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ture Library

검색결과 982건 처리시간 0.022초

도서관의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방향성 탐색 연구: 국내외 도서관의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방식 및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rection of Metaverse Platform in the Library: Focusing on the Method and Difference of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of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 김지수;권선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07-345
    • /
    • 2022
  • COVID-19 펜데믹의 장기화로 인해 미래의 서비스 제공 수단으로 메타버스가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며 여러 기관에서 메타버스 플랫폼들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도서관에서 또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는 사례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는 국내외 도서관 사례를 조사하여,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방식에 따른 플랫폼별 특징 및 콘텐츠 유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분석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바탕으로, 향후 도서관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고자 할 때의 그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도서관의 자유와 권리선언에 관한 연구 (Freedom of Library and the Library Bill of Rights)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40
    • /
    • 2002
  • 모든 도서관은 지식과 정보를 위한 광장이다. 따라서, 도서관은 모든 이용자에게 모든 자료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제도적인 장치는 일반적으로 도서관 권리선언의 형태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가 도서관 권리선언을 채택할 경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도서관 권리선언의 의의를 살펴보고, 미국과 일본의 도서관 권리선언의 변천과 내용을 분석하여 공통된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미국과 일본은 공히 공식기구인 도서관협회에서 도서관 권리선언을 채택하고, 권리선언을 유지\ulcorner발전시키고 도서관의 자유가 침해되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상설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도서관 권리선언의 공통된 구성요소는 자료수집의 자유, 자료제공의 자유, 검열 거부, 관련단체와의 협력, 개인의 도서관이용 권리, 도서관의 시설 이용, 이용자의 비밀유지 등이다.

  • PDF

공공도서관 관리공간의 표준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blic Library Space Guidelinesan of Meas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 김금현;이초린;공순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70-177
    • /
    • 2008
  • This study starts off by stating that the lack of awareness in the importance of reasonable and systematized layout in management facility is essentially working against building a quality public library. And that there is a merit in studying the spatial elements, its density, amount of needed space, and the likes to efficiently deal with present workings of the library which are becoming more dynamic and complicated. This paper seeks to embark on this study and also to provide a foundational data for research on management facility of the public library. The paper bases its research on 10 public libraries which are located in Seoul City and in Gyeonggi province, and are built after the year 2000. The paper focuses on the spatial distribution by section and allotment of management facility space in the library. Consequently, to find solutions or to suggest improvements on problems encountered, the paper introduces Japan's cases (4 recently-built public libraries) as a foreign case study. With foregoing domestic and foreign library case analyses, and the survey results of managerial staffs' demands, the paper seeks to provide basic data about management facility space and its floorplan of the public library. The paper bases its research on pubic libraries' management facilities, and expects to contribute to the efficient building of the public library in the future.

학교도서관 활성화사업의 성과 분석 - 대구광역시의 경우 -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A Case Study of Daegu Metropolitan City)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19-341
    • /
    • 2010
  • 이 연구는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추진된 대구광역시 학교도서관 활성화사업의 성과를 평가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통계분석과 설문조사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두 가지 연구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하나는 통계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교도서관의 운영 및 활동의 주요 요소인 예산, 시설, 장서, 인력, 그리고 대출을 연도별로 분석한 것이다. 다른 하나는 활성화 사업의 효과와 만족도, 학교도서관의 기능에 대한 인식, 전담 인력의 자격, 향후 학교도서관 발전의 이니셔티브와 교육청의 정책과제 등에 관하여 학교장, 교과교사, 그리고 사서교사 및 도서관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한 것이다.

  • PDF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Subject Specialist)

  • 남영준;허운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9-6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개선된 문헌정보학교육 및 교과과정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4개 대학교와 미국의 3개 대학교의 교과과정 및 미국도서관헙회(ALA: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도서관교육협회(ALISE : Associ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와 기타 기관에서 정보전문가(information specialist)의 양성 과정을 비교$\cdot$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국내 대학의 문헌정보학과교육과정에 개설된 교과목과 수와 학점 수를 고려하여 미래지향적인 주제전문사서 양성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교 교육과정에서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아동교육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 미국 보스턴주변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관찰조사를 중심으로 (Roles of the Public Library for Children Education : Observation Survey on the Public Libraries in Boston and its Vicinity)

  • 임형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93-414
    • /
    • 2004
  • 전통적으로 도서관의 역할은 자료보존기능과 자료제공기능이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공공도서관의 역할은 학습의 장으로서 그들의 문화적 교육적 활동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적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일생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비형식적 학습이 필요하며 그 기능에 대한 도서관의 비중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의 관찰대상이 된 미국 공공도서관의 특징은 아동에 대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적 역할이었다. 이들 공공도서관은 아동교육의 주체자로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아동교육의 장으로서 스스로 주도해가고 있었다. 앞으로 공공도서관은 교육의 장으로서 지역사회와 일체감 있는 공동체기능이 더욱 강조되어져야 한다.

  • PDF

학교도서관 시설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designing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 김병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1-158
    • /
    • 2003
  • 오늘날 새로운 과학기술의 발전과 교육환경의 변화는 초$\cdot$중등교육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학교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학교도서관 그 기능을 효과적이고 능률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유능한 인력과 풍부한 자료와 훌륭하게 준비된 시설이 뒷받침 되어야한다. 새롭게 개발되는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학생스스로 실현가능하게 하려면 물리적인 공간구성이 효과적으로 설치되고 운영되어야 하므로 학교도서관의 기존시설을 재설계하고 재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을 개관하고 설문지를 작성하여 현재 학교도서관의 시설 및 환경에 대한 현황과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재설계를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PDF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지리정보시스템의 활용 (Application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LIS)

  • 박성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63-178
    • /
    • 2011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미국 플로리다주 Lake 카운티 도서관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논의하였다. GIS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 지오코딩, Thiessen 다각형, 밀집도, 버퍼, 이동거리의 측정 등의 툴들을 이용하여 도서관 이용자 정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서관 이용자의 위치나 분포형태에 대한 이해를 얻을 수 있었고 도서관 서비스 지역을 설정함으로써 도서관 서비스 계획수립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또한 Thiessen 다각형이나 버퍼를 통해 이동거리가 도서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과 동시에 보다 현실적인 도서관 이용자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표준도 기반의 토목구조물 BIM 라이브러리 개발 -국토교통부 표준도를 대상으로 (Development of BIM Library for Civil Structures based on Standardized Drawings-Focused on 2D Standard Drawings of The MOLIT)

  • 문현석;주기범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80-90
    • /
    • 2014
  • In architecture projects, BIM library has widely been using for prefabrication of products and design process. However, since the shape of structures is different by each project in civil engineering projects and a shape representation system is complicated, it is not easy to develop a standardized BIM library. To solve these issues, this study develops BIM library based on standardized 2D shop drawings for civil structures. The standardized shop drawings, which are the targets of the BIM library model, should be first selected. Besides, in order to define modeling scope with the level of general and shop drawings for each structure, LOD(Level of Detail) and breakdown structure are determined, and development methods of families of 3D object type including 2D profile and rebar through commercial software are established. With these, properties of BIM library are configured, and a utilization model of the BIM libraries is constructed for 3D modeling and a simulation using the BIM library. Therefore, this study can identify properties that are necessary when IFC schema is configured for civil engineering projects. For future, it is expected that easiness of BIM design for the civil engineering projects and generation, management, and analysis system of BIM library for road projects will be secured.

출판기능이 부여된 디지털도서관 II - 하이브리드 디지털도서관의 모형 설계 - (Digital Library in the Notion of Publishing, II : Practical Design of the Hybrid Digital Library)

  • 정준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09-128
    • /
    • 2014
  • 디지털도서관을 단순한 정보유통 구조의 한 부분으로 정의하지 않고 디지털도서관 그 자체를 자원의 생산, 유통 그리고 재생산을 위한 무형의 가치창출 행위로 인식하였으며 디지털자원의 속성을 해석함으로써 디지털도서관을 설계하였다. 즉, DRM(Digital Resources Management)의 가치를 디지털도서관으로 보았으며 그것을 전통적 도서관의 진화로 인식하였다. 이미 대학도서관들의 오픈액세스 자원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도서관 디지털장서 관리와 공유가 가능함을 보여줌으로써 출판이 가미된 디지털도서관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