the past imperfect at 55%, the highest of all. Mañana 'tomorrow' cooccurs with the future and present tenses at 34%. Other adverbs, ya 'already', siempre 'always', and nuevamete 'again', do not present a strong cooccurrence tendency with a tense overall. The contrastive analysis of the trilingual parallel corpus shows a comprehensive view of temporal specifications in the three languages. However, no clear one-to-one mapping pattern of the cooccurrence across the three languages can be concluded, which provides helpful insights for second language instruction with natural language data rather than intuition. Future research with larger corpora is needed.

Corpus of Eye Movements in L3 Spanish Reading: A Prediction Model

  • Hui-Chuan Lu;Li-Chi Kao;Zong-Han Li;Wen-Hsiang Lu;An-Chung Cheng
    • 아시아태평양코퍼스연구
    • /
    • 제5권1호
    • /
    • pp.23-36
    • /
    • 2024
  • This research centers on the Taiwan Eye-Movement Corpus of Spanish (TECS), a specially created corpus comprising eye-tracking data from Chinese-speaking learners of Spanish as a third language in Taiwan. Its primary purpose is to explore the broad utility of TECS in understanding language learning processes, particularly the initial stages of language learning. Constructing this corpus involves gathering data on eye-tracking, reading comprehension, and language proficiency to develop a machine-learning model that predicts learner behaviors, and subsequently undergoes a predictability test for validation. The focus is on examining attention in input processing and their relationship to language learning outcomes. The TECS eye-tracking data consists of indicators derived from eye movement recordings while reading Spanish sentences with temporal references. These indicators are obtained from eye movement experiments focusing on tense verbal inflections and temporal adverbs. Chinese expresses tense using aspect markers, lexical references, and contextual cues, differing significantly from inflectional languages like Spanish. Chinese-speaking learners of Spanish face particular challenges in learning verbal morphology and tenses. The data from eye movement experiments were structured into feature vectors, with learner behaviors serving as class labels. After categorizing the collected data, we used two types of machine learning methods for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Random Forests and the k-nearest neighbors algorithm (KNN). By leveraging these algorithms, we predicted learner behaviors and conducted performance evaluations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nexus between learner behaviors and language learning process. Future research may further enrich TECS by gathering data from subsequent eye-movement experiments, specifically targeting various Spanish tenses and temporal lexical references during text reading. These endeavors promise to broaden and refine the corpus, advancing our understanding of language processing.

일본(日本) ANIMATION 작품의 NARRATIVE에 보여지는 과거, 현재, 미래 시제(時制)의 분석(分析) - 오토모 가츠히로(大友克洋)의<메모리즈>를 중심(中心)으로 - (Analysis of Past, Present and Future as Shown in the Narratiive of Japanese Animation Work - Focusing on of Otomo Katsuhiro -)

  • 이승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91-97
    • /
    • 2008
  • 기억이 지워지지 않고 그대로 남는다면 어떻게 될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통상적인 태도는 기억에 대한 애착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기억이 지워진다는 것, 추억을 망각한다는 것, 혹은 그런 기억을 지우고 다른 것으로 대체한다는 것은 결코 참을 수 없는 일 일 것이다. 각기 다른 작품으로 보아도 이해에 무리는 없으나, 이들을 <메모리즈(Memories)>라는 공통된 제목 아래 함께 볼 때 전체의 문제의식과 작품에서 풍기는 이미지는 분명히 달라지는 것이다. 이 세 편의 에피소드는 애니메이션 특유의 환상적 영상과 분위기로 관객을 흡입한다. <그녀의 추억(Magnetic Rose)>에서는 과거의 기억에 사로잡혀 현재를 사랑할 줄 모르는 한 여인의 한이 얼마나 파괴적일 수 있는가를 통해, 현재와 연결되지 못하는 추억이라는 것의 허위를 보여준다. <최취병기(Stink Bomb)>에서는 눈 앞의 것에만 집착하는 인물들을 그림으로써 현실문제의 핵심을 파악하지 못하는 사회를 비판한다. <대포의 거리(Cannon Fodder)>는 자신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도 모르는 채 주입된 미래에 대한 꿈의 무의미함을 보여준다. 관객은 과거와 현재, 미래에 집착하는 각각의 주인공들에게 빨려 들어간다. 이 세 편의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비관주의가 바탕에 짙게 깔려있는 인간사회에 대한 의문이며, 피상적인 과거와 현재와 미래에 사로잡혀 현실을 인식하지 못하는 소외된 개인들, 혹은 이들의 의식을 단절시키는 사회이다.

시간부사 '증경(曾經)', '이경(已經)' 시상(時相) 자질 중한 대조분석 (Time Adverb 'Cengjing (曾經)' and 'Yijing (已經) Tense and Aspec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na and South Korea)

  • 한경숙
    • 비교문화연구
    • /
    • 제42권
    • /
    • pp.451-474
    • /
    • 2016
  • 본고는 현대중국어 시간부사 '증경(曾經)'과 '이경(已經)'의 관련 통사구조와 이에 상응하는 한국어 통사구조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관련 구조 의미소 '시상(時相)(tense and aspect)' 특징을 분석하였고 두 부사의 차이점을 찾아보았다. 아울러 중한 두 언어에서 이들이 나타내는 자질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찾아냈고 이를 통하여 분석의 타당성(Descriptive adequacy)을 확보하고 나아가 설명적 타당성(Explanatory adequacy)으로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증경(曾經)'은 상 범주의 하위 범주인 '과거경험상', '성사상', '과거지속상' 등 자질을 갖고 있고 시제 범주의 하위 범주인 '과저시제' '과거경험상' 등 자질을 겸하고 있기도 하다. 한국어의 '_었(았)_', '_었었_', '_적이 있_'과 대응관계를 이루고 있다. '증경(曾經)'은 하나의 통사구조에서 상과 시제 두 가지 자질을 갖고 있다. '이경(已經)'은 '완료상'과 완료상의 하위 범주인 '과거경험상', 그리고 미완료상의 하위범주인 '과거지속상' 등 자질을 갖고 있고 시제 범주의 하위 범주인 '과거시제', '현재시제', '미래시제' 등 시제 자질도 갖고 있으며 '상태의 변화' 자질도 갖고 있다. 한국어의 '_었(았)_', '_고_', '_었었_', '곧' 등과 대응관계를 이루고 있다. '증경(曾經)'과 동태조사 '과(過)'를 비교하자면 '증경(曾經)'은 상 범주와 시제 범주를 겸하고 있다지만 '과(過)'는 그 수식 범위가 술어밖에 없기에 상적 특징만 갖고 있다. 그리고 심층구조에서 '증경(曾經)'은 술어의 앞에서 술어를 포함한 술어 뒤에 출현한 조사, 목적어, 보어 모두와 통어 관계를 갖고 있지만, '과(過)'는 그 앞의 술어만 수식한다. '이경(已經)'이 '진행상' 자질을 가진 부사 '재(在)'를 수식할 수 있지만, '증경(曾經)'은 불가능하다. 중국어와 한국어 두 언어는 이렇게 시간 표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중국어의 '과거경험상', '성사상', '과거지속상' 등 상 자질과 '과거시제' 자질을 갖고 있는 시간부사 '증경(曾經)', 그리고 '과거경험상', '과거지속상' 등 상 자질 그리고 '과거시제', '현재시제', '미래시제' 등 시제 자질을 갖고 있는 시간부사 '이경(已經)' 등이 한국어에서는 '완료상', '지속상' 자질과 '과거시제' 자질로 대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만큼 중국어와 한국어 두 언어의 시간 체계는 서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한중 두 나라 사람들의 사유 방식의 차이와 문화적인 차이에서 비롯됐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