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ture Library

검색결과 982건 처리시간 0.025초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통합 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ng Digital Illusion Level of Public Library)

  • 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67-20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공공도서관이 디지털통합적 지역사회 구축자로서의 역할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 등록된 전국 공공도서관 935개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컴퓨터, 노트북, 스캐너, 태블릿 PC 등 장비 인프라, 인터넷 인프라 등은 비교적 높은 수준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전자책, 디지털 및 가상참고서비스, 도서관서비스 모바일 앱 등 서비스나 자원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나 협업과 그룹작업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나 참여공간의 가용성 등은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셋째, 기술과 관련된 리터러시 훈련 비율은 22.4%에 지나지 않았고, 교육주제도 자원탐색 주제로 집중되어 있으며, 화상회의기술 사용법이나 클라우드 컴퓨팅 어플리케이션 교육 등 다소 미래지향적인 기술교육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문화향유 공간 또는 창의적인 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의 다양한 역할 변화를 모색해야 하는 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기술 및 장비의 제공확대, 그리고 미래지향적 서비스 및 교육제공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대학도서관(大學圖書館) 이용지도(利用指導)의 방법(方法) (Instructional Methods in the Use of a College Library)

  • 정태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2
    • /
    • 1978
  • There hasn't been a study searching for various methods of instruction and orientation in the use of a college library. By searching through the western literature in this field from 1961, I was amazed by the vast literature and enormous study done on it. I tried to introduce the most important articles in this field which can help mold our methods of library instruction. There has been quite a few cries for the use of new methods, of newer media, for increased number of students. Promising future lies in the area of programmed instruction and audiovisual aids to teaching, which should be developed into course-related library instruction.

  • PDF

울산남부도서관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 결과 (An Operating Outcome of Bibliotherapy Programs in Ulsan NamBu Library)

  • 김순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95-217
    • /
    • 2005
  • 이 연구는 울산남부도서관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 도서관은 사서가 중심이 되어 어린이와 주부를 대상으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나타난 긍정적인 효과와 문제점을 검토하여 앞으로의 진행에 도움을 받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진행자와 참여자, 그리고 주변의 반응과 관심을 살펴보았으며, 연구자의 경험과 관찰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을 기반으로 한 지역정보 활성화 방안 (The activation plan of the commucity information based on public library)

  • 윤정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595-635
    • /
    • 1996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make use of marketing in order to managerial good conducted the pursuit of public interest of the public library. The information service of the public library is to be user orient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 The activation of the community information is based on get hold of the exact community needs : in this paper, it is proposed to the survey's frame of the community need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community needs the institution of the information and referral service and the public library must be made of the information unit of the nation for the public service and the public sphere of the information in the future.

  • PDF

서지데이타베이스의 저작권 문제가 문헌정보의 유통에 미치는 영향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1권
    • /
    • pp.325-361
    • /
    • 1994
  • The Library of Congress' proposal to license LC MARC database and the following debate over the proposal shows that the issue on ownership of bibliographic databases, which surfaced as a topic of concern in the international library community with the OCLC's a n.0, pplication for copyright of its databases in 1982, is not fading or dead into the 1990s. In particular, the way that technological developments are outpacing the ability of the relevant organizations and legal systems to make necessary adjustments is giving the library profession a warning that cooperative effort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library systems, such as the UBC program, might be seriously impeded without a swift and amicable agreement on the controversial 'database ownership' issue. Here,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discussing the 'database ownership' issue from a macro and long-term perspective, with emphasis on its potential impacts on, and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information flows. To the end, the specific questions covered in this paper include : 1) what are the major causes of the database ownership controversy? 2) what are the potential impacts of the database ownership issue on the library profession's cooperative efforts toward free bibliographic information flows at the international level? And finally, 3)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e database ownership issue for the Korean Library Community, which is making efforts toward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library network in near future through linking various library automation systems.

  • PDF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현주소와 정책적 과제 (Current Status and Policy Tasks of public Library in Seoul)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3
    • /
    • 2018
  • 이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을 위한 정책과제를 발굴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거시적으로는 공공도서관 핵심지표를 이용하여 서울시와 글로벌 경쟁도시의 격차를 비교하고, 미시적으로는 공공도서관 인프라 및 서비스 지표를 중심으로 서울시 및 광역시도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어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과 "도서관 및 독서문화 활성화 종합계획"을 연계하여 공공도서관 정책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지식문화 수도를 위한 브랜드화, 도서관 핵심역량 및 시스템의 선진화, 시민중심의 지식문화 생태계 조성, 시민의 서비스 만족도 및 기대편익 극대화를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미래지향적 정책과제로 제시하였다.

도서관 데이터 성숙도 평가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Model for Data Maturity of Library)

  • 한상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213-231
    • /
    • 2023
  • 본 연구는 도서관의 데이터 성숙도를 평가할 수 있는 모형(안)을 개발하고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성숙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성숙도 평가모형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5개 영역의 19개 평가 요소로 구성된 데이터 성숙도 모형을 설계하였고, 성숙도 단계는 5단계로 설정하였다. 향후 데이터 성숙도 평가모형을 이용하여 도서관 빅데이터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도서관의 데이터 성숙도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며, 장기적으로 데이터 기반 도서관 운영 및 데이터 활용 발전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Digital Library Technologies and Information Infrastructure

  • Hyun, Soon-J.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98년도 국제 컨퍼런스: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한 디지틀도서관 구축방안
    • /
    • pp.101-114
    • /
    • 1998
  • Digital Library Definitions; A library that has been extended and enhanced by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Contents and services accessible and deliverable via electronic networks to and from the worldwide libraries and commercial information resources. A large, organized collection of multimedia information for providing users of a community with coherent access to certain information services. A realistic means to build an Information Infrastructure for advanced Internet services of the future. more …(omitted)

  • PDF

4차 산업혁명 시대 도서관 사서의 핵심업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ian's key tasks of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박태연;한희정;오효정;양동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327-356
    • /
    • 2018
  • 기술혁신에 기반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이에 따른 고용구조 변화 양상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뜨겁다. 특히 사회 전반의 지능정보화는 도서관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도서관 내 직군으로서 사서도 또한 이러한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서관 사서의 직무별 기술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미래 사서의 핵심업무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사서의 새로운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운영 방안 연구 -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in Busan Metro Area)

  • 장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73-192
    • /
    • 2014
  • 이 논문은 공공도서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문화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안에 대하여 고찰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프로그램들의 현황과 한계점을 분석한 후, 실제 공공도서관에서 문화프로그램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사서들과의 면담을 통하여 현장에서 인식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아울러 현재 해외의 공공도서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문화프로그램 사례 분석과 사서들과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들이 지역문화계와의 네트워킹, 무한창조공간, 건강정보서비스와 이용자개별화 등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