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ture Library

검색결과 982건 처리시간 0.026초

사회적 포용을 실천하기 위한 도서관 정책 및 성과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brary Policy and Performance Analysis to Practice Social Inclusion)

  • 노영희;신영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45-26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사회적 포용을 실천하기 위해 현재 제3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에 발표된 관련 정책을 살펴보고, 해당 정책을 기반으로 중앙행정기관과 시·도 도서관에서 추진한 과제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적극적 정보 복지 실현 측면에서는 지식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으나, 향후 대상 범위를 확대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체제 구축 및 인프라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공간의 개방성 확대 측면에서는 열린공간으로서의 개방공간 확장 및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이 수행되고 있다. 향후 지속적인 공간 재구성을 위한 예산 투자 및 이용자의 다양성을 고려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범위 확대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경계를 넘는 서비스의 연계 측면에서는 영·유아, 어린이, 여성, 노인, 소외계층, 구직자, 다문화 가정 등을 대상으로 서비스 및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향후 도서관의 포용적 서비스 확장을 위한 서비스 제도 개선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관련 부처들간의 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향후 사회적 포용을 위한 정책 수립 시 장서, 프로그램, 공간에 대한 과제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한 사서의 교육과 유관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 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대한 마케팅에 관한 추진과제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유형 분석 및 향후 전망에 대한 고찰 (A Study on Analyzing and Prospecting for the Future of the Public Libraries' Cultural Programs in Seoul)

  • 이정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1-152
    • /
    • 2014
  •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유형을 다양한 시각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문화행사를 주제별, 대상이용자별, 운영형식별이라는 세 가지 구분기준을 도출했으며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각 구분기준별 총 비율과 함께 연도별 변화추세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주제별 구분에서 시민체험교육프로그램과 체육건강교육프로그램, 운영별 구분에서 참여체험형을 이후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기획에 주목해야 할 것이라 판단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가 확대된다면 향후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 기획과 사회속에서의 성장을 도모할 기반이 될 것이라 결론지었다.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 및 추진 방향에 관한 사서들의 인식 연구 (The Recognition of Librarians about Roles of Regional Central Library)

  • 김홍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5-132
    • /
    • 2009
  • 지역대표도서관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운영되어야 하며, 그 기능과 업무내용도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점진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대표도서관의 정책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해당지역의 도서관정책을 수립하거나 협력사업의 추진내용을 결정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 및 추진방향에 관한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사서들은 도서관 발전방향 및 정책수립과 대외도서관협력을 지역대표도서관이 추진해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료의 납본 및 보존, 지역주민의 정보서비스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보였다. 또한 향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는 협력업무로 교육 및 문화프로그램의 협력과 도서관상호대차가 높게 나타났으며, 공동보존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는 협력사업으로 확인되었다.

  • PDF

공공도서관 특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독서활성화 방안 (The Revitalization of Public Library Reading Through Special Quality Service Program Development)

  • 박미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15-33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독서 활성화를 위해서 기존의 독서 교육이나 독서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자관만의 특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공공도서관의 기능에서 확대된 특화서비스 프로그램의 필요성. 프로그램 개발과 구축에 관하여 살펴본 후, 현재 국내 공공도서관의 독서 관련 활동, 한 도서관 한 책읽기 행사 현황과 미국 공공도서관의 독서활동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또한, 독서 관련 특화서비스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구축 사례 분석 결과를 통해 향후 공공도서관의 독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전문도서관(專門圖書館)의 장서평가(藏書評價)에 관한 사례연구(事例硏究) -한국농촌경제연구원(韓國農村經濟硏究院) 자료실(資料室)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Library Collection Evaluation in the Research Library -The Case of Library and Information Divisio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조성자
    • 정보관리연구
    • /
    • 제23권2호
    • /
    • pp.14-39
    • /
    • 1992
  • 장서운영(藏書運營)의 효율성은 적은 수의 자료(資料)를 운영하면서 많은 수의 자료를 운영하는 것과 같은 이용률을 유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도서관(專門圖書館)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韓國農村經濟硏究院) 자료실의 장서를 평가하여 효율적인 이용자 봉사와 앞으로의 장서개발(藏書開發)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硏究方法)은 통계에 의한 분석으로 자료의 이용조사와 상대이용분석, 인용리스트에 의한 소장유무 분석, 설문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 PDF

P 신도시 건설과 공공도서관 건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P New Town and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Library)

  • 김영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37-58
    • /
    • 2021
  • 본 연구는 앞으로 새로운 신도시 건설과정에서 최상의 이용과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공공도서관이 건립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P신도시를 대상으로 신도시 건설과정에서 공공도서관 건립과 관련해서 어떤 문제점이 있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문헌조사, 현장조사 그리고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첫째, P신도시 개발계획 수립 초기 단계에는 도서관 건립계획이 없었다. 둘째, 공공도서관 건립에서 P신도시에 차등이 있었다. 셋째, 공공도서관 수가 부족하다. 넷째, 공공도서관의 규모가 충분하지 않다. 다섯째, 공공도서관의 입지가 미흡하다.

Drive-thru Library Service in Korea

  • Lim, Seong-Kwa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9권2호
    • /
    • pp.33-4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ase of 'drive-thru' services newly introduced and tried in libraries in Korea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and to develop and propose a service model so that this service can be continuously applied to all libraries in the future. Therefore, the method of study was selected and analyzed by selecting one of the representative libraries that provide related services in Seoul Special City,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Anyang City of Gyeonggi Province. In addition,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welve people in charge to find a way to apply the drive-thru service to the library. As a result, the library's drive-thru service is a way to fulfill the library's original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on materials while minimizing faceto-face contact with users. It was concluded that it is a suitable method for a library of complex buildings, where there is a lack of parking space. In addition, it was deduced that it may be one of the ways to use the library efficiently for office workers who are unable to use library services during the opening hours. Therefore, if the drive-thru service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developed model,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library visit rate and data utilization rate.

SWOT 분석을 통한 도서관의 경쟁력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A대학교 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braries'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Measures through SWOT Analysis : Based on the Case Study of University A's Library)

  • 노동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35-351
    • /
    • 2006
  • 도서관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도서관 내부의 강 약점과 외부의 기회 위협 요인 등을 파악하여 미래의 발생가능성을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최적의 전략방안을도출하여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전략경쟁분석기법의 하나로 각광을 받고 있는 SWOT 분석을 통하여 A대학교 도서관의 전략경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A대학교 도서관의 강점은 도서관 직원의 전문성 체계적인 업무추진 계획 및 분장 디지털도서관 구축에 따른 고품질의 서비스 제공이다. 둘째, A대학교 도서관의 약점은 가용자원(인력, 예산, 공간)의 부족, 미래의 도서관 운영계획 부재, 능동적인 서비스 마인드의 부족이다. 셋째 A대학교 도서관의 기회는 디지털 정보환경에 따른 새로운 도약, 외부기관 및 도서관과의 교류협력 확대, 도서관 개방을 통한 지역거점 도서관으로의 위상 제고이다. 넷째, A대학교 도서관의 위협은 학교 당국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 부족, 급변하는 정보환경에 따른 이용자의 다양한 정보요구, 강화된 저작권법에 따른 도서관 서비스의 제한이다. 다섯째, A대학교 도서관의 경쟁력 강화방안은 디지털 전문 인력의 확보를 통한 디지털 서비스의 강화, 외부기관 및 도서관과의 교류협력 강화를 통한 확장 서비스의 제공. 강화된 저작권법에 따른 차별화된 서비스의 개발이다.

정선군의 도서관 정책혁신전략을 기반으로 한 도서관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ing a Mid-to Long-term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Based on Jeongseon-gun's Library Policy Innovation Strategy)

  • 장인호;노영희;강지혜;곽우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95-320
    • /
    • 2023
  • 정선군에는 사북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 17개소, 정선교육도서관이 있으며, 2023년에는 정선군립도서관이 준공됨에 따라, 도서관발전을 위하여 정선군립도서관을 구축으로 한 지역별 균형을 고려한 도서관 정책 혁신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선군 공공도서관이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성을 설정하고 적절한 전략을 제시함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정선군의 지역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정선군 공공도서관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정선군민을 대상으로 도서관에 대한 만족도 조사와 수요 조사를 실시하여 도서관의 개선 방향성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지역 특성, 도서관 현황, 지역주민의 요구 등을 종합하여 해당 지역에 최적화된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비전 달성을 위한 운영목표에는 "군민의 건강한 삶을 함께하는 생활밀착형 도서관"으로 설정하고 정선군민의 건강한 삶을 위해 일상 가까이에서 함께하는 동반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운영목표를 추진하기 위한 4대 전략과제를 "지역주민과 성장하는 도서관", "복합문화 교류를 제공하는 도서관", "지속가능한 미래지향적 도서관", "지역사회와 협력하는 도서관"으로 표현하였다.

미래의 공공도서관을 위한 제언 (A Suggestion for Future Public Libraries)

  • 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65-78
    • /
    • 2004
  • 본 연구는 지식정보화사회의 변화와 발맞추어 공공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변화 방향에 대한 제언이다. 인터넷의 발달은 도서관의 정보서비스 방향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고, 사회의 변화는 도서관이 문화공간 역할에 충실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미래의 공공도서관은 첫째, 정보접근점이 되어 주민에게 인터넷 정보탐색이 가능하도록 기기와 장소를 제공해야 하며, 인터넷 정보탐색 방법에 대한 교육을 지원해야 한다. 둘째, 공공도서관은 문화를 창출하고 영위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 위해서 안락하고, 편안하며, 고품격의 실내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지역주민에게 사회의 고품격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 지역주민의 생활 문화중심 공간으로 그 기능을 다 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